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하라 유대인

 

'''부하라 유대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종교
3. 역사
4. 문화
5. 이스라엘의 부하라 유대인
6. 미국의 부하라 유대인

[image]

1. 개요


  • Bukharan Jews
  • 러시아어: Бухарские евреи(부하리스키예 에브레이)
  • בוכרים (부하림)
부하라 유대인은 이란어 계열의 타지크어 중 부호리 유대인 방언을 사용하는 중앙아시아 유대인을 지칭한다. 16세기부터 18세기 사이는 이란에서 오늘날에는 우즈베키스탄의 도시에 해당하는 부하라에 이주한 유대인들의 후손이다. 1970년대 소련 영내에 거주하던 부하라 유대인의 수는 통계상 3만여 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1만 7천여 명은 1970년대 이스라엘, 미국, 캐나다, 호주로 이주했다. 오늘날 부하라 유대인의 인구 수는 이보다는 훨씬 많은 18만여 명 이상으로 추정되는데, 이스라엘이나 미국으로 이민 가기 이전에는 무슬림인 척 하던 경우도 많았고, 다른 유대인들과 통혼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부하라 유대인 상당수는 젊은 세대일수록 우즈베크어와 부호리어를 잘 구사하지 못하며, 대신 러시아어의 영향력은 아직도 강하다고 한다.

2. 종교


이들은 미즈라힘, 세파르딤과 예법을 공유했으며, 오늘날에는 이런저런 이유로 아슈케나짐 유대인과 빠른 속도로 동화되고 있다. 부하라에서 거주하는 기간 동안 아예 이슬람으로 '''완전 개종'''하고 무슬림과 통혼하는 인구도 꽤 많았다.

3. 역사


이들은 부하라 외에도 타슈켄트, 사마르칸드, 페르가나에도 많은 수가 거주했었으며, 타지키스탄의 후잔트, 카자흐스탄의 타라즈, 쉼켄트에도 많은 수가 거주했다. 원래 메소포타미아와 페르시아에 거주하던 유대인들이 오늘날의 튀르크메니스탄 영토에 해당하는 호라산메르브[1]를 거점 삼아서 트란스옥시아나의 여러 도시들로 이주한 것이 이들의 기원이다.
이미 중세 초부터 사마르칸드와 발흐 내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었다. 특히 사마르칸드의 유대인 공동체는 서기 12세기 무렵 크게 부흥했다.[2] 원래 이 중앙아시아 유대인들은 페르시아계 유대인과 거의 비슷한 언어와 문화를 공유했으나, 16세기 이후 이란의 사파비 왕조가 영내의 이란인들을 쉬아파로 개종시키고, 중앙아시아의 순니파 튀르크인들과 대판 싸우면서 양자 간의 왕래가 힘들어지는 바람에 분화되었다 추정된다. 여기에 더해 사파비 왕조는 이들의 라이벌이었던 아르메니아인 상인들을 우대해주었고, 이 때문에 아르메니아인에 의해 유대인의 생계 수단이 상당 부분 잠식당하면서 16~18세기 동안 이란 유대인 상당수가 부하라로 이주하였다. 16세기부터 18세기동안 부하라는 무굴 제국으로 군마로 쓸 말을 수출하고 중국에서 수입한 차를 다른 지역으로 중계 무역하면서 번영을 누리고 있었다.
본래 부하라 칸국시나고그 건설을 허가하지 않았으나, 이들은 마스지드 건설 기금을 후원하면서 그 부속시설로 시나고그를 함께 짓게 하는 방식으로 예배 공간을 확보했다. 부하라 칸국의 통치자들은 개인 성향에 따라 유대인들을 탄압하는 경우도 있었고 관용을 베푸는 경우도 있었으며, 부하라 유대인들은 종교 행사를 대개 집에서 몰래 하곤 했다. 19세기에는 무굴 제국과 부하라와의 무역이 붕괴되고 경제 침체가 이어지면서 무슬림 상인들이 경쟁자였던 부하라 유대인들을 박해하기 시작했다.
19세기 말 우즈베키스탄이 러시아 제국의 정복된 이래 이들은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지배를 연달아 받게 되었다. 러시아 제국에서는 이들을 러시아 제국의 신민이 아닌 외국인으로 간주하였고, 러시아 제국 법을 적용받지 않았으며, 병역 부담을 지지 않는 대신 부동산을 구입하거나 자기 명의로 사업하는 일이 허용되지 않았다.
2차 대전 동안 많은 부하라 유대인들이 징집되었는데, 이 가운데 1만여 명이 전사하거나 실종되었다 한다.[3]
1987년 소련 통계와 이스라엘의 부하라 유대인 커뮤니티의 통계를 합산한 바에 따르면 부하라 유대인의 수는 총 8만 5천여 명에 달했으며, 이 가운데 4만 5천여 명은 구 소련 영내에, 3만 2천여 명은 이스라엘에 거주하고 미국 등지에 3천여 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한다.
러시아에 사는 부하라 유대인은 러시아의 또다른 유대인인 아슈케나짐, 산악 유대인, 카라임 유대인과 통혼하는 경우도 있다.

4. 문화


이들이 먹는 음식은 코셔 식재료로 만든 타지키스탄 요리우즈벡 요리 등 중앙아시아 일대 요리들로 탄두리 화덕에 구운 난(빵)과 플로프, 삼사, 면 요리인 라그만 등을 먹는다. 코셔가 유제품과 고기를 같이 먹을 수 없다는 규정상 유제품 요리는 따로 두거나 고기가 들어간 요리에는 유제품이 들어가진 않는다.

5. 이스라엘의 부하라 유대인


1868년부터 제1차 세계대전 사이의 기간동안 1,500여 명의 부하라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이주했다. 이후 1차 대전 기간부터 1930년대에 해당하는 기간동안 약 4천여 명이 추가로 이스라엘로 '''육로를 통해서''' 이주했는데, 이 과정에서 8백여 명이 탈수, 기아, 질병 등으로 사망했다 한다. 1970년대에는 소련에서 유대인의 해외 이주를 허용하면서 15,500여 명이 이스라엘로 추가로 이주했다. 오늘날 이스라엘에는 10~12만명의 부하라 유대인의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다.

6. 미국의 부하라 유대인


소련 붕괴 이후에는 유대인을 지원하는 기독교 선교 단체의 지원으로 많은 수의 부하라 유대인들이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에서 미국으로 이민갔다. 미국으로 이민 간 부하라 유대인들은 오늘날 뉴욕 퀸즈를 중심으로 5만명 정도가 모여산다고 한다.

[1] 서기 4세기 무렵 대규모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다.[2] 이들의 일파는 송나라 시절 중국 카이펑로 이주하여 카이펑의 유대교도의 기원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3] 다만 통계상 3만여 명의 부하라 유대인 중 1만여 명이 전쟁 중 전사했다는 내용은 신빙성이 의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