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clearfix]
1. 개요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은 1945년에 창당된 독일 바이에른 주의 중도보수주의·기독교 민주주의 정당이다. 독일 기독교민주연합(CDU)과 자매 정당이다. 기독교민주연합은 바이에른 주를 제외한 다른 모든 주에서 활동하고 기독교사회연합은 바이에른 주에서만 활동하기 때문에 서로의 활동 지역이 정확히 나뉘어져 있다. 두 당은 연방의회 하원에서 '''CDU/CSU'''라고 부르는 단일한 교섭단체로 활동한다.[1] 그리고 유럽의회에서도 두 당은 함께 유럽국민당(EVP, 영어: EPP)에 소속돼 활동하고 있다.
한국어 번역은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기사련)이 정확하지만 기독교사회당(기사당)이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꽤 많다. 그 이유는 한국에서 정당이 '당'으로 안 끝나는 정당은 1990년대에야 등장했기 때문에(자유민주연합이 최초 ) 그보다 훨씬 이전부터 외국의 정당들을 일괄적으로 ~당으로 번역하는 관행이 정착돼 지금까지 이어졌기 때문. 이 점은 독일 기독교민주연합도 같다. 연합뉴스에서는 이 당의 풀네임을 '''기독사회당'''으로 표기하고 약칭을 기사당으로 표기하고 있다.
독일 기독교민주연합과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은 모두 검정색을 상징색으로 쓰고 있다.
2. 기독교민주연합과의 관계
기독교사회연합(CSU)은 기독교민주연합(CDU)과 자매정당이기 때문에 기민련이 연방정부에서 집권했을 때 자기 당 소속 의원들이 각료로 들어간다. 아직까지 기독교사회연합에서 연방 총리를 낸 적은 한 번도 없다. 기사련의 당수였던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Franz Josef Strauß)와 에드문트 슈토이버(Edmund Stoiber)는 각각 1980년과 2002년에 CDU/CSU 공동 교섭단체의 대표가 돼서 총선을 지휘했었다. 그런데 운이 없었는지 이때는 CDU/CSU가 집권하지 못해서[2] 기사련에서 여태까지 연방 총리를 배출하지 못했다. 물론 기사련이 바이에른 주 총리[3] 는 많이 배출했다. 아니 현 독일연방공화국(서독 시절 포함) 성립 이후 역대 바이에른 주 총리는 '''한 명'''[4] '''빼고는 전부 기사련 소속'''이었다.
기민련과 기사련 사이에서 트러블이 일어나 자매정당 관계가 잠시 깨졌던 적이 한 번 있기는 하다. 바로 1976년의 일로 헬무트 콜의 교섭단체 내 라이벌이었던 바이에른 주 총리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가 두 당의 자매관계를 청산하려는 제스처를 취했었는데, 기민련에서 그 동안의 관계를 청산하고 바이에른 주에도 후보를 내겠다고 압박을 넣기도 했었다고 한다.
기사련이 기민련보다 더 보수적이라고 평가받아 사회보수주의 성향이라고 보기도 한다. 기민련보다 보수적인 성향이 2015년 시리아 난민 사태에서도 나타나 기사련에서 앙겔라 메르켈 총리의 무제한적인 난민 수용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기도 하다. 아예 당내에서 바이에른 독립도 검토해야 한다는 식의 발언까지 튀어나올 정도. 물론 진심으로 하는 말이라기보다는 기민련을 압박하기 위한 위협 발언으로 해석하면 된다.
사회적으로는 독일을 위한 대안 바로 다음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기민련보다 다소 보수적이라고 평가받는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보수색이 조금 더 두드러지는 편이다. 특히 난민 정책에서 난민을 웬만하면 수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라 기민련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19대 독일 총선에서 바이에른에서 지지율이 38%에 그치며 전국 득표율 7.0%까지 내려앉았다. 독일 비례대표 저지선 5%를 아슬아슬하게 상회하는데, 정말 바이에른에서 지지율 더 떨어지면 기사당의 존립이 위태로울 수 있다. 다만 직접 선거로는 늘 그렇듯 선거구마다 1등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46개 선거구) 아직 존립까지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5] 난민에 관해 보수적인 입장을 보이는 기사련이 기민당과 자주 충돌하면서도 결국 연정을 반드시 해야하는 입장에서 결국은 기민당의 정책을 따라 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기민련의 난민 정책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이 대안당으로 빠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2018년 설문조사에 따르면 바이에른 내 지지율이 41%까지 떨어져 내년 주의회에서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와 위기 의식이 크다. 결국 우려가 현실이 되어 과반을 확보 못한 채(41.5%) 겨우 제1당 지위를 유지했다. 그 와중에 전통의 맞수인 사민당도 추락하여 대신 동맹 90/녹색당이 의석을 더 확보했고, 극우 독일을 위한 대안이 사민당과 같은 수의 의석을 확보해 비상이 걸렸다. 결국 기사련과 중도~중도우파 정당인 자유 유권자(Freie Wähler, FW)[6] 가 연립 정부를 구성하였다.
[1] 독일에서 연방의회 상원은 각 주를 대표한다는 성격이 강해 교섭단체 제도가 없다. 그래서 상원에서는 따로 교섭단체를 꾸리지 않는다.[2] 1980년 총선의 경우 CDU/CSU가 근소하게 사회민주당을 누르고 제1세력이 되긴 했다. 그러나 캐스팅 보트를 쥐었던 자유민주당이 사민당과 연립정부를 꾸리기로 합의해(사민+자민당 의석이 과반을 달성해 CDU/CSU 의석보다 많음) CDU/CSU가 집권하지 못했다. 2002년 총선에는 사민당이 제1당이 된 다음에 동맹 90/녹색당과 연립정부를 구성해서 CDU/CSU가 집권하지 못했다.[3] 내각제 국가는 주까지 내각제인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주에도 총리를 둔다.[4] 사민당 소속의 빌헬름 회그너(Wilhelm Hoegner) 전 주 총리(재임 1945~1946, 1954~1957)가 유일하다. 사실 독일 제국 멸망 이후 1919~1920년에 잠시 사민당 소속 주 총리가 있긴 했었으나 그 이후로는 회그너가 유일하다. 참고로 그는 바이에른 주 헌법(독일은 연방 국가라 주에도 헌법이 있음)의 아버지라고 불린다.[5] 의석배분의 기준이 되는 5%선을 넘지 못하였어도 직접선거로 3명 이상 당선된 경우 의석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5%선이 무너질 것이 예상되는 경우 아예 전국 정당으로 선거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기사련은 바이에른에서 얻은 표 수로만 5% 저지선을 넘고 있는 셈이므로 7%가 사실은 굉장한 수준인 것. 정당 득표율이 7%에 불과한 기사련이 지역구에서 46석을 차지하는 바람에, 여기에 다른 정당의 의원수를 맞추느라 정원이 598석인 독일연방 하원이 704명까지 늘어났다.[6] 지방 자치, 풀뿌리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정당이라 주의회나 주의회보다 단계가 낮은 지방의회에서 활동하는데, 유일하게 바이에른의 자유 유권자만 선거를 통해 주의회에 진출했다. 작센안할트 주의회에도 자유 유권자 소속 의원이 있기는 하지만 그쪽은 본래 대안당 소속이었다. 브란덴부르크 주의회의 자유 유권자는 이름만 같은 별개의 정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