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타불

 

[image]
국보 제27호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아미타여래불
아미타불(阿彌陀佛) / 무량수불(無量壽佛) / 무량광불(無量光佛)
1. 개요
2. 유래
3. 영향
5. 기타


1. 개요


불교에서 말하는 서방극락세계의 부처. 다른 말로 무량수불(無量壽佛), 무량광불(無量光佛)이라고도 한다. 전생에 '법장보살'이었을 때 48대원을 세웠고 지금은 48대원이 전부 성취되어 아미타불이 되었다. 관무량수경에 의하면 아미타불의 키는 60만억 나유타 항하사 유순이라고 한다. 아미타불 옆에 대보살 둘이 있다. 대보살의 이름은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다. 관세음보살은 아미타불이 무량겁이 지나 반열반에 들면 아미타불의 정법이 멸할 때 칠보로 된 보리수 나무에 앉아 성불하여 아미타불의 지위를 이어받는다. 이때의 명호는 똑같이 아미타불이다. 그 다음은 대세지보살. 이렇게 서방극락세계에서 성불한 모든 사람은 아미타불이란 명호 하나만 사용한다.
아미타불을 범어로는 아미따바(Amitabha), 아미따유스(Amitayus)라고 한다. 이중 Amita는 '끝없는', abha는 광명, ayus는 삶, 수명(생명)이란 뜻이다. 따라서 아미따바는 '끝없는 광명', 아미따유스는 '끝없는 삶(수명)'이란 의미가 된다. 아미따바를 한자로 의역한 것이 무량광불, 아미따유스를 의역한 것이 무량수불이며, 아미타불은 호칭의 앞 부분인 '아미따'만을 한자로 음차한 호칭이다.

2. 유래


아미타불이 서방극락세계의 부처가 된 것은 성불하기 전 법장보살이었을 때 48개 서원을 세웠기 때문이다. 대략적으로 '아래 조건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나는 부처가 되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아래는 그 서원의 간단한 요약이다. (왜곡 있음, 참고 자료에 정확한 내용이 있음.)
* 내 불국토에는 불행과 근심, 번뇌, 또는 그에 이르는 일이 없어야 한다.
* 내 불국토에 태어나는 중생들은 다 잘생기고 강하며 이 세상과 모든 부처님, 그리고 진리의 빛을 꿰뚫는 지혜와 능력을 지닌 초능력자여야 한다.
* 내 불국토에는 수없이 많은 수행자들이 태어나며 목숨이 무한대여야 한다.
* 내 불국토에 태어나는 보살은 반드시 모두 '일생보처'라는, 보살 중에서도 최고의 보살이 된다.[1]
* 나의 빛은 모든 불국토(세계)를 비추고, 나의 목숨은 무한대여야 한다. 그리고 모든 부처들이 나의 이름을 칭송해야 한다.
* 모든 중생들이 내 광명에 비치기만 해도 그 몸과 마음이 부드럽고 깨끗하여 천인보다도 더 뛰어나게 되어야 하며, 중생이 내 이름을 듣기만 하여도 보살의 무생법인과 깊은 지혜, 그리고 청정해탈삼매를 얻게 되며 성불할 때까지 육근이 원만하여 불구자가 되지 않으며, 죽은 뒤에 부귀한 가정에 태어난다.
* 보살들이 내 이름을 듣기만 하여도 죽은 뒤 항상 즐거운 마음으로 청정한 보살행을 닦아 선근 공덕을 갖추며, 소원대로 뵙고 싶은 부처님을 뵙고 듣고 싶은 법문을 들을 수 있으며 최후에 반드시 성불하게 된다.
* 내 불국토에 태어나는 중생들은 부처님의 신통력으로 밥 한 그릇 먹는 동안에 수없는 불국토로 다니면서 여러 부처님께 공양하게 되어야 한다. 또 내 불국토에 태어나는 중생들이 부처님께 공양하려 할 때에는 어떠한 공양거리든지 마음대로 얻게 되어야 한다.
* 내 불국토에 태어나는 중생들이 쓰는 온갖 물건은 모두 아름답고 화려하여 비교할 수 없는 것들뿐이어서 비록 천안통을 얻은 이라도 그 수효를 알 수 없어야 한다. 또 내 불국토는 지상이나 허공에 있는 궁전이나 누각, 시냇물, 연못, 화초나 나무 등 온갖 것이 모두 여러 가지 보석과 향으로 되어 비길 데 없이 훌륭하며, 거기에서 풍기는 향기는 시방세계에 두루 번져 그것을 맡는 이는 모두 거룩한 부처님의 행을 닦게 되어야 한다.
* 내 불국토에 태어나는 중생들은 옷 입을 생각만 해도 아름다운 옷이 저절로 입혀지고, 바느질한 자국이나 물들인 흔적이나 빨래한 흔적이 없어야 한다.
* '''선하고 바르게 살면서 내 불국토에 오고자 하는 이는 모두 극락에 왕생한다'''.
* '''어떤 중생이든지 지극한 마음으로 내 불국토를 믿고 좋아하여 와서 태어나려는 이는 내 이름을 열 번만 불러도 반드시 왕생한다'''[2][3]
(참고: 한국어 위키피디아)
아미타불은 세상의 모든 생명체가 깨달음을 얻어 열반에 들 때까지 열반에 들지 않겠다고 했는데, 석가불 다음에 부처가 될 미륵불이 부처가 되어 세상에 내려오는 데 걸리는 시간은 56억 7천만 년이다.[4] 세상에 부처 1명이 나타나는데 걸리는 시간이 이렇게 어마무시한데, 아미타불은 이 무한한 시간을 기다린 후 우주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열반에 들겠다고 말한 것이다.
특히 마지막에 강조한 부분이 중요하다. 그냥 읽기만 해도 이 서원을 세웠다는 법장보살의 대인배 정신을 느낄 수 있다. 이게 가능하긴 하냐는 물음은 무기 항목을 참조. 참고로 저 말을 한 분은 부처다.
불설무량수경에는 석가모니가 제자들에게 이 서원을 잘 설명하는 내용이 있다. 아미타불의 광명이 무량하여 시방세계를 두루 비추어도 걸림이 없으므로 아미타불이라고 부르고, 또한 아미타불은 수명과 그 인민(人民)들의 수명이 한량없고 끝없는 아승기겁(阿僧祇劫)이므로 아미타불이라고 이름한다고 석가모니가 말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경전에 기록된 그대로의 세계가 바로 극락. 불교가 유입된 이후 많은 대중들이 이곳에 가기를 원했다.

3. 영향


이러한 아미타불을 숭배하는 대표적인 종파가 바로 정토교이다.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의 가르침에 '자신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는다'라는 공통적인 가르침이 있기 때문에, 원효 대사는 이를 이용하여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이라는 염불을 만들어 전파하여 오늘날까지도 사용된다. 경전의 말이 사실이라면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또는 나무아미타불, 나무관세음보살)을 염불하는 불자들은 전부 현세에는 편히 살고 내세엔 극락에 갈 듯. 물론 착하게 살아야지, 그냥 아미타불만 염불하고 악행을 쌓으며 살면 극락에 가더라도 구품왕생에 따라 영겁에 가까운 시간 동안 가르침을 받으며 죄를 씻어내야 비로소 극락에 왕생한다.
아미타불과 정토로의 극락왕생 신앙[5]일본에서도 인기를 많이 얻어 ''''현세는 너무 고통스러워서 중생 개인의 힘으로는 도저히 해탈할 수 없으므로, 아미타불의 힘을 빌려서 정토에 가야만 해탈할 수 있다.\''''는 타력본원[6] 사상이 널리 퍼지기도 했다. 물론 전쟁이 많은 시기에 특히 많이 퍼졌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나무아미타불'의 일본어 발음이 축약되어 '''남만다부''' 혹은 '''남마이다(なんまいだー)'''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오덕 관련 매체에서도 자주 등장.
불교 사찰에서 아미타불을 모신 건물은 극락전(極樂殿), 무량수전(無量壽殿), 혹은 미타전(또는 아미타전)이라고 이름을 붙인다. 아미타불이 있는 서방극락정토가 말 그대로 서쪽에 있다 하므로, 아미타불을 모신 건물 또한 불상을 서쪽에 모시고 문을 동쪽으로 내도록 한 경우가 많다. 불교 신자들이 동쪽으로 들어와 서쪽에 있는 아미타 불상을 바라보도록 한 것.
삼국유사에 기록된 제망매가 이야기에서도 승려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위하여 제망매가를 부르며 미타찰(아미타불이 있는 서방정토)에서 만나겠다고 하자, 바람이 불어 제삿상에 올려둔 지전이 서쪽으로 날아갔다고 한다. 월명사의 누이가 서방정토로 왕생했으리라 생각하게 하는 일화이다.

4. 수인


불상으로 표현할 때는 흔히 '아미타 구품인'이라는 아홉 가지 수인 중 하나를 취한다. 불상이라고 하면 딱 떠오르는 이미지로, 손가락으로 고리를 만들어 취하는 수인인데, 엄지와 검지로 고리를 만드느냐 엄지와 중지로 만드느냐 엄지와 약지로 만드느냐에 따라서, 그리고 손을 둘다 아래에 모으고 있는지 한손만 위로 올리고 있는지 양손을 모두 위로 올리고 있는지에 따라서 하품하생, 하품중생으로부터 상품상생까지 총 9품으로 나뉜다. 중생이 극락에 올 때 그 중생이 얼마나 덕을 쌓았는지에 따라서 아미타불이 다른 수인을 취한다고 한다. 정말 염불'만' 외고 악행을 저지르며 불도를 닦지 않은 사람은 하품하생이고 아주 공덕을 많이 쌓고 불법에 충실히 노력한 사람은 상품상생이라는 식.
우리나라에서는 이상하게도 아미타불상이 대부분 하품중생인(또는 중품하생인)을 취한다.
아미타 구품인을 두고 혼란이 있다. 학계에서도 품(品)과 생(生)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서로 다른 두 가지 체계가 병용되는 판. 상품상생, 중품중생, 하품하생 등 3가지 수인을 제외하면 품과 생을 서로 다르게 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누군가는 '상품하생인'이라고 하는 것을 다른 누구는 '하품상생인'이라고 하는 식이다. 일단 우리나라에서는 손의 위치가 품, 손가락이 생을 결정한다고 보는 체계를 따르는 이들이 더 많은 듯하다.
삼국시대의 불상 중에는 아미타불인데도 (원래는 석가모니 불상이 취해야 할) 항마촉지인을 취하는 사례가 있다. 그 때문에 정체가 불명확한 오래된 불상을 두고 학계에서 아미타불상인지 석가모니불상인지 논란이 벌어질 때가 있다. 심지어 석굴암 본존불상을 두고도 아미타불이라고 주장하는 소수 학자들이 있을 정도.
이런 불상이 나타난 이유는 한국의 석상들은 재료가 주로 화강암이라서라는 추측이 있다. 화강암은 단단하면서도 매우 무거운지라, 어쩔 수 없이 항마촉지인처럼 팔과 다리를 붙혀서 팔의 무게를 견딜 수 있게 하려는 의도였다는 것이다.

5. 기타


신무협 소설이나 퓨전 소설에서는 소림사 스님이 말 끝마다 아미타불이라 외고, 무당파에서는 무량수불이라고 외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불교에 무지한 독자들이 둘이 서로 다른 개념인 줄 잘못 알곤 하지만, 이는 청색과 파란색이 다른 색이라고 착각하기나 다름없다. 게다가 도사가 부처의 이름을 외울 리도 없으니 총체적 문제.
아미타불의 범어 호칭을 음차한 것이 아미타불, 의역한 것이 무량수불, 무량광불이다. 사찰에서 아미타불 또는 아미타삼존을 모신 법당 이름이 '무량수전'인 것도 이것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부석사 무량수전[7])
법장 비구가 아미타부처로 열반하였을 때 세운 서원에 '빛', 그리고 '한량없는 수명'이 관련된 서원이 존재하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아미타불의 광명/빛의 12가지 공덕을 십이광이라 하는데 다음과 같다.
1.무량광(無量光): 이익이 한량(限量)이 없어 과거, 현재, 미래의 삼세에 두루 미치는 아미타불의 광명의 덕.
2.무변광(無邊光): 십방(十方)세계와 중생을 빠짐없이 다 비추는 아미타불의 광명의 덕.
3.무애광(無碍光): 그 어떤 방해도 받지 않는, 부처가 발하는 지혜나 자비의 빛.
4.무대광(無對光): 다른 것에 대비할 것이 없이 밝은 아미타불의 광명의 덕.
5.염왕광(燄王光): 그 누구도 미칠 수 없는 자유자재의 아미타불의 광명의 덕.
6.청정광(淸淨光): 탐욕에 젖은 중생들을 비추어 더러운 마음을 멸하고 청정한 불문에 나게 한다는 아미타불의 광명의 덕.
7.환희광(歡喜光): 그 빛이 보문을 밝히는 신통력이 있다 하여 일컫는 아미타불의 빛.
8.지혜광(智慧光): 중생의 무명(無明)의 어둠을 비추는 아미타불의 지혜의 마음으로부터 나오는 광명.
9.부단광(不斷光): 삼세에 늘 있어 끊임없이 세간에 비추어 이익되게 한다는 아미타불의 빛.
10.난사광(難思光): 그 덕이 깊고 묘하여 생각하거나 형용하기 어렵다 하여 일컫는 아미타불의 빛.
11.무칭광(無稱光): 그 밝음의 양을 말로써는 얼마라고 나타낼 수 없다고 하여 일컫는 아미타불의 빛
12.초일월광(超日月光): 해와 달의 빛을 뛰어넘는 아미타불의 광명의 덕.
[image]
우리나라에서 그리는 아미타불 탱화와 달리, 티베트에서 그린 아미타불 탕카(탱화)에서는 모습이 매우 다르다. 일단 피부가 붉은색이며, 약합처럼 보이는 그릇(?)을 품에 놓았다. 또한 수인도 우리나라 아미타불상이나 탱화들이 자주 취하는 아미타 구품인(九品印)이 아니라 일반적인 선정인(禪定印)을 취하였다.
불교에서 매월 음력 15일은 미타재일이다.
나무아미타불: 연대 UTENA에서 십삼불의 한 명으로 등장한다. 성우는 히라카와 다이스케.

[1] 일생보처의 경지에 든 보살은 다음 생에서 '''무조건 해탈하여 부처가 된다.'''[2] 국사 과목에서 말하는 원효의 '불교 대중화' 공헌이 바로 이것이다. 백성들에게 "절에 뭐 바치고 자시고 할 것 없이 '''나무아미타불만 외우시면서 부처님 믿으면 극락 갈 수 있습니다'''."라고 전도하면서 불교가 부담 없이 민중 속으로 파고 든 것. 삼국유사에서는 이 덕분에 원숭이까지도 나무아미타불을 외우게 되었다고 적어 높게 평가한다. 간혹 배움 없이 기복신앙이나 다름없는 종교가 된다며 이와 같은 현상을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도 있는데, 일리가 있는 입장이지만 이름 석자 못 쓰고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백성들에게 불경을 읽게 하고 수도하게 함은 불가능하다. 당시 야만인으로 취급받던 게르만족에게 우상숭배를 금하는 가톨릭이 결국 보이지 않는 하느님을 그들을 납득시키기 위해 성상과 성화로 만들어 보여준 것도 마찬가지 맥락.[3] 서원이 적힌 위를 보면 아미타불이 이기적으로 보이는 사람도 있겠지만, 실제로 불경을 보면 '이런 정토가 만들어져 세속 사람들이 아미타불만을 염불해 쉽게 정토에 와서 극락왕생하지 못하면 나는 부처가 되지 않겠다'라는 맥락이다.[4] 뭐가 이렇게 기냐고 생각하겠지만 힌두교가 나온 인도 인근에서 나온지라 단위가 큰 것도 무리는 아니다. 참고로 현실에서 56억 년 전에는 '''지구는커녕 태양도 없었다.'''[5] 이를 두고 16세기 일본에 온 예수회 선교사들은 루터교회 신앙으로 오해하기도 했다.[6] 원래 타력본원의 어원이 이것이다.[7] 단, 부석사 무량수전에 위치한 불상은 아미타불인지 여부가 확정되지 않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