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푸트니크 쇼크
Sputnik crisis
1. 개요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의 발사에 성공하면서 미국을 비롯한 서방세계 국가들이 겪은 과학기술·교육 부문의 충격을 말한다. 20세기 이래의 세계사에서 진주만 공습과 9.11 테러가 미국을 빡돌게 한 사건이라면, 스푸트니크 쇼크는 미국을 '''열폭하게 만든 사건'''이라 할 수 있다.'''Now, somehow, in some way, the sky seemed almost alien'''
'''왠지, 조금은 새로운 방향으로, 하늘이 아주 낯설어 보였다.'''
더군다나 불과 한 달 뒤인 11월 3일에는 스푸트니크 2호에 살아있는 개를 태워서 쏘아올림으로서 그 기술력을 다시 한 번 과시했다. 반면에 미국은 급하게 뱅가드 위성을 아틀라스 로켓에 실어서 발사하지만 대기권 진입은 커녕 두차례 연속 폭발하면서 개망신을 당하고, 1958년 1월 30일 익스플로러#s-4익스플로러 1호 발사에 성공하면서 간신히 체면치례에 성공했다. 그러나 불과 '''5kg'''인 익스플로러 1호를 비웃듯 소련은 2월 3일 무려 '''1.3톤'''짜리 과학탐사 위성 '''스푸트니크 3호'''를 발사한다.[1]
2. 영향
당시 소련 중심의 동구권 국가들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권 국가들은 직접적인 대립은 피하고 있었지만, 당시 전력의 핵심이던 핵무기는 미국쪽이 더 우위에 있었다. 왜나하면 이때까지 핵무기는 오로지 대형 폭격기를 이용한 항공폭격 말고는 없었고, 공군력이 압도적으로 우위에 있던 미국이 당연히 핵전력도 더 우위에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소련이 스푸트니크 1호의 발사에 성공하면서 그 믿음이 흔들리기 시작했다. 단순히 위성을 발사한 것뿐 아니라 이전부터 니키타 흐루쇼프가 말해왔던 대륙간 탄도 미사일의 위협이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다시 말해, 이때까지 미국은 우세한 공군력으로 소련의 핵무기를 방어하고 자신들만 공격할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소련이 쏘아올리는 로켓에 스푸트니크 대신 핵폭탄을 넣는다면? 소련이 마음만 먹으면 지구 어디에서든, 언제든지 핵무기를 미국에 떨어트릴 수 있게 되었고 하늘이 아닌 우주공간에서 공격하기 때문에 아무리 뛰어난 공군이라도 절대 막을 수 없게 된 것이다[2] 따라서 이는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열등감 수준이 아닌, 국가 안보에 대한 커다란 위협으로 다가왔다. 즉, 미국이 우주 개발에 뛰어든것은 표면상 소련따위에게 기술력으로 뒤쳐질수 없어서이지만 내부적으로는 당시에는 절대 방어 할수 없는 ICBM의 위협 때문인셈. 즉, 위에서 언급한 열폭은 대외용이고 실질적으론 두려움이다.
어쨌든 이 사태 이후 미국은 전세를 뒤집기 위해 기술 개발에 나서게 되는데 이는 우주 개발이나 군비 확장과 관련한 과학·기술 분야, 교육 분야에서도 다양한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 교육철학과 교육과정의 변경 : 이때까지 미국은 존 듀이가 주장한 창의력과 개성을 중시하는 진보주의 교육사상이 중심이었지만,[4] 스푸트니크 쇼크 이후로는 기초 학문의 교육을 우선시하는 철저히 성과지향적인 본질주의 교육으로 변화한다. 진보주의 교육은 학생들의 흥미에 중점을 두면서 학생들이 흥미없는 내용은 잘 다루지 않았다. 당연히 기본적인 교과교육의 약화가 지적되어 왔는데, 스푸트니크 쇼크 이후 미국 정부는 이 결과의 책임을 교육으로 돌려버렸다. 한마디로 학교에서 애들이 원하는 것만 가르치니까 국가발전에 도움이 되는 것은 소홀하게 됐고 소련보다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을 뜯어고쳐야겠다는 것.[5] 그리고 이러한 교과과목 강화는 학생들에게 올바른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예시로 진화론은 이 대규모의 교육 정책의 변화로 과학 교육의 중요도가 커지면서, 생물학 교과서에 진화론이 제대로 들어가기 시작한 것이다. 아무튼 스푸트니크 쇼크는 해방 후 미국 교육계의 영향력이 절대적이었던 한국의 교육정책에도 영향을 주어서 표면적으로 학문중심 교육과정 흐름을 그대로 따라가게 만들었다.
-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 : 새수학 운동(New Mathematics Movements)이라고도 불리는 운동인데, 미국이 소련에게 밀리게 된 계기가 과학과 수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여긴 미국에서 시작된 새로운 수학교육 운동이다. 수학을 철저하게 추상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교육하는 것이 특징인데, 문제는 아동의 학습능력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서 그 난이도가 안드로메다로… 의외로 이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은 한국에도 크나큰 영향을 주게 되는데, 미국에서 새수학 운동의 효용이 의심받으며 조금 잦아들 시점에 한국에서 교육과정으로서 받아들였기에 제3차 교육과정이라는 희대의 괴물이 탄생해 버렸다.[3]
[1] 실제 1969년 아폴로 11호의 달착륙 직전까지 모든 부분에서 항상 소련이 한발 앞서서 달성하면서 미국을 계속 엿먹였다. 오로지 유인 달착륙, 추가로 우주선간 도킹 정도를 제외하면 최초의 생명체 귀환, 최초의 유인 우주선, 최초의 우주 유영, 최초의 행성 무인탐사선, 최초의 달뒷면 탐사 등 모든 유니크 타이틀은 소련의 차지였다.[2] 소련은 1949년에 이미 22kt급 핵폭탄인 RDS-1의 폭발실험을 완료했고, 1955년에는 수소폭탄의 개발도 완료했으며 스푸트니크 쇼크 4년 뒤인 1961년에는 지금까지도 가장 강력한 핵폭탄인 차르 봄바의 핵실험에 성공한다. 기술적으로 인공위성에 핵폭탄을 탑재하는건 전혀 어려운일이 아니니 미국인들의 근거없는 두려움은 아니다.[3] 국민학교 1학년생에게 셈을 가르칠 때 집합론적인 관점에서 기수 개념을 도입해서 가르치라고 지시된 그야말로 막장 교육과정이다.[4] 당시 미국의 교육은 현재 기준에서 봐도 진보적이였다. 김형석(교육자)의 증언에 따르면, 6.25 직후 한국 교육계 부활을 위해 미국에서 선생님들을 초청해 교육방법에 대해 전수를 받았는데, 이 때 교동초등학교 교장이 미국에선 말 안듣는 아이들을 어떻게 통제하냐고 질문하자, 미국 선생님들은 통제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키워야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하는 말이 이번에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당선됐는데 원래 학창시절에 말 안듣는 애였지만 대통령이 될만큼 훌륭하게 자랐다고 했다. 평생 서당이나 일제의 주입식 교육, 북한의 이념교육 만 받던 김형석(교육자)은 큰 충격을 받았고, 스승, 학부모 중심의 교육을 탈피하고 학생중심의 교육인 새교육 운동을 시작했다고 한다.#[5] 교육을 통해 국가성장을 이끌겠다는 것인데, 이는 교육을 도구•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외재적 목표이고 교육계에서 바람직하게 생각되지 않는다. 교육학에서는 교육 그 자체로 학습자의 성장과 완성을 추구하는 내재적 목표가 중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