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전트 점프

 

1. 개요
2. 서전트 점프의 측정
3. 서전트 점프와 운동능력
3.1. 과거 KBL 선수들의 서전트 점프
4. 그 외
5. 기록 향상

'''Sargent Jump'''

1. 개요


미국 하버드대 체육학과 교수 '더들리 알렌 사전트 / Dudley Allen Sargent'[1] (1849 ~ 1924) 에 의해 개발된 신체 능력 측정법. 단, 미국에서는 이보단 버티컬 맆(Vertical Leap, 수직 도약으로 번역가능)이란 표현을 더 많이 쓴다.
버티컬 점프와 서전트 점프를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쉽게 말하면 버티컬 점프는 발이 뜨는 높이를 재고, 서전트 점프는 손이 닿는 높이를 잰다고 보면 된다.
점프라는 이름에서도 나오듯이 신체 능력들 중 점프력을 재는 방법이다.

2. 서전트 점프의 측정


'수직 점프', '제자리 높이뛰기' 등으로 부르는데, 사실 제자리 높이뛰기는 육상 종목중 하나로 서전트 점프와는 많이 다르다. 제자리에 서서 팔을 위로 뻗어 닿는 높이와 도움닫기 없이 뛰어서 이 닿는 높이를 비교해 재는게 보통이다.
[image]
보통 점프력 측정은 이런식의 기구를 써서 한다.

3. 서전트 점프와 운동능력


순수하게 점프력만을 측정하므로 키가 크다고 해서 무조건 유리하진 않다. 물론 키가 크면 자기키의 몇 % 뛰는 식으로 기록이 향상하는 경향이 있간 하지만, 키가 커질 수록 체중 대비 근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인의 근력으로 본인의 체중을 조종하는 체조선수들의 경우 체격이 작은 편이며, 거의 유일하게 성인보다 어린이-청소년의 퍼포먼스가 더 좋은 종목이기도 하다. 평균신장이 상당히 큰 농구선수나 배구선수들은 일반인의 기대보다 기록이 저조한 편이다. 물론 평균수치가 그렇다는 거고 당연히 개인별, 포지션별 차이가 크다. 한덩치 하는 센터들은 평균을 깎아먹지만 가드들은 높은편이다.
국내 농구선수들의 기록은 평균 60cm, 배구선수들의 기록은 평균 70cm로 타 종목 선수들과 비교하면 비슷하거나 오히려 약간 떨어지는 수준이다. 물론 농구/배구 선수들의 큰 키를 고려해야한다. 미국의 경우 NBA '''평균'''기록은 84cm인 반면, NFL의 평균기록은 '''1미터'''정도이다. 미식축구에 스포츠 유망주가 몰린다는걸 고려하더라도 차이가 나는편.[2] 물론 점프력이 높은 단신 선수와 점프력이 낮은 장신 선수는 엄연히 차이가 있는 만큼[3] 농구/배구에선 상대적으로 키나 버티컬 리치를 많이 보는 편이다.[4]
오히려 점프와는 전혀 관계가 없을것 같은 역도선수들이 평균 80cm로 높이 뛰는편인데, 이는 역도라는 운동의 메커니즘이 그렇기 때문이다.

스내치, 클린시의 하체 움직임은 점프 동작과 똑같다. 하체에서 발생한 에너지를 이용해서 200킬로 가까운 무게를 머리 위까지 드는 선수들이 자기 체중을 땅에서 띄우는 운동이기 때문. 일례로 방콕 아시안 게임 금메달 리스트인 김학봉 선수는 약 69kg의 체중으로 서전트 점프 '''110cm'''[5]를 기록하였으며,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사재혁 선수는 키 168cm에 대략 '''1m'''를 뛸 수 있어 웬만한 농구선수들[6] 보다 잘 뛴다.
역시 베이징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며, 무제한급의 체중인 장미란 선수도 가볍게 60cm 이상을 기록하여 김연아[7]와 비슷하고 웬만한 국내 농구 선수들 보다 높다.
체대 입시에서도 주요 측정 항목으로 남자의 경우 보통 80cm, 여자의 경우 60cm 정도면 최고점을 받을 수 있다.

3.1. 과거 KBL 선수들의 서전트 점프


다음은 약 20년전인 1997-98 시즌 KBL 가이드북에 실렸던, 당시 선수들의 서전트 점프 기록이다. (추억의 선수들이 많이 나온다.)
이름
포지션
소속팀
키(cm)
서전트 점프(cm)
김상준
SG
원주나래 블루버드
184
85
이민우[8]
PF
원주나래 블루버드
187
85
김정인
SG
부산기아 엔터프라이즈
190
80
이인규
PG
원주나래 블루버드
187
80
문경은
SF
수원삼성 썬더스
190
70
박규현
SG
창원 LG 세이커스
185
75

PG
부산기아 엔터프라이즈
180
70
전희철
PF
대구동양 오리온스
198
70
정재근
PF
안양SBS 스타즈
192
70
허재
SG
부산기아 엔터프라이즈
188
70
동 시즌 외국인 선수들의 서전트 점프 기록과 비교해보면 차이가 어마어마하다
이름
포지션
소속팀
키(cm)
서전트 점프(cm)
키스 그레이
SF
대구동양 오리온스
182.9
105
로버트 보이킨스
PF
창원 LG 세이커스
193.7
101
드와이트 마이베트
PG
청주SK 나이츠
180.3
100
저스틴 피닉스
C
부산기아 엔터프라이즈
194.9
95
래리 데이비스
SG
안양SBS 스타즈
183.5
91
클리프 리드
PF
부산기아 엔터프라이즈
190.4
90
버나드 블런트
SF
창원 LG 세이커스
187.3
89
찰스 메이컨
C
안양SBS 스타즈
195.6
85
윌리엄 헤이즈[9]
SF
원주나래 블루버드
188
75
존 스트릭랜드
C
수원삼성 썬더스
200
65
조니 맥도웰
PF
대전현대 다이넷
190.5
62

4. 그 외


[image]
만화대털》에서 등장인물인 교강용이 도구를 이용하여 담을 뛰어넘으며 "참고로 난 서전트 점프가 1m다'라는 드립을 친 적이 있다. 위의 기록들을 보면 알겠지만 서전트 점프 1미터면 운동에 몸 바친 전문가들이나 가능한 영역이다. 술 담배를 즐겨 하는 교강용의 생활태도로는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10]. 물론 풍호의 계란이나 혹은 인간은 아예 불가능한 동작들이 난무하는 비상식과 비현실 난무하는 김성모 월드치곤 굉장히 평범하고 무난한 편.
바이오하자드 4에 등장하는 폭주 빵봉지, 일명 폭빵은 플레이어나 적들이 4~5초는 올라야 도달하는 5m 높이의 사다리를 '''점프 한 번'''에 올라온다.
그런데 이 건축가(알베르티)는 제자리에서 서 있는 사람의 키를 뛰어넘었다고 한다(...)
기네스북상 제자리 높이뛰기 세계 기록은 1.61 미터 라고 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zm_p1mERwNo&feature=youtu.be

5. 기록 향상


순발력, 탄력과 연관이 큰 종목이므로 플라이오 메트릭스와 파워클린, 클린같은 역도성 운동[11]을 하면 도움이 되며 스쿼트같은 하체 근력운동도 좋다. 선천적인 재능이 크게 작용하는 순발력 관련 종목이지만, 일반인 기준에서 와 잘뛴다 정도 듣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므로 기록 향상을 원한다면 열심히 운동하자.

[1] Sargent 라는 단어가 사전에 없어서 잘못된 표기라고 오해받거나, 혹은 Sergeant Jump(병장 점프? ) 가 정식 명칭인줄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이 이름에서도 나오듯 개발자의 이름 Sargent 에서 따온 것이다. 심지어 병장이란 뜻의 Sergeant 란 단어도 서전트가 아니라 사전트 즉 Sargent와 같은 발음이다. Sergeant든 Sargent든 결국 한글 표기는 '사전트 점프'라고 해야 옳다. 다만 '서전트 점프' 쪽이 보편화 되어 있어서 해당 항목 내에서는 편의상 서전트로 표기.[2] 다만 이건 평균의 맹점에 가까운데 대부분의 선수들이 180~190에 몰려있는 다른 스포츠와 달리 NBA는 '''평균 신장이 2미터 초반'''일 정도로 평균 신장이 크고 180~210까지 편차치가 굉장히 크다. 당연히 NBA에서도 180~195되는 "단신" 선수들의 점프력은 1미터를 상회하며 비슷한 신장의 NFL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3] 점프력이 높아 최고 높이가 같다고 치더라도 장신 선수 쪽이 최고점에 이르는속도에서 유리하다.[4] 당연하겠지만, 러닝은 높이를 스킬로 커버를 할 수 있지만, 서전트가 쓰이는 리바운드나 블로킹은 스킬을 쓸려면 높이 혹은 피지컬이 동반이 되어야한다.[5] 당시 국내 최정상 기록.[6] 코비 브라이언트가 96cm이다.[7] 역시 점프력이 좋은 선수로 유명하다.[8] 미국 클리블랜드 고교와 연세대를 졸업한 단신 빅맨이었다.[9] 1962년생으로 이때(1997-98 시즌) 이미 35세였다;;[10] 대털 무대포에선 교강용의 동생 교강살은 '''서전트 점프 1m 50cm'''를 뛴다.[11] 전신 협응력과 순발력을 키우는데 정말 좋음.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