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문
[image]
普通門
1. 개요
평양(평양성)에 있는 성문의 하나다. 북한의 국보 제3호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1호 숭례문과 대응하는 포지션의 유적이다. 한국전쟁 당시 평양시내에서 기적같이 살아남은 2채의 건물중 하나이다.
위치는 북한 평양직할시 중구역의 보통문동[1] 에 있다.
2. 연혁
건립은 6세기 고구려 때로, 평양 중성의 서문으로 건립되었다. 조선 초에 개축되어 오늘날까지 그 모습으로 존재한다. 그래서 건축 양식은 고려 시대 양식을 따른다. 채제공이 50세 때 평안감사가 되어 보통문을 중수하고 낙성할 때 지은 보통문 중건기(普通門重建記)가 남아 있다.
평양의 국방과 교통의 관문으로 대접받았으며, 이 점에서도 숭례문과 포지션이 겹친다. 1960년대 평양시에 새로운 거리를 설계할 때 보통문을 사거리 한복판에 두고 천리마거리와 창광거리, 보통문 거리가 동쪽, 남쪽, 북쪽으로 뻗었으며 서쪽으로는 보통강에 있는 보통강 다리로 이어지도록 배치되었다. 평양 구시가와 신시가를 잇는 중심에 보통문이 위치하고 있는 셈. 조선 시대에는 보통송객(普通送客, 보통강 나루에서 손님을 전송하는 장면)이 평양팔경(평양의 여덟 가지 볼거리)의 하나로 유명했는데, 현재는 보통문 누마루에서 보통강 너머로 마주 보이는 건물이 류경호텔인지라... 안습.[2]
한국전쟁 당시 미 공군은 북측의 수도인 평양을 세 차례에 걸쳐서 대공습작전을 진행하였고, 쑥을 재배한다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평양은 폭격으로 쑥대밭으로 변하였다. 1952년에 진행된 1차부터 3차까지의 대공습작전 동안 저 때 멀쩡하게 서있던 건물이 단 두 채였다는데 그게 어떤 초가집이랑 저 보통문이라고 한다.[3] 이는 김일성의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 나오는 내용이라고 한다.
라이벌 도시(?)[4] 의 상징적인 문인 숭례문이 안타깝게도 방화 사건으로 크게 불탄 뒤 복원되었지만, 이 보통문만은 조선 초에 지어진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 임진왜란 때도[5] (그리고 6.25 전쟁 때도) 파괴되지 않아 신문(神門)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이렇게 살아남은게 얼마나 기적인지 와닿지 않는다면, 2차 세계대전 당시 도쿄와 베들린의 사진을 보면된다. 소이탄과 네이팜탄으로 폭격해서 남아있더라도 불바다가 되는것이 소이탄과 네이팜탄이다.
3. 이름의 유래
첨언하자면, 보통문의 유래는 대동강의 지류인 보통강에서 나온 이름이다. 이는 소재지인 보통문동도 마찬가지.
4. 통일이후?
평양의 상징적인 건축물 중 하나로서, 관광요소 중 필수적인 방문지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남북통일 이후 평양이 대대적인 재개발에 들어가고 지하철 노선이 여럿 건설된다면, 근처에 광화문역처럼 보통문역이 세워질 수도 있다.
또한 전쟁과 격동의 시기를 여럿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원본 그대로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일이 되면 대한민국의 국보, 못해도 보물 등급에는 등재될 가능성이 높다. 사실 북한측도 보통문의 가치를 모르는 건 아니라서 보통문은 북한의 국보 3호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