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마절도사
兵馬節度使
조선시대에 각 도의 육군을 지휘하는 책임을 맡은 종2품 외관직 무관.
병사라고 약칭하며 조선 초기부터 개칭전에는 병마도절제사라고 불리었다. 절도사라는 호칭은 중국 당나라의 절도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절도사는 단병사와 겸병사를 모두 합하여 총 15명이 있었다.
평안도·충청도·전라도·각각 1명씩, 그리고 함경도[1] 와 경상도[2] 에는 2명씩 모두 7명의 전임 절도사가 임명되었고, 그들을 단병사라 하였다. 함경도와 경상도가 2명씩 배치된 이유는 이 곳들이 각각 여진족과 일본의 침략을 방어하는 최전선였기 때문이다.
그 밖에 각 감영의 관찰사(감사)가 겸직하는 겸병사가 8도에 1명씩 있었다. 경기 ·강원도 ·황해도에는 단병사가 파견되지 않았으므로 관찰사가 겸병사로서 그 도의 군대를 통할하였다. 1593년 선조때부터는 황해도에도 단병사를 두어 조선 후기에는 16명의 병마절도사가 파견되었다.
지방군에선 이 병마절도사가 최고위 지휘관이다. 단, 외적의 침입이 벌어지거나 그에 대한 대비를 위해서 통합 지휘의 필요성이 생길 경우 복수의 절도사들을 통합 지휘하는 임시 관직인 도원수를 파견한다. 도원수가 관할하는 절도사의 범위는 유동적이다.
참고로 조선시대에는 지상작전사령관 및 제2작전사령관(대장; ★★★★)급 이상의 직책은 상설직이 아니라 전란이 일어났을 때만 임명되는 임시직이었는데, 이에 해당하는 직책이 도원수[5] 였다. 한 개의 도가 감당하기 힘든 대규모 적군이 처들어 왔을 경우엔 해당 지역과 인근 지역의 도 2~3개의 병력을 지휘하는 야전군사령관급 도원수가 임명되었고, 전란의 규모가 총력전 수준으로 번지면 수군을 포함한 조선군 전체를 총 지휘하는 합참의장급, 팔도 도원수가 등장했다.[6]
병마절도사(종2품)가 수군절도사(정3품)보다 높은 품계이다. 수군절도사를 거쳐서 병마절도사로 가는 것이 일반적인 코스 였다. 즉 준장 진급한 장성이 여단장을 거쳐서 2년 뒤에 소장에 진급하여 사단장에 진출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오히려 조선왕조실록에 대장에 속하는 직위는 훈련대장, 어영대장, 금위대장, 총융사라고 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위의 대장 밑의 부사령관 또는 작전사령관에 속하는 중군(아장이라고도 한다)에 임명되려면, 병사(병마절도사)를 지낸 사람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현재의 군계급과 관련지어서 보면 방어영의 방어사와 수군절도사를 거쳐야(준장) 병마절도사로 나갈 수가 있고, 병마절도사를 거쳐야(소장) 5군영의 중군(아장), 삼도수군통제사, 좌우 포도대장이 될 수 있으며(중장), 아장을 거쳐야 5군영의 대장(등단)이 되는 것이다.
조선 고종시절에 잠깐 수렴첨정하던 대왕대비의 명으로 삼도수군통제사를 대장에 똑같이 대우하는, '외등단'(바깥에 있는 대장)으로 올린 적이 있었다. 이때 통제사 밑의 통제우후가 직급에 맞지 않다 하여 5군영의 중군과 같이 병마절도사를 역임한 사람으로 하게 하였다. 그러다가 다시 외등단을 폐지하여, 통제사는 원래대로 대장보다 한단계 아래로 내려갔다.
조선시대에 각 도의 육군을 지휘하는 책임을 맡은 종2품 외관직 무관.
1. 개요
병사라고 약칭하며 조선 초기부터 개칭전에는 병마도절제사라고 불리었다. 절도사라는 호칭은 중국 당나라의 절도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절도사는 단병사와 겸병사를 모두 합하여 총 15명이 있었다.
평안도·충청도·전라도·각각 1명씩, 그리고 함경도[1] 와 경상도[2] 에는 2명씩 모두 7명의 전임 절도사가 임명되었고, 그들을 단병사라 하였다. 함경도와 경상도가 2명씩 배치된 이유는 이 곳들이 각각 여진족과 일본의 침략을 방어하는 최전선였기 때문이다.
그 밖에 각 감영의 관찰사(감사)가 겸직하는 겸병사가 8도에 1명씩 있었다. 경기 ·강원도 ·황해도에는 단병사가 파견되지 않았으므로 관찰사가 겸병사로서 그 도의 군대를 통할하였다. 1593년 선조때부터는 황해도에도 단병사를 두어 조선 후기에는 16명의 병마절도사가 파견되었다.
지방군에선 이 병마절도사가 최고위 지휘관이다. 단, 외적의 침입이 벌어지거나 그에 대한 대비를 위해서 통합 지휘의 필요성이 생길 경우 복수의 절도사들을 통합 지휘하는 임시 관직인 도원수를 파견한다. 도원수가 관할하는 절도사의 범위는 유동적이다.
2. 현대와 비교
참고로 조선시대에는 지상작전사령관 및 제2작전사령관(대장; ★★★★)급 이상의 직책은 상설직이 아니라 전란이 일어났을 때만 임명되는 임시직이었는데, 이에 해당하는 직책이 도원수[5] 였다. 한 개의 도가 감당하기 힘든 대규모 적군이 처들어 왔을 경우엔 해당 지역과 인근 지역의 도 2~3개의 병력을 지휘하는 야전군사령관급 도원수가 임명되었고, 전란의 규모가 총력전 수준으로 번지면 수군을 포함한 조선군 전체를 총 지휘하는 합참의장급, 팔도 도원수가 등장했다.[6]
3. 8도의 절도사
병마절도사(종2품)가 수군절도사(정3품)보다 높은 품계이다. 수군절도사를 거쳐서 병마절도사로 가는 것이 일반적인 코스 였다. 즉 준장 진급한 장성이 여단장을 거쳐서 2년 뒤에 소장에 진급하여 사단장에 진출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오히려 조선왕조실록에 대장에 속하는 직위는 훈련대장, 어영대장, 금위대장, 총융사라고 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위의 대장 밑의 부사령관 또는 작전사령관에 속하는 중군(아장이라고도 한다)에 임명되려면, 병사(병마절도사)를 지낸 사람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현재의 군계급과 관련지어서 보면 방어영의 방어사와 수군절도사를 거쳐야(준장) 병마절도사로 나갈 수가 있고, 병마절도사를 거쳐야(소장) 5군영의 중군(아장), 삼도수군통제사, 좌우 포도대장이 될 수 있으며(중장), 아장을 거쳐야 5군영의 대장(등단)이 되는 것이다.
조선 고종시절에 잠깐 수렴첨정하던 대왕대비의 명으로 삼도수군통제사를 대장에 똑같이 대우하는, '외등단'(바깥에 있는 대장)으로 올린 적이 있었다. 이때 통제사 밑의 통제우후가 직급에 맞지 않다 하여 5군영의 중군과 같이 병마절도사를 역임한 사람으로 하게 하였다. 그러다가 다시 외등단을 폐지하여, 통제사는 원래대로 대장보다 한단계 아래로 내려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