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모노세키 조약

 



[image]
한국어 : 시모노세키 조약
일본어 : 下關條約(しものせきでうやく[1]
1. 개요
2. 여담


1. 개요


[image]

제1조. '''청은 조선이 완결 무결한 자주 독립국임을 확인'''하며 무릇 조선의 독립 자주 체제를 훼손하는 일체의 것, 예를 들면 조선이 청에 납부하는 공헌, 전례 등은 이 이후에 모두 폐지하는 것으로 한다.

제2조. 청이 관리하고 있는 지방(랴오둥 반도, 타이완 섬, 펑후 제도 등)의 주권 및 해당 지방에 있는 모든 성루, 무기 공장 및 관청이 소유한 일체의 물건을 영원히 일본 제국에 양도한다.

제4조. 청은 군비 배상금으로 순'''은 2억 냥'''을 일본 제국에 지불할 것을 약속한다. 비준 교환 후 6개월 이내에 5천만 냥, 12개월 이내에 또 5천만 냥 잔액은 6년 동안 부세하며, 미지불분에 대한 이율은 연 5%로 한다.

제5조. 본 조약의 비준서 교환 후 2년 내에 청에서 일본 제국으로 할양된 지역의 인민 중에서, 할양지 이외의 지역으로 이주하려는 자가 그 재산을 매각하여 그 할양지 밖으로 이주하는 것을 일본은 허락한다. 그러나 기한을 넘어서도 이주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본 신민으로 간주한다.

제6조. 청 · 일 양국 간의 기존의 조약들은 이번 전쟁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기된다. 양국의 새로운 통상 조약은 청과 서양 제국 간의 조약을 견본으로 한다.

청일전쟁의 마무리를 위해 일본 시모노세키에서 1895년 4월 17일 체결된 조약. 청나라의 북양 대신인 이홍장이 직접 참가했다. 시모노세키를 한국 한자음대로 읽은 하관조약(下關條約)이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시모노세키의 옛 이름에서 따와 마관조약(馬關條約)이라고 부른다.
1894년 8월 1일 청일전쟁 개전부터 청은 일방적으로 얻어맞다가 9월 15일 평양과 17일 황해에서 결정적으로 무너진다. 10월부터 영국은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일본 제국과 공동 강화를 제의하지만 러시아 제국, 미국, 프랑스, 독일 제국 등은 관망하는 태도를 보이고, 이번엔 단독으로 열강들에게 개입을 요구하지만 거절당한다. 11월 일본이 여순까지 점령하자 영국이 일본에게 단독으로 제의하지만 역시 거절당한다.
다급해진 이홍장은 러시아 제국에게 중재를 요청하지만 러시아는 1886년 거문도 점령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라디겐스키와 맺은 구두 협정을 핑계로("조선 불간섭") 전쟁에 연루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달한다. 10월 25일 일본군이 압록강을 건너자 공친왕이 미국에 화친 알선을 요청하고 미국이 응했으나 일본이 거절한다. 아무도 싸움을 말려주지 않자(...) 이듬해 3월 14일 이홍장이 직접 시모노세키로 건너가 굴욕적인 협상을 시작한다. 중화 질서의 변방이던 일본에게 중국이 고개를 조아린 치욕적인 사건이다.
이 조약으로 일본 제국은 청의 영향력으로부터 조선을 완전히 분리시켰고, 청나라로부터 '''엄청난 배상금'''(일본 정부의 4년치 예산)을 받아내며 랴오둥 반도와 타이완 섬할양 등 막대한 이득을 챙기게 되었다. 1871년 받아내지 못했던 최혜국 대우 조항도 삽입했다. 그나마 협상 도중 일본 극우파인 고야마 로쿠노스케라는 자가 이홍장을 저격해 이홍장의 얼굴에 총알이 박히는 바람에 이홍장이 치료를 위해 중간에 귀국하는 사건이 터졌고, 국제 여론이 악화될 것을 두려워한 일본인들은 3억 냥의 배상금을 2억 냥으로 줄이고[2] 당초 톈진 할양 요구에서 타이완 할양으로 대신하는 합의를 해주어서 이만한 결과가 나온 것이다.[3]
일본은 이같은 엄청난 이득을 비밀에 부치고 싶었으나 이홍장이 제3국에게 적극적으로 호소해 조약의 불평등함이 알려졌고, 일본의 세력 확대에 불안감을 갖게 된 러시아 제국프랑스, 독일 제국삼국간섭으로 랴오둥 반도를 도로 토해내야 했다. 랴오둥 반도의 여순 등은 10년 후 러일전쟁으로 도로 뺏어온다.

2. 여담


  • 청일 양국의 협상 대표였던 이홍장, 이토 히로부미영어에 능통해서, 동양 국가끼리의 강화 회담임에도 서로 영어로 협상을 진행한 것으로 전해진다.
  • 일본의 극우 인사들은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된 1895년 4월 17일이 조선[4]독립기념일이라고 주장하곤 하는데, 이는 조선은 줄곧 청나라속국이었는데 일본이 청을 제압함으로써 조선을 독립시켜주었다는 주장이다. 또한 서울 서대문구에 있는 독립문이 의미하는 독립이 바로 이 때의 독립이라서, 2018년 3·1절 행사때 문재인 대통령이 시민들과 서대문구 독립문에서 독립만세를 외치는 광경을 '환영 및 조롱'하는 기사가 일본의 산케이신문에 실린 적이 있다. 한국에서는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중국이 조선에 대한 종주권을 상실하게 된 것은 인정하나, 그것을 기념해야할 날로 보지는 않는다. 비슷하게 일본 극우 인사들은 이 날을 대만을 중국으로부터 해방시킨 날이라고 기린다.
  • 시모노세키 조약을 배경으로 한 파이 나누기 만평이 매우 유명하다. 이 만평은 2021 시즌 모기업의 자산이 부족해지고 FA로 많은 선수들이 풀린 두산 베어스를 조롱하는데 사용되기도 했다.
  • 10년 후벌어진 전쟁에서 일본 제국은 다시 이겼으나 이번과는 달리 배상금을 단 한푼도 받지 못했다.일본의 입장에선 참 속쓰린 결말일 지도 모른다.이 조약으로 짭짤하게 2억냥이나 되는 배상금을 받은 것과는 참 대조되는 부분이다.

[1] 정체자역사적 가나 표기법에 따른 표기 방식이다. 신자체와 현대 가나 표기법으로는 下関条約(しものせきじょうやく.[2] 이것은 중국 세수의 2년 수입에 해당하는 액수이다. 일본으로선 엄청난 액수를 뜯어낸 셈.[3] 저격범 고야마는 일단 체포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나중에 형집행정지로 풀려나 천수를 누린다.[4] 당시는 대한제국이 성립하기 이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