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볼

 

1. 술 음용법
1.1. 제조법
1.2. 관련 문서
2. 협상법의 한 종류


1. 술 음용법


위스키 베이스 칵테일의 일종. 기본은 얼음을 채운 텀블러 글라스에 스피리츠를 (주로 위스키지만 다른 술일 때도 있다) 일정량 넣고 그 위에 (더 많은 양의) 탄산수다른 음료를 부어 만든다. 여기에 레몬 혹은 라임 등을 필하여 상큼한 맛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수가 높은 위스키(보통 스카치 위스키)에 소다를 타서 마시는 방법은 19세기 영국 상류층에서 먼저 유행하던 방식이었는데, 이때는 스카치소다 혹은 위스키소다로 불리었다. 이게 미국으로 넘어가 기차 식당칸에서 긴 잔의 일종인 톨글래스에 담겨져 제공되면서 미국에서 큰 유행이 되었고, 바텐더들은 이런 방식의 칵테일을 하이볼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즉, 하이볼이란 명칭은 바텐더들 사이에서 쓰여지는 슬랭이었다.
하이볼이란 불려지는 이유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어원이 있으나, 가장 유력한 것은 당시에 완목 신호기 같은 것이 없고, 열차의 발차 신호가 끈에 공을 매달아 띄우는 방식 (Ball railroad signal)이었기 때문에 술의 이름이 하이볼(=높게 띄워진 풍선)이 되었다는 것. 보통 기차 노선 옆에 설치된 발차 신호의 풍선이 높이 매달어져 있으면 "가도 좋다" 혹은 "최대 속력으로" 라는 의미인데, 보통 이 상태는 해당 노선이 비어있어 정차나 속력을 낮출 필요가 없다는 의미였다. 또한 정차된 기차가 출발할때도 이 풍선의 신호에 맞춰 출발했는데, 이때 보통 기관사들이 "하이볼"이라고 외쳤다. 이에 "하이볼"이라는 의미는 빠르고 신속하게 혹은 무엇인가를 분주히 준비해야 될때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다른 칵테일에 비해서 빠르게 서빙되는 이 칵테일의 특성이 이와 맞아떨어져 기차 식당칸에서 일하던 바텐더들 사이에서 슬랭으로 쓰여졌다고. 또한 증기기관차에서 속력과 압력을 나타내는 게이지가 공의 높낮이로 보여졌는데, 최대 속력일때 공이 높이 떠있어 이게 긴 잔에 떠있는 얼음의 모습과 유사하다고 해서 하이볼이라고 쓰여졌다고도 한다. [1]
또한 다른설로는 영국상류층에서 주로 하던 스포츠인 골프경기중에 갈증을 풀 수 있게 마시던 음료중의 한가지였는데, 골프라운드는 시간이 오래걸려 꽤나 마시게되고 라운드 후반으로 갈 수록 플레이어가 취해서 공이 엉뚱한 곳으로 가는일이 잦아 하이볼(High Ball)이라고 자주 외치게 만드는 음료라고하여 불리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기본형은 스카치 위스키탄산수를 섞어 마시는 스카치 앤 소다이며, 넓은 의미로서의 하이볼은 진 토닉, 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 블러디 메리, 스크류 드라이버 등 또한 포함한다. 비 알코올 음료와 스피리츠를 섞는다는 특성상 레이디 킬러 칵테일이 상당히 많다. 술맛이 세지도 않아 술술 들이키다보면 술이 약한 사람은 자기도 모르는 새에 훅 가는 경우도 적지않다. 우리나라에서는 도수는 높지만 맛과 향이 없는 보드카에 주스류를 섞어 마시는게 일반적이다. 주스의 달콤새콤한 맛이 보드카의 높은 도수와 강한 뒷맛을 덮어주기에 별 거부감없이 마실 수 있다. 물론 이 때문에 자신의 주량을 초과하여 마시게 될 위험도 높다. 기본적으로 구할 수 있는 앱솔루트 보드카의 경우 기본 도수가 40도에 육박한다.
이 하이볼을 하기 위한 240 ㎖ ~ 300 ㎖정도의 잔을 하이볼 글라스 (원래는 톨글래스)라고 한다. 잔/종류 문서 참조.
일본에서는 맥주, 사케 다음으로 대중적인 술이다. 술집에 하이볼이 없는 경우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고 봐도 될 정도다. 일본에서의 하이볼은 좁은 의미의 위스키소다를 섞는 방식 뿐만이 아닌 도수가 높은 술을 편하게 마시는 거의 모든 방식을 의미하는 넓은 의미로써 사용된다. 보통 위스키소주를 사용하는데 이들을 무엇에 섞어 마시는가에 따라 이름이 바뀐다. 사용되는 음료에 따라 "~하이"라는 하이볼의 약어가 접미사로 붙는다. 소주를 사용하는 방식은 츄하이라고 불린다 (쇼츄+하이볼). 사용되는 음료는 일본에는 마시는 거의 모든 음료가 사용된다라고 봐도 무리가 아니다. 우롱차, 녹차부터해서 온갖 종류의 쥬스와 심지어 물도 사용된다. 가장 대중적인 음료인 우롱차에 위스키나 소주를 넣는것을 우롱하이라고 한다. 다만 보통 일본의 술집에서 "하이볼"를 시키면 위스키소다레몬을 곁들인 정통식에 가까운 하이볼이 나온다. 일본식 하이볼에서는 토탄, 스모키향이 다소 약하지만 단맛과 향긋함을 강조한 일본식 위스키 (제페니즈 위스키)가 주로 사용된다. 가장 많이 알려진 회사는 산토리의 위스키.

1.1. 제조법


  1. 하이볼 잔에 얼음을 채우고, 그 위에 위스키를 붓는다.[2] [3] 표준적인 양은 30 ~ 45㎖ 이다. 소주잔이 대략 50㎖ 이니 계량컵이 없으면 참조.
  2. 탄산수나 토닉워터, 사이다를 붓고 한 두 번만 살짝 저어준다.[4] 취향에 따라서 부으면 되지만, 통상의 비율은 위스키 1 : 탄산수 4 이니 참조.
  3. 취향에 따라, 또는 위스키 종류에 따라 레몬 슬라이드 한 조각이나 민트잎 등을 넣어준다.
꽤 간단하니 한두번 만들어 먹어볼 만 하다.
닛카 위스키에 따르면, 맛있는 하이볼을 위해서는 탄산이 날아가지 않도록 얼음을 피해 탄산수를 부어야 하는데, 미리 얼음을 한쪽으로 쌓음으로써 탄산수가 내려갈 길을 만들어두는 것이 프로의 기술이라고 한다. #

1.2. 관련 문서



2. 협상법의 한 종류


한경 경제용어사전
'''면전에서 문 닫기 기법'''(door-in-the-face technique)이라고도 불리는, 극단적인 언사로 협상 상대방을 위축시켰다가 서서히 풀어 원하는 것을 얻어내는 협상 전략을 가리킨다.
일종의 당근과 채찍 전략이며, 거의 이나 슈퍼 을 수준의 사람이 상대를 거의 무시하다시피 하는 강짜를 시전했다가 피시전자의 불평이나 질타 등으로 서서히 풀어서 목표값을 줄여 본래 생각했던 목표값으로 맞춰가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보통 경력직 전문가급 인재가 회사를 상대로 연봉협상한다든지[5], 부동산 거래에서 아무도 안 사려는 시가 10억 원 상당의 주택을 사겠다는 거래자를 겨우 구했는데 그 거래자는 "4억 원에 사겠다" 고 제안했다가 서서히 올려서 본래 가격보다 낮추어 내는 식이다.
이 하이볼 전략을 성공할 경우 시작부터 주도권을 잡을 수 있지만, 처음에 너무 과하게 부를 경우에는 아무리 갑이나 슈퍼 을이라도 협상 자체가 무산될 위험성도 갖고 있다.

하이볼 협상법의 대표예시.[6]
결과적으로 위의 4달러 협상은 '''대체자가 없을 정도로 그 분야의 전문가'''라면 써먹어볼 만한 방법이라고 한다. 상황상으로도 이전에 임금 지급의 책임이 있는 부둣가 주먹들을 죄다 조져놔 버려서 자기 말고는 6.25 전쟁 당시 미합중국 육군의 군수물자를 운반하던 노동자들의 파업을 진정시킬 사람이 없으니 사딸라 하나로만 강짜를 부릴 수 있는 것이다.[7]
다만 정석적인 하이볼 협상의 순서대로라면...
미군: "One dollar" → 김두한: "팔 딸라" → 미군: "Two dollars" → 김두한: "육 딸라" → 미군: "Three dollars" → 김두한: "오 딸라" → 미군: '''"Four dollars"''' → 김두한: '''"오케이! 땡큐! 오케이! 사 딸라!!"'''
이런 식으로 처음에는 높은 가격에서 시작하여 점차 가격을 낮추고 상대는 올려가며 협상이 진행되는 것이다. 실제로 김두한이 DBS 라디오 방송에서 밝힌 일화도 100원 임금을 800원을 불러 결국 400원으로 타결했다 했으니 이게 오히려 고증에도 맞다.
서브컬쳐이긴 하지만 이에 대한 예시로 죠죠의 기묘한 모험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에서 죠셉 죠스타가 케밥 장수 스틸리 댄과 흥정하는 방식이 좋은 예시라 볼 수 있겠다. 150엔 가치의 케밥 다섯 개를 1000엔에 팔려 하자 최종적으로 425엔으로 낮춰 흥정하는것. 다만 이 경우엔 스틸리 댄이 처음부터 실제 가격보다 엄청 높은 가격을 불러서 흥정한 결과마저 실제 가격보다 높았다. 죠셉이 실제 가치를 모르고서 무작정 흥정을 시도했기에 이렇게 된 듯하다. 이런 식의 흥정은 영화에서도 많이 등장하며, 현실에서도 국가를 막론하고 관광지 등에서 흔히 일어나는 일이다.
실제 사례로서 대표적인 사건으로 '''워터게이트 사건'''이 있다.
반면교사로서 대표 예시는 킬도저. 사건의 주인공인 마빈 히메이어의 한가지 실수는 시멘트 공장에 가게 부지 판매가를 처음엔 25만 달러, 35만 달러, 그러다 '''갑자기 백만 달러로 확 올려버렸다는 점이다.'''[8] 그야말로 하이볼 협상법과 정 반대 형태로, 어설프게 거래를 시도했다.
[1] 이설에 대해서는 상당히 논란이 많다. 왜냐하면 보통역에 떠있는 공은 승객들에게 열차의 출발을 알리는 신호였고 이를 본 사람들이 열차출발을 의미하는 뜻으로 하이볼(High Ball)이라고 외친것이 보통 술집에서 열차를 대기하는 손님들에게 퍼진것이 원인이되어 빠르게 마실수 있는 음료를 하이볼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2] 탄산수를 먼저 넣으면 비중이 작은 위스키가 떠서 섞이지 않으니 주의. 위스키를 넣기 전에 레몬 반 개를 짜 넣어주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몇번 저어서 레몬즙과 위스키를 섞어준다.[3] 하이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위스키를 먼저 마시게 의도적으로 나중에 넣기도 한다.[4] 탄산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젓는 횟수를 최소로 한다.[5] 초임이 시전했다간 오히려 나쁜인상을 주게 되어 평가절하될 수도 있다.[6] 조선일보유튜브 채널이며 영상 속 전문가는 뉴스데스크 게임 폭력성 실험 사건 당시에도 출연했던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7] 현재의 항운노조도 어느 쪽이냐 하면 갑이기 때문에 이런 면이 남아있다. [8] 가게 부지는 4만 2천 달러에 구입하였다. 공장주에게 도둑놈 심보라고 불려도 할말 없을 정도로 욕심 부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