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슬램

 


[image]
1. 개요
2. 변형 기술


1. 개요


상대를 옆으로 마주 본 상태에서 상대의 목과 어깨를 잡아 들어서 내려찍는 슬램류 기술. 초크슬램과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기술이다.
기술시전이 간단하면서도 임팩트를 낼 수 있어서 많은 선수들이 사용하고 있다. 북미에서는 WWE에서 빅 보스맨이 보스맨 슬램을 사용했고 이후로는 더 락피니시 무브 인 락 바텀이 제일 유명하다.[1] 그 외에 부커 T의 북 엔드도 동형기술로 유명하다. 락은 자신의 트위터에서 일본인 프로레슬러 하세 히로시[2]의 우라나게를 보고[3] 영감을 받아 락 바텀을 만들었다고 한다.[4]

2. 변형 기술


쉽고 간단하고 임팩트도 있는 기술이라 변용도 매우 많다.
[image]
매트 하디의 준피니쉬 중 하나인 사이드 이펙트. 일반적인 사이드 슬램과 달리 앞으로 엎드리는 것이[5] 아닌 앞으로 점프하면서 눕 듯이 쓰러지며 공격하는 기술로 피니시 무브는 아니지만[6] 이 기술도 꽤 괜찮은 임팩트가 있기 때문에 인기가 높다.
[image]
움짤의 주인공은 3MB의 멤버였던 진더 마할.[7] 상대를 풀넬슨으로 잡은 뒤 사용하는 사이드 슬램. 보통 풀넬슨 슬램이라 불리며, 한쪽 팔로만 풀넬슨을 걸고 사용하면 하프넬슨 슬램이 된다. WWE에서는 현재 데미안 샌도우가 피니쉬로 쓰고 있으며 전 WWE 레슬러 중에서는 패트리어트가 풀넬슨 슬램을 피니시 기술로 사용했고 하드코어 할리, 테스트가 풀넬슨 슬램을[8], 발 비너스가 하프넬슨 슬램을 준피니쉬급 기술로 사용했다.
[image]
회전하면서 사용하는 사이드 슬램. 움짤의 주인공인 어비스의 블랙홀 슬램이 대표적이다. 상대가 가벼울 경우 두 세 바퀴 씩 돌기도 한다. 어비스 이전에는 빅 보스 맨의 피니쉬인 보스맨 슬램으로 유명했으며[9], WWE에서는 바티스타, 비세라가 쓰기도 했다. 현재 WWE에서 이 기술을 사용하는 선수는 웨이드 바렛루크 하퍼. 각각 "윈즈 오브 체인지"와 "트럭 스탑"이란 이름으로 사용한다. 존 목슬리도 이 기술을 인디시절 피니시로 사용했다. 현재는 시그니쳐 무브로 간간히 사용 중.
[image]
허리와 다리를 잡아 좀 더 높게 들어서 내려찍는 웨이스트 리프트 사이드 슬램. 하야부사의 H엣지, 위 움짤의 주인공인 리키오 타케시의 무쌍(無双)이 유명하다. 동형기를 WWE의 라스 설리반이 '프릭크 액시던트'라는 이름으로 사용 중이다.

코브라 클러치를 건 상태로 사이드 슬램으로 연결하는 테드 디비아시 주니어의 드림 스트리트. 진더 마할 역시 2016년부터는 풀 넬슨 슬램 대신 이 기술을 피니쉬 무브로 쓰고 있다.[10] 그 외에 슬리퍼 홀드를 건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빌리 건의 피니쉬 무브인 원 앤 온리가 이 형태이다.
[image]
상대를 스쿱자세로 들어서 돌리면서 사이드 슬램으로 연결하는 크리스 해리스의 카타토닉. 움짤은 상대방이 그렇게 높지 않지만 시전하기 전 자세에서 시전자의 왼쪽 팔을 상대방의 어깨 밑으로 넣으면 회전하는 힘을 이용하여 거의 웨이스트 리프트 사이드 슬램과 가까운 높이까지 상대를 높이 들어올릴 수 있다. 우마가도 이 기술을 자주 사용했다. 현재는 루세프빅 캐스 등이 사용한다.
상대를 백드롭처럼 들은 뒤 회전해 사이드 슬램으로 연결하는 기술을 마크 진드락은 마크 오브 엑셀런스, 로만 레인즈는 모먼트 오브 사일런스란 이름으로 사용한다. 데이브 바티스타도 한때 사용했는데 그다지 오래가진 못했다.
[image]
존 모리슨의 C4. 사이드 슬램 자세에서 제자리 문설트로 연결하는 문설트 사이드 슬램. 제자리에서 쓰기보단 주로 탑로프에 올라가서 쓰는 경우가 더 많다. 시라누이 항목 참조. 존 모리슨이 쓰기 전에 해적 기믹이었던 폴 버칠이 피니쉬로 사용한 적이 있다.
[image]
김두훈의 피니쉬 KDH. 상대를 뒤에서 잡는다는 것이 일반 사이드 슬램과의 차이점. 변형 하프넬슨 사이드 슬램이라고 할 만하다.
[image]
사모아 조의 ST Joe, 자신이 코너에 몰려졌을 때 카운터로 사용한다.
STO를 응용한 기술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사이드 슬램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image]
빅 E도 조와 동일기술을 사용한다. 이쪽은 사모아 조 선수와 달리 메칠 때 자신도 같이 쓰러지며 메친다.
[1] 사실 피플즈 엘보우의 셋업무브는 스파인 버스터가 더 많이 쓰였다.[2] 전일본 프로레슬링을 중심으로 활동한 프로레슬러로 현재는 은퇴하고 정치계에 투신하였다. [3] 하세 히로시는 자이언트 스윙, 노던 라이트 수플렉스, 그리고 이 우라나게가 특기였는데. 특히 노던 라이트 수플렉스와 우라나게는 하세 히로시가 직접 고안해낸 기술이다.[4] 이전에는 락 바텀의 원조가 익스플로이더, 혹은 유도의 우라나게가 아닌가 하는 말이 있었지만 익스플로이더는 사이드 슬램이 아닌 수플렉스에 가까운 기술이고(슬램과 수플렉스는 둘 다 상대방을 등으로 떨어뜨리는 기술이지만 슬램은 앞으로, 수플렉스는 뒤로 던지는 기술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무엇보다 락 본인이 우라나게를 보고 만들었다고 하니 사실이 아니다. 또, 하세 히로시는 이 기술을 삼보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었다고 하니 유도의 우라나게와는 겉모습도 그렇고 다른 기술이다. 유도의 우라나게는 형태는 백드롭과 비슷하게 뒤로 던지지만 실제로는 반격기에 가까운 기술이다.[5] 초창기에는 모션이 조금 달라서 점프할 때 양 팔을 그대로 감싼 채로 점프한다. 피폭자의 낙법이 어렵다는 문제 때문인지 나중에는 페디그리처럼 공중에서 한 팔을 놔준다.[6] 예외적으로 탑로프에서 사용하면 위력과 시각 효과가 크게 증가해 위클리 쇼에서 이 기술로 끝내는 경우도 더러 있다.[7] 샌즈 오브 타임(Sands of Time)이란 명칭으로 썼다.[8] 2000년 9월 스맥다운에서 풀넬슨 슬램으로 트리플 H에게 클린 핀폴을 얻어내기도 했다. 커트 앵글의 도움이 있긴 했지만...[9] 단, 초창기때는 스파인버스터랑 비슷했고, 나중엔 회전도 들어가기도 하고 이름은 같은데 기술의 변화가 많았다.[10] 기술명은 더 칼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