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스틱
1. 개요
비행기를 조종하는 조이스틱 방식의 조종간으로서, 디지털 FBW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하나다.[1]
사이드스틱 조종장치를 쓰는 기종으로는 록히드 마틴의 F-16 계통에서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해서 F-22, F-35, 다쏘 항공의 라팔과 비즈니스 항공기인 팰콘 7X, 수호이의 수호이 수퍼제트 100, 에어버스에서 생산된 대부분의 항공기(A220, A320, A330, A340, A350, A380), 에어버스 디펜스 앤 스페이스에서 만드는 군용 수송기인 A400M과 공중급유기인 A330 MRTT가 쓰고 있다.
사이드스틱과 비슷한 것으로는 센터스틱이란 것이 있다. 사이드스틱과 마찬가지로 조이스틱 방식의 조종간이며 조작 방식도 동일하지만 사이드스틱과는 위치가 다른 것이 특징으로, 왼쪽이나 오른쪽에 위치하는 사이드스틱과는 달리 가운데에 위치한다. 사이드스틱에 비해서 G(중력가속도) 내성에서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사이드스틱과는 달리 왼손잡이/오른손잡이 여부를 가리지 않는다는 장점도 갖고 있다. 센터스틱 조종장치를 쓰는 기종으로는 보잉의 F-15SE와 F/A-18, F/A-18E/F 등이 있다.
사이드스틱과 센터스틱은 기본적으로 항공기의 기본 3축 중 피치와 롤의 조작에 쓰이는데, 롤은 스틱을 좌우로 젖힘으로서 조작하고, 피치는 스틱을 전후 방향으로 젖히거나 당김으로서 조작한다.[2]
2. 요크#s-3와의 차이점
장점으로는 요크#s-3식 조종간과는 다르게 왼쪽에 있거나 오른쪽에 있기 때문에 중앙 계기판 부분에다가 선반 같은 것으로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3] 또한 요크와는 달리 계기판을 가리지 않는다.
단점으로는 사이드스틱의 기본적인 위치로 봤을 때, 왼손잡이가 사용하기에는 약간의 문제점이 있다. 오른손잡이가 대다수인걸 고려한 설계 때문에 보편적으로 조종간이, 조종사 기준으로 우측에 있다. 하지만 에어버스 기종의 기장이 왼손잡이라면 이 점은 아주 유리하다. 왜냐하면 대부분 기장이 왼쪽에 앉기 때문이다. 에어버스 기종의 기장석에는 왼쪽에 사이드스틱이 있기 때문.
사실 요크로 되어 있더라도 기장석에 앉으면 왼손으로 조종하고 부기장석에 앉으면 오른손으로 조종한다. 이유는 여객기의 경우 기장석 기준 왼손으로 조종하고 오른손으로는 스로틀 조절을 해야 하기 때문. 이는 조종간이 사이드스틱인가 센터스틱인가를 불문하고 기본적으로 오른손으로 조종하고(센터스틱의 경우에는 왼손으로도 조종이 가능하긴 하지만) 왼손으로 스로틀 조절을 하도록 되어 있는 전투기와는 극명하게 대비되는 부분이다.
2.1. 보잉의 요크 vs 에어버스의 사이드스틱
- 보잉의 경우 기장이 요크를 움직이면 부기장석에 있는 요크도 동기화되어 움직이지만, 에어버스의 경우에는 기장의 사이드스틱과 부기장의 사이드스틱이 각각 따로 움직인다. 만약 양쪽 스틱에 상반된 명령이 내려진다면 어느쪽 스틱을 따를것인지 결정 할 수 있다.
[1] 하지만 그렇다고 FBW에 반드시 들어가는 요소는 아니다. F-15SE나 F/A-18 등은 FBW가 들어가 있음에도 센터스틱을 사용하고 있고 보잉의 B777 이후의 기종들은 미국계 민항사들의 요구로 요크#s-3식 FBW를 체용해서 사용하고 있다.[2] 자동차의 좌우 선회에 해당되는 요우의 경우에는, 스틱이 아닌 러더 페달로 조작한다.[3] 에어버스는 저 공간에 A350과 A380에는 기체의 내장 컴퓨터의 조작을 위한 키보드를 설치했고 A320과 A330, A340에는 노트북 컴퓨터를 설치할 수 있는 옵션을 마련해 두었다.[4] 이는 요크에 모터가 달려 있기 때문이다.[5] 컴퓨터가 직접 조종면을 움직이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