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초크
[image]
수확된 아티초크
[image]
꽃이 핀 아티초크
학명: ''Cynara cardunculus''
영어: Artichoke
프랑스어: Artichaut
스페인어: Alcachofa
중국어: 朝鲜蓟(cháoxiǎnjì), 洋蓟(yángjì)
일본어: アーティチョーク, 朝鮮薊(チョウセンアザミ)
1. 개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엉겅퀴과의 다년생 식물. 이집트인들도 식용으로 썼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1] 굉장히 오랫동안 재배된 식용 식물 중 하나이다. 본래 야생 엉겅퀴였으나 지속적인 품종개량을 거쳐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 이후 남유럽 지역에 널리 보급되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기본적으로 채소며 르네상스 시대 프랑스에서는 채소보다 미각을 돋우기 위한 향신료 중 하나로 취급했다고 한다. 유럽에서는 보통 5월에서 8월 말까지 꽃이 피기 전의 꽂대를 수확하는데, 이때쯤 시장에서는 산더미처럼 쌓인 아티초크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달짝지근하며 풀향기와 비슷한 풍미가 있고, 섬유질이 많아 죽순처럼 아삭아삭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대부분 감자와 같은 전분질이기에 식감이 감자류와 흡사하다. 유럽에서는 살짝 붉은 기가 도는 아티초크를 더 상등품으로 취급한다고 한다. 프랑스에서 가장 많이 소비하며, 주로 절인 아티초크를 다른 음식과 곁들여 먹는다. 식료품 가게 등에 가면 병에 밀봉되어 판매된다.
한국에서는 굉장히 생소한 채소인데, 한국의 기후는 아티초크를 재배하기 거의 불가능한 환경인데다[2] 인지도가 떨어지는 만큼 수요도 굉장히 적기 때문이다. 백화점 같은 곳에서 종종 팔리기도 하는데, 작은 아티초크 하나에 가격을 5000~6000원대로 책정하고 있는 등 굉장히 비싸 선뜻 구매하기 어려운 채소다.
이처럼 동아시아 국가들과는 연이 없는 식물이지만 뜬금없이 일본에서는 조선 엉겅퀴(朝鮮薊)라고 이름붙였다. 아티초크가 처음 일본에 소개된 에도 시대에 외국의 물산을 대표하는 이름은 화란 혹은 조선이었는데, 이 아티초크 역시 화란을 통해 들어왔으나 조선에서 들어왔다 착각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이후 이 이름이 중국에도 소개되어 중국에서도 조선 엉겅퀴란 이름이 통용되었다. 유래가 확실해진 현재는 일본에서는 그대로 아티초크, 중국에서는 양지라고 부른다.
유럽에서는 지방이 많은 음식의 소화에 효과가 크고, 궁극적으로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증상 개선 효과도 어느 정도 있다고 알려져 보충제 형태로도 인기가 많다. 어째서인지 예전부터 정력에 좋은 음식으로 간주된다.
2. 조리법
남부 유럽에서는 굉장히 대중화된 식품 중 하나다 보니 다양한 조리방법이 발달했다. 보통 찌거나 굽는 방법으로 요리하며, 고기 요리에 곁들여 먹고 샐러드에 섞어 먹거나 파스타 혹은 파에야의 재료로 쓰기도 한다. 피자 토핑으로도 흔하게 볼 수 있다.
가장 간단하게 즐기는 방법은 삶아서 마요네즈에 찍어먹는 것인데, 레몬즙을 섞은 물에 아티초크를 삶은 후 이파리를 한 장씩 떼어 마요네즈를 곁들여 먹으면 의외로 조화로운 맛을 느낄 수 있다. 단 잎을 먹을 때에는 씹어먹지 말고 잎이 꽃대에 붙은 부분만 이로 긁어 먹어야 한다. 이를 모르고 잎까지 다 씹어먹고는 왜 이렇게 질긴지 묻는 사람이 많다고… 꽃대의 이파리를 다 뜯어먹으면 가운데 기둥 부분의 아티초크 하트(Artichoke Heart)가 모습을 드러내는데, 특유의 향기와 부드러운 식감 때문에 아티초크의 가장 맛있는 부위라고 일컬어지며 이곳만 따로 잘라내어 통조림과 병조림의 형태로 판매한다.
[image]
병조림으로 가공된 아티초크 하트.
이탈리아에서는 아티초크로 술도 만들며 시나 문서를 참조.
만화가 이우일은 신혼여행을 유럽 배낭여행으로 떠났는데, 이 여행기(<이우일 선현경의 신혼여행기>)에서 아티초크로 추정되는 음식을 먹는 장면이 나온다. 책에서는 프랑스 현지의 지인과 함께 '연꽃'을 데쳐서 먹었다고 나오는데, 먹는 방법을 보면 딱 이 아티초크다.
[1] 사실 식용으로서의 가치보다는 약용식물로서의 가치가 더 컸다고 한다.[2] 그래도 최근 기온이 따뜻한 남부 지방과 제주도에서 소량으로나마 재배하는 곳이 생기고 있다. 유럽에서도 독일이나 북유럽에서는 원래 생소한 채소로 귀하게 대접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