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럼알렉산더르
1. 소개
네덜란드 왕국 오라녜나사우 왕조의 제7대 국왕이자, 고조부인 빌럼 3세 이후 123년 만에 등장한 남성 군주이다. 본명은 빌럼알렉산더르 클라우스 헤오르허 페르디난트(Willem-Alexander Claus George Ferdinand)이다.
2013년 어머니 베아트릭스 여왕으로부터 양위받아 즉위했다. 국왕으로서 사용할 존호(Regnal name)를 정할 때 고조부의 전례를 따라 '빌럼 4세'로 하지 않고[2] 왕세자 시절의 이름인 '빌럼알렉산더르'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해 화제를 모았다. 기존에 없던 새로운 존호를 사용했기 때문에 유럽의 존호에 따른 규칙에 따르면 '빌럼알렉산더르 1세'가 아니고 그냥 '빌럼알렉산더르'가 올바른 표현이다. 훗날 또다른 빌럼알렉산더르 국왕이 등장하여 '빌럼알렉산더르 2세'가 된다면 그때서야 빌럼알렉산더르 1세라고 불리게 될 것이다.
2. 생애
1967년 4월 27일, 율리아나 여왕 재위기간에 베아트릭스 공주와 부군 클라우스 폰 암스베르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정규 교육 과정을 마친 뒤 네덜란드 해군에서 1985~1987년까지 복무했으며, 그 사이에 1980년 4월 30일 외조모 율리아나 여왕이 베아트릭스 공주에게 양위함에 따라 오라녜 공(Prins van Oranje, 왕세자)이 되었다.
2006년 국제연합 사무총장 산하 물과 위생 자문위원회(UNSGAB) 위원장으로 선출되어 활동했으며, 2013년 4월 30일 베아트릭스 여왕이 외조모와 모친의 전례를 따라 아들 빌럼알렉산더르에게 양위하고 여대공으로 물러나면서 네덜란드의 국왕이 되었다.
왕세자 시절에는 자유분방한 행동 때문에 영 인기가 좋지 않았고, 대다수 국민 여론도 베아트릭스 여왕이 승하할 때까지 장기 재위하기를 희망했었다. 심지어 그가 대학을 다니던 시절엔 그의 전공인 역사학 강의실에 누가 "빌럼알렉산더르 아웃! 군주제 폐지!"라고 몰래 써놓은 사건도 있었다 한다. 이후 아내 막시마 소레기에타와의 결혼과 장인의 아르헨티나 군부 독재 정권 시절의 부역 논란까지 겹치면서, 그의 인기는 왕이 된 뒤에도 어머니 베아트릭스 전 여왕에 비하면 영 못한 수준이다. 하지만 아래에 하술된 것처럼 아내 다이애나 스펜서 왕세자비를 내쳐버리고 사실상 죽음으로 내몰다시피하며 사생활 문제에서 큰 지탄을 받고 있는 바다 건너 영국의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왕세자와 달리 아내와 자신에게 쏟아지는 비판에도 굴하지 않고 아내 막시마와의 결혼을 지키고 있는 애처가라는 점에서 빌럼알렉산더르 현 네덜란드 국왕에 대해 네덜란드 국내와 유럽의 여러 나라들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사람들도 있다.
3. 가족관계
[image]
아르헨티나 출신의 막시마 소레기에타와 왕세자 시절인 2002년 2월 2일에 결혼해 슬하에 카타리나아말리아 왕세녀, 알렉시아 공주, 아리아느 공주 등 딸 셋을 두었다. 이 때문에, 빌럼알렉산더르가 후에 사망 혹은 양위를 할 경우, 네덜란드는 다시 여왕이 즉위하게 될지 모른다.
장인인 호르헤 소레기에타가 아르헨티나 호르헤 비델라 군사독재정권에서 농업부 장관을 지낸 경력이 있었기 때문에 왕세자의 결혼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결혼식에 장모, 장인어른인 소레기에타 부부가 불참하는 것으로 여론이 무마되었다. 이러한 모습은 10년 뒤에 빌럼알렉산더르가 즉위할 때도 그대로 재현되어, 소레기에타 부부는 사위 부부의 대관식에 참석하지 못했다.
이 분 못지않게 어마어마한 애처가이다. 장인, 장모에 대한 험담이나 장인 어른의 죄상으로 인해 아내를 험담하거나 여러가지 방법으로 공격하려고 하는 자들에게는 '''강력한 법의 심판'''까지 동원해가면서 막고 있다.[3] 그걸로 끝도 아니고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4강에서 네덜란드가 다름아닌 아내의 조국인 아르헨티나와 맞붙게 되자 텔레비전을 꺼버리고 아무도 응원하지 않았다.[4] 결과는 승부차기 끝에 아르헨티나가 네덜란드를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
때문에 네덜란드 국민들은 물론 주변국 사람들도 빌럼 알렉산더르를 모범적인 남편으로 손꼽으며 매우 많이 존경한다. 거기에 영국의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왕세자와 비교되는 점도 있기 때문에 그 효과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3.1. 자녀
4. 여담
- 위상이 국왕이지만, 타 국가의 군주들과는 달리 참 자유로운 스타일이다. 암스테르담 지하철을 이용해 시내 산책을 하며 시민들과 어울리거나 셀카를 찍기도 하고, 시민들과 함께 공원에서 산책을 하거나 시내의 평범한 카페에 가서 커피를 마시기도 하는 등 국민들과 많이 어울리는 편이다. 또한 그의 옷차림 역시 평상시엔 평범한 정장을 입고 있으며 공원에서 산책할 때에는 져지를 입거나 패딩을 입는 등 스타일도 자유롭다.
- 최근엔 수염을 덥수룩하게 기른 듯 하다.
- 왕세자 시절에는 간간히 'prins pils'란 별명으로 불렀는데 레이던 대학교 재학 시절 맥주를 마시고 주사를 유난히 부렸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당연하지만 본인은 이 별명을 매우 싫어한다.
- 베아트릭스 여왕이 33년간 재위한 이후 양위를 결정하자 영국 신문 데일리 미러[5] 에선 '여왕,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다'란 헤드라인을 띄우고 '진정해 찰스, 네덜란드 이야기야'라고 찰스 필립 아서 조지 왕세자를 능욕(?)했다.
- 역대 네덜란드 국왕으로는 최초로 한국을 방문한 왕이다. 2014년 11월 초에 국빈 방문하였는데,[6] 왕세자 시절에도 이미 4번 방한한 적이 있다. 또,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했다.
- 즉위 직후 일본에 국빈 방문한 적이 있는데, 이때 일본이 제공한 후쿠시마산 토마토를 시식했다.
- 키 183cm인데 아내 막시마 소레기에타 왕후가 178cm라서 부부의 키가 거의 비슷하다.
- 2017년 5월 17일, 네덜란드 일간 텔레그라프(Telegraaf)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21년간 왕실업무와는 별도로 한 달에 두 번 부기장으로 KLM 소속 여객기를 몰았다고 밝혔다. KLM 부기장으로 일하며 자신의 신원을 최대한 노출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고 한다.[7]
- 네덜란드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유행 당시 유례없는 대국민 연설을 통해 감염자와 사망자를 비롯한 가족들을 위로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인해 외출을 하지 못하는 국민들을 응원하였다. 또한 코로나와 싸우며 확산을 억제하고 있는 RIVM 관계자 및 의료진들에겐 정말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며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고맙다며 응원했다. 국가 비상사태로 인한 국왕의 연설은 빌헬미나 여왕의 제 2차 세계대전 라디오 연설 이래로 처음있는 일이다.
- 현지시간 기준 8월 16일에 국왕 부부가 그리스에서 휴가를 보내는데, 코로나 19에 의한 국민적 비난에 직면하자[8] , 다음날 저녁, 하루 만에 헤이그에 있는 왕궁으로 돌아왔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어긴 논란으로 사과했다.#
- 원래부터 역대 왕들에 비해 살짝 거구인지라 네덜란드를 순방중인 필리프 벨기에 국왕과 같이 다니는 모습을 보면 체구에 훤히 차이가 난다.
- 2020년 송년 연설을 보면 코로나로 인한 외부활동이 적어졌는지 살이쪄서 후덕해진 모습으로 네덜란드 국민에게 충공깽을 선사했다. 당장 위의 사진과 비교해봐도 차이가 심하다.
- 영상에서 집무실이 공개 되었는데, 개인용 데스크탑으로 Apple iMac을 사용하는것으로 밝혀져 화제거리가 되고있다. 위에서 언급했듯 개인용 스마트폰도 아이폰을 쓰는걸로 보아 Apple 제품을 선호하는듯 하다.
[1] 일반적으로는 이렇게 쓰지만 네덜란드인들조차 '조지' 혹은 '게오르크'에 가깝게 읽는 등 발음이 일정하지 않다.[2] 1997년 인터뷰에서는 빌럼 4세로 즉위할 의향이 있다고 했지만, 세월이 지나며 생각이 바뀐 걸로 보인다.[3] 그래서 아르헨티나 민주화 세력과 국민들은 국왕을 싫어한다.[4] 참고로 두 팀은 조별리그부터 둘이 맞붙게 되기까지 '''상대하는 모든 팀을 이기고 올라왔다.'''[5] 황색언론으로 세계 수위권을 다투는 신문이다.[6] 참고로 이 때 거스 히딩크 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도 경제사절단 자격으로 같이 방문하였다.[7] 차트를 달리는 남자 '재벌들의 괴짜 취미'에서 4위에 랭크됐다.[8] 게다가 총리인 마르크 뤼터는 봉쇄로 인해 어머니의 임종까지 지키지 못해 더 비판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