미즈와리

 


(일본어)水割り
1. 개요
2. 내용
3. 참고 문서


1. 개요


사케, 소주, 위스키 등의 을 넣어 1/2 이상의 농도로 희석시킨 것. 순서가 거꾸로 되지 않도록 유의하자. 물에 술을 넣는 것이 아니다. 이 점은 잭콕 등에서도 마찬가지.[1]
더운 물을 이용하면 오유와리(お湯割り), '''물을 탄산수로 바꾸면 하이볼이 된다.''' 자신의 취향과 술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물의 비율을 찾아 보자.

2. 내용


연하게 천천히 음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물의 상태가 안 좋은 경우 물맛과 물냄새가 심하게 난다는 단점이 있다. 여러모로 카페 아메리카노가 떠오르는 방식.
대부분의 일본인들은 일본인이 서양인에 비해 알콜 분해능력이 낮아 술을 오래 즐길 수 없는 데서 비롯되었다는 내용으로 알고 있으나, 일본 주류 업계에서는 제조사들의 프로모션을 통해 널리 퍼진 것으로 본다.
1970년대 일본 위스키 제조사들은 시장 확대를 위해 일식당이나 고급요리집에도 공급을 꾀했으나, 위스키의 비교적 강한 피트#s-7[2]향이 일본음식에 맞지 않아 애를 먹었다. 이에 제조사들은 위스키에 가수하면 위스키의 맛과 향을 느끼면서도 마일드한 일본음식을 즐길 수 있다는 내용으로 홍보했고 이런 전략이 히트하여 미즈와리가 일반화 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산토리는 ≪懐石サントリー≫ (淡交社, 1980)라는 홍보용 서적도 발간했다.
반면에 저질 위스키를 감추기 위해 가수하여 마셨다는 설도 있는데, 일례로 당시 산토리에서 만든 위스키 <토리스>의 별명은 "선팅 알콜"이었다. 당시 시음평을 보면 일본식 소주에 식용색소를 넣은 수준이라고 하는 말도 나왔다.
사실 술을 물과 섞어 마시기는 고대 그리스나 중동에서도 이용한 방법. 고대 그리스인들 경우에는 술을 희석하여 마시지 않으면 야만인이라고 했었다.[3] 옛 유대인들도 그렇게 한 관계로, 지금도 가톨릭의 미사에서는 사제가 포도주에 물을 타는 예식이 있다. 기원은 단지 '옛날에는 술에 꼭 물을 타 마셨던 것'을 따라하는 것일 뿐이지만, 후대에 들어 여러 가지 종교적인 해석이 붙었다. 가장 널리 퍼진 해석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포도주)과 인성(물)의 결합'을 가리킨다는 해석이다.
한국 희석식 소주에도 잘 어울린다. 저질 술(...)의 부담스러운 냄새를 덜기 위한 목적. 독하고 들큰한 냄새가 거의 없어지고 약간의 단 맛만 남는다. 다만 과일 향이 첨가된 소주에 물을 타면 끔찍한 맛이 나며 보통 소주로 시도해야 먹을만 하다.
여담으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이렇게 술을 마시는것을 매우 좋아했다고 한다. 그리고 김재규 당시 중앙정보부장이 미즈와리를 잘 탔다고 하며 10.26 사건 당시에도 이 술이 만찬 메뉴에 들어가 있었다고 한다.
일본에서 우롱차가 인기가 좋은 이유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미즈와리와 외견 상 구분이 거의 불가능해서''' 술을 못하는 사람들도 모임 분위기를 망치지 않는 비주얼을 연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본 술집에서는 우롱차에 소주 등을 탄 칵테일인 우롱하이(ウーロンハイ)라는 이름으로 팔기도 한다.

3. 참고 문서


[1] 다만, 오유와리의 경우에는 물을 먼저 4할 따른 뒤에 술을 따르는 것이 맞다.[2] 땅속에 묻힌 시간이 오래되지 않아 완전히 탄화하지 못한 석탄. 이탄(泥炭), 토탄(土炭)이라고도 불린다. 위스키 제조 과정에서 피트를 이용해 보리를 로스팅하면 특유의 향이 남는다.[3] 그때는 술에 취하는 것 자체를 경계를 하는 시대였고, 물에 술을 약간만 타서 살짝 취기가 오른 상태에서 토론을 하는 문화가 있었다. 당시에 만들었던 포도주도 여과가 안돼서 그냥 마시기에는 질이 상당히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