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남

 


1. 충청도·전라도·경상도를 함께 묶어서 부르는 말
1.1. 정치 면에서
1.2. 군사 면에서


1. 충청도·전라도·경상도를 함께 묶어서 부르는 말


한반도 남쪽에 위치한 세 개의 도를 묶어 이르는 말. 전통적인 한국 남부의 범위와 거의 겹친다. 옛날에는 많이 사용되던 말이었지만, 남북분단 이후에는 삼남 지방이 실질적 국토의 70% 이상[1]을 차지하게 돼버리다보니 너무 비중이 커져서 현재는 잘 쓰이지 않고, 대신 각 도를 따로따로 부르는 경향이 강해졌다. 또는 수도권 집중화 때문에 그냥 강원도도 포함해서 지방이라 부른다.
비슷한 개념으로 조선시대에도 이 세 개 도를 싸잡아 '하삼도(下三道)'라고 불렀다. 한편 충청도를 빼고 영호남만을 "'''양남'''(兩南)"이라 부르기도 한다. 반대로 평안도·함경도·황해도를 묶어 북삼도라고 불렀다.
따뜻한 기후에다 평야도 비교적 넓고 많아서 농사가 잘 되는 지방이다. '''삼남이 풍년이면 천하는 굶주리지 않는다'''는 속담까지 있을 정도니 알만하다.

1.1. 정치 면에서


현대 정치적으로는 가끔 언급되기도 하는데, 한국이 서울을 비롯한 중앙 집권이라고는 하지만 그 권력자와 한다고 하는 정치 세력들이 전부 '''삼남 출신'''이어서 그렇다. 당장 대통령도 초대 대통령 이승만[2]과 실제로 권력도 없었던 윤보선[3]/최규하[4]를 제외하면 한가락했던 대통령들이 전부 경상도/전라도 출신이고, 그 외의 정치 세력으로도 김종필이 이끈 충청도[5] 역시 영남/호남에 비하면 약하다 해도 정치적 파워는 강했다. 이를 두고 권력의 장소는 한가운데 세워놓고서는 권력을 가진 사람들은 전부 남쪽에서 온 사람들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
실제로 한국에서도 손꼽히는 강력하고[6] 충성스러운 정치세력은 거의 삼남 지역이었다. 과거 박정희와 그 후계자들(전두환, 노태우)의 경상북도, 김영삼경상남도[7], 김대중전라남도, 이철승전라북도, 김종필충청도는 정치계에서 가장 유명한 5세력이었다.[8] 후에 경북이 김영삼, 이회창 세력으로 들어가고 충청이 김대중 세력으로 들어가며 예전보단 덜해졌지만, 여전히 영남(경상도)과 호남(전라도)은 선거 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지역이다.
조선시대에도 사실 삼남출신 양반이 많았고 지금의 이남지역이 정치의 중심이였다. 역사학계에서 유교 철학에 따라 영남학파와 기호(경기,충청권)학파로 나누기도 하고 붕당정치의 시작인 동인 서인에도 영남학파,기호학파가 관련있다. 호남,강원 또한 같이 언급되진 않았지만 적어도 지금의 이북지역중 하나도 일컫어지지 않는걸 볼 수 있다. 실제로 이성계가 동북출신이라 서북출신은 등용하지말라는 명을 내리는등의 차별이 계속 이어져 홍경래의 난까지 일어난다. 자세한 사항은 대한민국/지역감정#s-2.1.3 참조
과거 조선시대에는 삼남지방 양반들의 농민학대가 매우 심한 것으로 보인다.치하포 사건으로 삼남지방에서 도망을 다니며 여행한 김구는 "양반의 낙운은 삼남이요, 상놈의 낙원은 서북이다.그나마 내가 해서(황해도) 상놈으로 난 것이 큰 행복이다. 만일 삼남 상놈이 되었다면 얼마나 불행하였을까?"라고 탄식하였다.[9]

1.2. 군사 면에서


군사적으로는 제2작전사령부 관할이다.

2. 3남


三男. 해당 문서 참조.

3.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三南邑. 해당 문서 참조.
[1] 삼남지방의 면적 비중(제주 포함) 72,000km2/100,000km2로 약 72%. 분단 전에는 약 32%.[2] 황해도 평산 출신[3] 충청남도 아산 출신[4] 강원도 원주 출신[5] 사실, 윤보선도 충청도 출신이다. 사실상 수도권으로 간주되는 아산 안에서도 경기도 바로 옆에 붙은 둔포면 출신이긴 하지만.[6] 보스 중심 정치적 관점에서[7] 이후 경남 지방의 판도는 노무현친노 성향의 대두로 인해 변곡점을 맞게 된다.[8] 말 그대로 이 5명이 당을 이리저리 어디로 옮기든 이 지역 사람들은 이들을 따라 그 당에 표를 몰아줄 정도였다.[9] 우리는 지난 백년을 어떻게 살았을까3 -한국역사 연구회 p219~222 부분을 인용한 한국대중매체사-강준만 p.49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