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동초등학교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운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이다. 대한민국의 국공립 초등학교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됐다.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인해 급격한 학생 수 감소를 겪어 오랫동안 폐교 또는 통폐합 논쟁을 겪고 있다.
2. 역사
갑오개혁 시기인 1894년 9월 18일에 '''관립교동왕실학교''' 또는 '''관립교동소학교'''[2] 로 개교. 왕실 종친과 귀족 자제들을 대상으로 한 학교로 일반인 학생은 입학할 수 없었으나, 어쨌든 관립으로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초등교육기관이었다.[3] 교동(校洞)이라는 이름은 인근에 고려 때의 향교[4] 가 있었기 때문에 향교동 또는 교동이란 지명으로 불린 데서 유래했으나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옛 지명이 되었다.
이듬해인 1895년 〈소학교령〉 공포 및 관립한성사범학교 설치로 인해 관립한성사범학교의 부속 소학교로 지정되어 일반인 입학생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수 차례 교명 변경을 겪으면서도 오늘까지 근현대 초등교육의 산 역사로 남아 있다.
1963년에는 재학생 수가 5,320명에 이르는 과밀 학교였고, 중학교 입시가 존재하던 1967년까지는 매년 수백 명의 졸업생을 당시 전국 최고의 중학교였던 경기중학교/경기여자중학교에 입학시키는 등 명문학교로 군림했다. 그러나 중학교 입시가 폐지된 후에는 도심의 급격한 인구 감소로 인해 100주년인 1994년에는 재학생 수가 600명 아래로 떨어져 이 시점에서 이미 미니학교로 전락했고, 2011년에는 마침내 신입생 수가 9명으로 감소해 1자리수를 찍는 기염을 토했다. 이때 이후로 교동초등학교의 신입생 수가 몇 명인지를 보도하는 기사가 매년 항례로 나오기도 했으나, 다시 점점 신입생 수가 증가해 근년에는 2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전교생 수는 2017년까지만 해도 서울 시내에서 단연 최하위였으나, 100명대 초반까지 떨어진 이후로는 꾸준히 소폭 증가 또는 현상 유지를 해온 덕에 2018년에는 그래도 서울 최하위에서는 벗어났다.[5]
2.1. 연혁
3. 학교 특징
3.1. 신입생 대책
당국에서는 2000년대 들어 꾸준히 폐교 또는 인근 초등학교와의 통폐합을 검토했으나, 학교 측, 졸업생 및 학부모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혀 왔다. 종로구 등은 학교를 폐교하면 그 자리에 주차장이나 문화시설 등을 세워 활용할 계획이었던 반면, 반대 측은 우리나라 최초의 학교를 단순히 경제 논리만으로 없앨 수 없다는 입장.
다행히 조희연 교육감이 취임한 이후에는 교동초를 포함한 서울시 폐교 위기 학교 5개를 '''서울형 작은학교'''로 선정해 특별 지원하기로 하고 2017년 3월부터 시범 운영 중에 있는데, 이 정책의 성공 여부가 학교의 운명에도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홍보에 따르면 지원책 중 하나로 서울의 타 학구에 거주하더라도 부모의 직장이 학교 인근이면 자녀를 전·입학시킬 수 있게 한다는데, 이 덕분인지 기사에 따르면 원래 2017년 취학 통지를 받은 취학예정자는 12명이었으나 예비소집일에 20여명이 몰렸다고 하며, 실제 신입생은 28명이 되었다. 그런데 2007년 기사를 보면 이때도 이미 재학생의 30%가 인근에 직장이 있는 부모를 따라온 아이들이라고 나오는데, 이미 이때나 그 이전부터 학생들을 이런 식으로 유치해 왔던 것으로 보이며, 2011년 기사에서도 학교장 허락으로 타 학군에서 입학이 가능하다고 나오는 걸 보면 이 부분은 작은 학교 정책과 상관없이 원래 가능했던 모양.
4. 학교 시설
5. 학교 생활
5.1. 주요 행사
5.2. 학교 일과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버스 노선
마을버스 외에 직접 인접 도로를 지나는 시내버스는 없으나, 안국역 정류장 또는 창덕궁 정류장[6] 에서 내려서 걷는다면 500m 정도 거리이다.
6.2. 철도
- 지하철: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4번 출구
7. 출신 인물
- 강수연: 배우
- 구봉서: 코미디언
- 김기배: 제12·13·14·16대 국회의원
- 김두한: 조직폭력배, 제3·제6대 국회의원[7]
- 김상협: 제16대 국무총리
- 김상홍: 전 삼양그룹 회장
- 김수근: 건축가
- 김순남: 음악가
- 김영기: 농구인, 한국농구연맹 제3·8대 총재
- 김영무: 김앤장 대표
- 김용준: 제2대 헌법재판소장
- 김원길: 제14·15·16대 국회의원, 제39대 보건복지부장관
- 김정호: 가수
- 박미경: 가수
- 박신자[8] : 농구인
- 심훈: 소설가
- 양현석: YG 엔터테인먼트 대표
- 오세응: 제9·10·11·12·14·15대 국회의원
- 유리(쿨): 가수
- 윤극영: 아동문학가
- 윤보선: 제4대 대통령, 제2대 서울특별시장
- 윤석중: 아동문학가, 독립운동가
- 윤시내: 가수
- 윤치영: 초대 내무부 장관, 제13대 서울특별시장
- 정명환: 배우
- 정성근: 언론인, 정치인
- 조남철: 바둑기사
- 지청천: 독립운동가
- 최병우: 종군기자
- 최일구: 언론인
[1] 우리나라 최초로 설립된 초등학교이다.[2] 교동초등학교 사이트 연혁이나 학교 앞의 비문에는 '소학교'였다고 나오나, 소학교령이 정식으로 발표된 것은 개교 이듬해인 1895년이라 정말 소학교였는지는 확실치 않다.[3] 조선에 있었던 모든 소학교 기준으로 보자면 강화도 조약 직후인 1877년 부산 일본인 거류지에 세워진 임시 일본인 학교가 1880년 일본 소학교 체제에 준하는 수제학교(修齊學校)로 개편되고 1888년 부산공립소학교(釜山共立小學校)로 변경된 것이 최초이다. 지금의 부산 광일초등학교 자리에 있었다.[4] 지금의 낙원동 280번지.[5] 운영 파행 사태를 빚은 은평구 소재 사립 은혜초등학교가 2018년 3월부로 전교생이 전학하면서 사실상 폐교 상태에 들어갔는데, 서울교육청에서 아직 폐교 인가를 내지 않아 엄밀히 말하면 재학생이 0명인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정상 운영 중인 학교만 보자면 2017년끼지 줄곧 교동초 다음 순위이던 동작구 소재 서울본동초등학교가 꾸준한 급락세에 따라 결국 2018년 서울 최하위를 기록했다.[6] 서울 버스 109, 서울 버스 151, 서울 버스 162, 서울 버스 171, 서울 버스 172, 서울 버스 272, 서울 버스 601, 서울 버스 710, 서울 버스 7025가 정차한다.[7] 국회 오물 투척 사건 당시 본인이 직접 교동공립보통학교를 중퇴했다고 하지만, 관련 자료 부족으로 진위 여부는 불분명.[8] 졸업은 서울수송국민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