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어치기
1. 씨름 기술
상대를 밀어서 모래판에 눕히는 씨름 기술로 앞으로 누르기라고도 한다. 상대의 몸 중심이 앞으로 쏠릴 때 상대의 윗몸을 아래로 눌러 손을 짚게 하거나 앞으로 쓰러지게 하는 기술이며 주로 장신 혹은 거구의 선수들이 이를 자주 사용한다.
잘 알려진 바로 이 기술을 주특기로 하는 씨름선수는 한국에도 천하장사 대회에 출전하는 미국인 씨름선수이자 뉴욕 초대 천하장사를 지낸 커티스 존슨과 214kg의 몸무게를 가진 선수인 김상중 장사.
2. 야구용어
[image]
영어로는 Push-hitting. Spray Hitting, Hitting for the Opposite Field 라고도 한다. 일본어로는 流し打ち(나가시우치)라고 한다.
야구의 타격방식의 한 가지. 히팅포인트가 타자의 위치보다 뒤에서 이루어지는 스윙이다. 홈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타자가 서있는 타석의 반대 방향[1] 으로 타구가 날아가면 밀어치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당겨치기에 비해선 스윙이 절반도 돌지 않은 상태에서 공이 맞으므로 힘이 실리기 어려워서 장타가 나오기 힘들다. 대신 공을 오래 볼 수 있으므로 볼을 골라내기 쉽고 변화구 대처에서도 우위에 설 수 있으며, 배트컨트롤이 당겨치기보다 훨씬 쉬워서 원하는 곳에 공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안타를 때리기에 좋다. 현대 야구의 유인구 대부분을 차지하는 바깥쪽 유인구에 대처가 쉽다는 것과 내야 수비 시프트에 비교적 영향을 덜 받는 것도 강점. 당겨치기와는 반대로 안쪽 볼에 약하지만, 바깥쪽과는 달리 안쪽 볼은 스트라이크존 밖은 타자가 가로막고 있고 한복판으로 몰리면 장타를 얻어맞기 마련이므로 타자와 한복판 사이의 매우 정교한 제구 포인트를 요하기 때문에 자유자재로 쓰는 투수가 적어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물론, 실력이 좋고 경험이 많은 타자는 밀어치기로도 홈런을 치고 장타를 치는 선수는 많다. 대표적으로 이승엽 선수가 있다. 밀어치기로 홈런을 내는 장타자는 대체로 손목 스냅을 통해 짧고 강한 스윙을 하는 선수들이다. 드물게, 히팅 포인트 자체를 뒤로 두면서도 정교한 깎아치기와 힘으로 밀어서 장타와 홈런을 생산하는 타자도 존재한다. 조 마우어나 마이크 피아자같은 선수가 대표적.
'''허나 현대 야구에서, 특히 메이저리그에서''' 밀어치기의 가치는 점점 낮아치고 있다. 물론 밀어치기를 '''안 한다'''는 게 아니다. 메이저리그에 올라올 정도의 타자라면 밀어치기와 당겨치기를 다 구사할 수 있고 실전에서 구사하지만, 실전에서 당겨치기를 사용하는 비중이 밀어치기를 사용하는 비중에 비해 늘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타율 순으로 선수들을 정렬한 뒤 살펴보아도 당겨치기를 주로 사용하는 선수들이 대부분이다. 타율이 높은 순이 아니라 빌리 해밀턴, 재로드 다이슨, 엘비스 앤드루스, 무키 베츠 등 체구가 작고 가벼우며 발이 빠른 테이블 세터 위주로 찾아봐도 마찬가지이다. 대부분의 선수들이 당겨치기를 주로 사용하고, 밀어치기는 차선책이다. 오히려 트라웃이나 JD, 스탠튼과 같이 거구의 홈런 타자들의 경우 밀어쳐도 충분히 홈런을 칠 수 있기 때문에 홈런 타구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좌우 고르게 나타나는 편이며, 베츠나 린도어와 같이 체구가 작은 타자들의 홈런 타구 분포는 극단적으로 당겨치는 쪽으로 나타난다..
그 이유는 메이저리그 선수들의 공을 밀어서 친다는 건 정말 힘든 일이기 때문이다. 스파이크 서브의 등장 이후 세계 배구가 리시브를 포기하며 스피드 배구를 도입한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2017년 메이저리그 투수들의 평균 포심 구속은 시속 150 킬로미터다. 평균적으로 시속 150 킬로미터의 속구를 접하며 이걸 밀어치기 위주로 어떻게 해보려는 건 정말 힘든 일이다. 기껏 밀어쳐봤자 2루수나 1루수 앞으로 굴러가는 땅볼 내지는 내야 플라이가 되기 십상이다.
밀어치는 공은 정타를 만들어 내기 힘들다는 것 역시 또 하나의 이유다. 당장 뛰어난 스프레이 히터이면서 준수한 파워를 보여준 2016 시즌의 코리 시거의 예를 보아도, 시거가 2016년 만들어 낸 26 개의 홈런 중 밀어쳐서 담장을 넘긴 것은 고작 5개다. 2010년대 30홈런을 쳐 본 타자 중 통산 밀어친 홈런이 당겨친 홈런보다 많은 선수는 조이 보토 '''단 1명''' 뿐이다. 사실 조이 보토도 전통적인 홈런 타자와는 거리가 있고..
또 밀어치기 타법이 당겨치기에 비해 안타 생산이나 안타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는 근거가 확실하지 않다. 분명 밀어치기는 바깥쪽으로 빠져나가는 공을 당겨치기보다 수월하게 공략할 수 있으며, 히팅 포인트가 뒤에 있기에 공을 더 오래 볼 수 있고 이로 인해 헛스윙 확률이 당겨치기에 비해 낮아지고 컨택에 더 유리해진다. 또 수비 시프트를 분산시킬 수 있다. 장점이 분명히 있는 타법이다.
하지만 제대로 맞았을 때 안타가 될 확률이 높은 것은 오히려 당겨치기 쪽이다. 당겨치기는 힘을 한껏 실은 타구를 통해 총알같은 타구를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밀어치기가 당겨치기에 비해 안타 가능성을 높여준다면 2017 시즌 메이저리그 타율 수위권의 선수들이 죄다 당겨치기 위주의 타법을 구사하는 게 설명이 안 된다. 거기에 당겨치기에 약간의 어퍼 스윙을 가미하면 타구 발사각도를 높여 내야를 벗어나는 라이너나 플라이 볼을 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비 시프트에 대처할 수 있다. 외야는 시프트의 효과가 내야 땅볼만큼 극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분명 밀어치기는 중요한 스킬이며, 메이저리그에서도 아무리 극단적인 당겨치기 위주의 강타자라 해도 1년에 15~20% 정도의 안타는 밀어치기를 통해 만들어 낸다. 평범한 당겨치기 위주의 풀 히터라면 매년 20~35%의 안타는 밀어치기로 만들어내기 마련이다. 밀어치기는 무시할 수 없는 스킬이며 야구 선수라면 당연히 익혀두어야 하고, 잘하면 두말할 나위없이 좋은 스킬이다. 하지만 메이저리그를 제외한 다른 야구계에서는 밀어치기에 대한 환상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심한 편이다.
2010년대 중반 메이저리그의 타격 지론은 정확히 말하자면 '무조건 당겨라' 가 아닌, '최대한 빠른 타구를 높은 발사각으로 만들어 내라' 이다. 다만 이걸 실현하기에 당겨치기와 어퍼 스윙이 가장 적합하기에 당겨치기와 어퍼 스윙 시도가 늘고 있는 것이다. 무조건적인 밀어치기 홀대가 아니다. 밀어치기를 해야 하고 또 밀어치기로 좋은 타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상황이라면 메이저리그는 밀어치라고 한다. 당장 타자가 과거 마이크 피아자나 데릭 지터, 조 마우어 수준의 밀어치기를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스프레이 히터면서도 세게 맞은 타구를 양산해 내어 파워를 잃지 않는 3/4/5 밸런스 타자, 혹은 리그 최상급 슬러거 라면 메이저리그는 그 선수들을 건드리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각국의 리틀 리그, 고교/대학 리그, 또 미국이 아닌 타국의 프로 리그 등의 밀어치기와 컨택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뚜렷한 목적없이 '그냥 일단 해, 원래 이렇게 하는 거야'의 기조가 강하다. 이건 비단 한국과 일본 등 동양 야구만의 문제가 아니다. 미국 역시 리틀 야구나 고교, 대학 야구, 또는 다소 올드 스쿨타입의 코칭 스태프는 다운 스윙을 강조한다. 이에 대해 조시 도날드슨은 리틀 야구 선수들에게 '코치가 공을 찍어치라고 가르친다면 싫다고 대답해라. 공은 띄워야 한다. 땅볼은 돈이 안된다. 아니면 빌리 해밀턴처럼 1년에 60도루씩 하던지.' 라 하며 다운 스윙을 가르치는 코치들을 대놓고 깠다.
여기에 아시아 코치들의 경우는 다른 해명을 하기도 하는데, '선천적으로 파워가 떨어지는 타자들의 특성상 '''단타'''를 통한 출루와 주자를 한베이스 더 진루시키는 타격이 생산적이라고 믿기 때문.' 이라는 말을 하곤 하나, 이는 파워가 상대적인 개념이라는 것을 의도적으로 혹은 무심코 무시하고 있는 발언이다. 타자들의 파워가 선천적으로 떨어진다면, 그 파워가 떨어지는 타자들이 상대하는 투수들 역시 메이저리그 투수가 아닌 그들에 비해 구속이 확연히 떨어지는 투수들이다.
단적으로 '''2010년대 중반 KBO가 어떤 무대인가?''' 2016 시즌 기준, 타자의 순수한 파워를 보기 위한 지표인 순장타율이 .200을 넘는 타자가 메이저리그 30팀에서 39명이 나올 때, KBO는 고작 10팀에서 23명을 만들어 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인은 힘이 약해서 컨택과 밀어치기에 집중해야 한다' 는 건 다소 납득이 안 가는 전제다. 어떤 이유로 타고투저 시즌이 돌아왔든지 간에 일단 타자들의 전반적인 공격력이 상승하는 시기가 오면 강하게 쳐야 한다. 힘이 약하다면서 자기 스윙으로 장타를 생산할 생각을 안 하고, 단타를 늘리기 위해 정교한 타격에만 열중할 것인가?
상황이 이러할진대 지나친 밀어치기, 다운 스윙 주입식 교육 때문에 평범한 타자들의 파워를 키우기는커녕 선천적으로 타고난 선수조차 발굴하지 못한다고 안타깝게 여기는 사람들도 많다. 또한 테드 윌리엄스, 배리 본즈 등 역사에 남을 타자들은 대부분 풀히터가 많았다. 마지막 4할타자 테드 윌리엄스의 사례에서 보듯이 당겨치기도 제대로 마스터한다면 정교함과 파워를 모두 갖출 수 있다.
아니, 굳이 고대의 전설들을 불러낼 것도 없이 주구장창 말했지만 당장 2017년의 메이저리그 타율 순위권을 보자. 모두가 풀히터다. 1980년대 양대리그를 양분하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두 3루수에 대한 세이버메트릭스적 평가에서도 스프레이 히팅과 레벨스윙으로 승부하여 3천개 이상의 안타를 친 조지 브렛보다 풀 히팅, 어퍼 스윙으로 500개 이상의 홈런을 때린 마이크 슈미트에 대한 평가가 높다는 점 또한 눈여겨볼 대목.[2]
밀어치기를 잘하는 게 노력이라는 것도 어폐가 있다. 밀어치기를 잘한다는 건 소위 배트 컨트롤을 잘한다는 건데, 명확하게 방법론이 있고 '목적' 이 무엇이며 '왜' 그걸 하는 지 분명한 당겨치기에 비해 이 쪽은 그야말로 감각의 영역이다. 밀어치기가 왜 노력의 산물인지 근거도 불명확하다. 오히려 이 쪽이 더 재능을 요구하는 항목일 수 있으며, 타율이 목적이라면 위에서도 보았듯이 오히려 당겨치기를 잘하는 선수들이 타율이 더 높다는 점에서 더 많은 재능을 요구하면서도 효율은 더 떨어지는 길을 가는 걸 수도 있다.
밀어치기를 잘 하는 선수가 한두명은 있어야 타순이 그럴듯하게 굴러간다는 말은 모호하기 짝이 없다. 타순이 그럴듯하게 굴러간다는 것은 수비 시프트를 피할 수 있는 선수가 있다는 이야기인가? 아니면 타율이 높은 선수를 보유했다는 이야기인가? 삼진율이 낮은 선수가 있다는 이야기인가? 끈끈함이 없다는 이야기인가?
그렇다면 평범한 강팀이지만 언론에서 그렇게도 모호한 단어인 '끈끈함이 부족하다' 라고 씹어댔던 2016년의 다저스와, 기적같은 끝내기와 역전승을 일궈내며 최다승 팀을 향해 달려가는 2017년의 다저스를 비교해 보자. 2017년의 다저스는 2016년의 다저스에 비해 밀어치기와 팀배팅을 좀 더 잘해서 타순이 잘 굴러가는 중일까? 2017년 7월 31일 기준 다저스의 당겨친 비중은 40.2%이며 밀어친 타구는 25.5% 이다. 2016년 다저스의 당겨친 타구 비중은 37.7%, 밀어친 타구 비중은 26.9% 이다. 오히려 당겨친 타구비중이 늘었다면 늘었지 줄진 않았다.
마크 맥과이어가 레벨 스윙과 밀어치기를 강조해서 효과를 보았다고 하나 그가 카디널스와 다저스에 있던 것도 벌써 몇년 전의 일이며, 빠르게 발전하는 현대 야구의 풍토는 2017년에 어퍼 스윙과 풀 히팅을 강조하며 이것을 '플라이볼 혁명' 이라고 지칭하기까지 이른다. 2014년 터너가 선수로서 자신의 클래스를 한 단계 높인 것은 재야의 히팅 코치 덕 래타가 터너에게 '히팅 포인트를 조금 더 앞으로 가져가고 레그 킥을 주저하지 말고 해라' 라는 조언을 한 뒤였다. 다저스는 크리스 테일러에게 전담 코디네이터를 붙여주며 당겨치기를 강조했고, 그 결과 크리스 테일러는 3할 타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밀어치기를 폄하할 순 없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오히려 밀어치기가 더 재능이 필요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밀어치기가 능한 타자는 시프트를 최대한 무력화 시킬 수 있다는 크나큰 메리트를 얻는다. 또한 바깥쪽으로 빠져나가는 변화구를 당겨치기만으로 대응할 수는 없다. 위에서도 말했지만 '''그''' 호세 바티스타도 1년에 15% 에서 20%의 안타는 밀어치기로 만들어낸다. 다만 무조건적인 밀어치기 선호와 다운 스윙 선호는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는 이야기이다.
여기에 오히려 밀어치기가 당겨치기보다 더 적합한 타자들도 있긴 있다. 대표적인게 스즈키 이치로와 디 고든으로 대표되는 마르고 발이 빠른 체형의 타자들이다. 이 타자들은 일단 공을 굴리기만 하면 높은 확률로 내야 안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다소 변칙적인 타자들이기 때문에, 굳이 무리해서 타구에 힘을 실으려 하지 않고 밀어치기로 공을 톡 건드려 일단 인플레이를 시킨 후 내야 안타를 노린다. 이런 타자들을 슬랩 히터(Slap-Hitter)라고 한다. 하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오히려 이 쪽이 더 재능이 필요한 영역일 수 있다. 당겨치기 위주의 슬러거는 완성도를 제하더라도 메이저리그 역사를 통틀어 숱하게 나왔지만, 이치로와 같은 선수는 이치로의 해당 항목에도 있지만 전문가들도 '실제로 이런 선수가 나올 줄은 몰랐다' 라고 할 정도로 굉장히 특이한 경우에 속하기 때문이다.[3] 메이저리그에 진출하는 일본 선수 중에도 슬랩 히터들이 많았다. 하지만 이치로 말고는 딱히 MLB에 큰 족적을 남긴 일본산 슬랩 히터는 없었다. 이와무라 아키노리, 아오키 노리치카 정도가 어느 정도 수준으로 살아남긴 했었다. 일본프로야구에서는 밀어치기로 유명했던 강타자가 오치아이 히로미츠와 기요하라 가즈히로가 있다.
타자의 파워가 딸린다던지 타격폼이 문제가 있던지 해서 의도치 않게 타구가 밀리는 경우에는 밀'''려'''치기[4] 라고 한다(…).
사회인 야구에서는 잘만 구사해 낼 수 있다면 대박이다. '''대부분의 타자들이 우투우타에 당겨치기밖에 못 하기 때문에''' 수비도 그에 맞춰 하기 때문.
3. 격투기 용어
끊어 치기의 반대말로 타격점에서 공격을 끊지 않고 상대방을 뚫고 나가는 느낌으로 지르는 펀치. 주로 중국권법에서 쓰이며, 권투에서도 바디를 칠 때는 밀어치기에 가까운 펀치를 쓴다.
[1] 우타석에 선 경우는 1루-우측 외야 방향, 좌타석에 선 경우는 3루-좌측 외야 방향.[2] 다만 조지 브렛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타율 높고 장타력 낮은 전형적인 스프레이 히터 똑딱이도 아니었다. 연평균 약 15개 정도의 홈런을 쳤고 20홈런 시즌도 8번이나 기록했으며 그 중 로열스가 처음으로 월드시리즈에서 우승한 1985년엔 커리어 최다인 30홈런을 기록하기까지 했다. 브렛은 커리어 순장타율 .183에 wRC+ 132를 기록했는데, 이는 2018년 7월 중순 기준으로 연평균 13~14 홈런 정도를 쳤고 커리어 순장타율 .173에 wRC+ 128짜리 타자인 추신수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다. 추신수가 어디가서 장타력이 있다는 소리는 들어도 똑딱이 소리는 듣지 않는다는 점을 생각해보자.[3] 굳이 후계자나 비슷한 예를 찾아본다면 디 고든이지만 디 고든은 이치로의 전성기 타율, 출루율, 심지어 파워까지 모든 면에서 다운 그레이드 버전이다.[4] 걸출한 장타력을 지녔으나 타이밍이 맞지 않아 밀려치기로 일관하던 한 선수가 있었다. 본의 아니게 "밀어치기에 능한 타자"라는 말을 듣던 그가 타격 타이밍을 교정한 이후로는... 홈런왕 등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