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1. 개요
2. 특징
3. 구조
4. 문화
5. 식재료
6. 문서가 있는 꽃
6.1.1. 에 피는 꽃
6.1.2. 여름에 피는 꽃
6.1.3. 가을에 피는 꽃
6.1.4. 겨울에 피는 꽃
6.2. 미분류
7. 관련 문서


1. 개요


, / flower(초본), blossom(목본)
식물생식 기관.

2. 특징


식물들 중 고등식물의 경우 다른 개체의 유전자를 받는 유성생식을 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관으로, 자신들의 꽃가루를 다른 개체의 꽃에 전달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꽃은 보통 꽃가루를 생성하는 수술과 꽃가루를 받는 암술을 기본으로 씨방, 꽃잎, 꿀샘 등의 보조 기관들이 모인 의외로 정교한 구조다.
  • 식물의 성
암술만 지닌 암꽃과 수술만 지닌 수꽃가 따로 나뉘면 단성화, 암술과 수술이 모두 지닌 꽃은 양성화로 구분한다. 또한 단성화 식물 중에서는 한 나무에 암꽃과 수꽃이 모두 펴면 자웅동주, 암꽃만 피거나 수꽃만 피는 자웅이주로 구분한다.
  • 꽃의 수정
식물들은 스스로 움직일 수가 없으므로 꽃가루를 퍼뜨리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분류로는 우리가 익히 아는 다양한 색을 띠고 을 품은 꽃인 충매화가 있다. 대부분의 꽃들이 충매화이다.
충매화는 벌레들을 꼬이게 하여 그 벌레의 몸에 꽃가루를 묻혀 다른 꽃으로 날아가 수정이 되게 하는 전략을 택하는데, 벌레가 꼬이게 하기 위해 다양한 색감과 꿀을 공급한다. 색과 꿀에 이끌린 벌레들은 꿀샘을 빨기 위해 암술과 수술을 건드리면서 지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꽃가루가 전달되어 수분이 된다.
풍매화는 바람에 꽃가루를 날리게 하여 수분을 시키는 전략을 택한다. 물고기들에서나 보이는 전략으로서 꽃가루 철이 되면 수많은 사람이 알레르기로 고생하게하는 주범. 대표적인 풍매화는 소나무가 있다.
이외에 물을 이용하는 수매화[1], 새를 이용하는 조매화[2] 등이 소수 있다.

3. 구조


[image]
  • 꽃잎(화판 花辦 petal): 꽃의 본체를 둘러싸는 변형된 . 영양기관이다. 나비, 등 수분(受粉)을 하는 곤충들을 유혹하기 위해 화사한 색을 띠기 때문에 인간이 꽃에 부여하는 미(美)의 가치의 핵심이 된다. 역시 옷이 날개다.[3]
  • 수술(웅예 雄蘂 stamen): 남성역에 해당하는 꽃의 생식 기관.
    • 꽃밥(약 anther): 꽃밥부리가 달려 있으며 여기에서 꽃가루가 생성된다.
    • 수술대(화사 filament): 꽃밥을 지지하는 기관. 꽃실이라는 다른 이름도 있다.
  • 암술(자예 雌蘂 pistil)
    • 심피(carpel): 암술의 구성단위. 원래 겉씨식물에서 밑씨를 달고 있던 잎(대포자엽)이 밑씨를 감싸고 가장자리가 봉합된 것. 떨어져 있는 형태의 심피는 갈래심피, 붙어 있는 심피는 통심피라고 부른다. 심피가 그대로 성숙해서 열리는 열매를 송편과라고 한다. 여기서 심피와 분리된 채로 성숙하게 되먄 꽃 하나에 여러 개의 독립된 열매들이 열리게 되는데 이를 모임과라고 한다.
      • 암술머리(stigma)
      • 암술대(style)
      • 씨방(ovary): 밑씨를 감싸는 부위. 이 부분이 나중에 커져서 과일의 과육이 된다.
    • 밑씨(ovule): 배주(胚珠)라고도 한다.
      • 태좌(placentation): 밑씨가 달려 있는 여러 형태.
  • 꽃받침(악편 萼片 sepal): 꽃잎과 함께 변형된 잎이면서 꽃의 영양기관이다.[4] 꽃잎과 마찬가지로 생식기관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 꽃턱(화탁 花托 receptacle)
  • 꽃피(화피 花被 perianth): 원시적인 꽃에서 발견되는 영양기관으로 꽃받침과 꽃잎이 분화되지 않아 어느 것이 꽃잎인지 구별이 불가능하다. 갈래꽃이나 통꽃처럼 꽃피가 통합되어 있거나 분열되어 있는 부류가 있다.

4. 문화


사람들로 하여금 형태와 향, 색에 미적 감각을 느끼게 하는 꽃은 예로부터 아름다움과 화려함을 상징하는 비유적 표현으로 사용되어 왔다. 예시로는 '꽃미남', '꽃중년', '꽃 같은 청춘' 등의 표현이 있다. "영화의 꽃은 감독"이라는 말처럼 중요한 대상을 비유할 때 쓰이기도 한다.
한편 감상의 대상으로서의 꽃은 수동적인 이미지로 여겨지기도 하며, 예로부터 꽃의 수동적인 이미지와 아름다운 이미지[5]를 토대로 주로 여성이 꽃에 비유되어 왔다. 그 예로 일본의 조신한 여성상을 상징하는 야마토 나데시코의 나데시코는 패랭이꽃이라는 뜻이며, 일부다처제 시기에는 여자는 아름답고 조신한 꽃, 남자는 꽃을 찾아 꿀을 먹고 다른 꽃을 찾아다니는 벌로 비유되곤 했다. 전 세계적으로 여아나 여자 캐릭터 이름을 지을 때 꽃 이름으로 짓는 것이 그 예시이며, 아름다운 사람을 특정해서 꽃에 비유하는 것과는 별개로[6] 여성이라는 성별 자체가 자주 꽃에 비유되어 여성은 꽃의 이미지에 맞게 행동해야 한다는 성차별적인 편견도 함께 생겼었다.
인명으로 사용되는 꽃 이름으로는 한국에서는 장미, 나리 등이, 일본에서는 사쿠라(벚꽃), 츠바키(동백꽃), 나데시코(패랭이꽃), 아자미(엉겅퀴), 스미레(제비꽃), 아야메(붓꽃), 보탄(모란), 유리(백합) 등이, 중동권에서 닐뤼페르(수련), 야스민(재스민), 영미권에서는 로즈(장미), 바이올렛(제비꽃), 릴리(백합) 등이 있다. 주로 여성 인명으로 사용된다.
'가장 아름다운 순간'이기 때문인지 '행사의 꽃'이나 '꽃피지 못한 청춘' 같은 표현처럼 절정기를 비유하는 말로도 쓰인다. 이 표현은 열매에도 쓰이지만 꽃과는 논점이 다른 느낌이 있다.[7]
한국어에서 '꽃'의 ㅊ받침이 연음될때 ㅅ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8]
꽃을 좋아하는 사람은 얼굴이 예쁘고 마음이 맑다는 것은 클리셰가 존재한다. 꽃반지나 꽃팔찌 등도 시골이나 풀밭에서 연애가 등장하면 자주 등장하는 물품.
아름답기 때문에 선물을 비롯한 상징적 의미로도 많이 사용된다. 꽃다발, 화환 등은 축하나 기념의 의미로 자주 쓰이며, 흰 꽃으로는 조화(弔花)를 만들기도 한다. '화환은 기념의 의미이고 조화는 추모의 의미이므로 추모식장에 보내는 것은 화환이 아니다'라는 말이 돌기도 하는데, 화환(花環)이라는 단어 자체는 한자를 해석하면 별 뜻 없다.[9] 이외에는 스승의 날, 어버이날 같은 날 꽃을 달아 드리거나 졸업식 혹은 각종 시상식에 꽃다발을 선물하는 경우에 많이 볼 수 있다.
결혼기념일 같은 각종 기념일에 꽃을 선물하는 사람도 많은데, 이럴 때는 주로 남성이 여성에게 선물하는 편이다. 다만 꽃이 보기에는 이뻐도 실용성은 낮은 물건인 데다 생화는 관리하기도 어렵고, 버릴 때쯤엔 처치곤란이 되는 경우도 많이 생긴다. 이 때문에 의외로 꽃 선물을 안 좋아하는 사람도 많고, 꽃을 좋아하더라도 특별한 날에 꽃 하나만 덜렁 주면 대부분 실망한다. 상대의 성향을 파악해서 지나가는 선물로 주거나, 주 선물은 따로 챙기고 보조 선물로 주는 편이 좋다. 꽃을 좋아한다면 특별히 기념일이 아니더라도 꽃을 선물을 주면 반가워할 가능성이 높으니 어머니나 아내와 함께 사는 위키러는 가끔 시도해 보자.
한국에서는 머리에 꽃을 꽂으면 미쳤다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인식은 최근에 생긴 것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정확히 '머리에 꽃 = 광녀'라는 이미지는 한국전쟁 시절 유명했던 '금달래'라는 머리에 꽃을 꽂고 산발을 한 광녀에서 비롯되었고, 그 이미지는 드라마나 영화 같은 매체에서 등장했던 것이 그대로 굳어진 것이다. 머리에 꽃을 꽂는 행위를 제정신이 아닌 인물들이 낮은 정신연령이거나 미쳤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도 존재한다. 참조링크
사실 한국에서 머리에 꽃을 꽂는 행동이 원래부터 금기시되던 것은 아니었다. 실제로 조선시대에는 장원 급제자에게 임금이 직접 어사화라고 하는 종이꽃을 머리에 달아주기도 했고, 축제 날 여인들이 머리에 꽃을 장식했다는 기록 역시 전해지고 있다.
게임에서는 왠지 먹으면 파이어볼을 쏘게 한다든지, 사람들을 잡아먹으려 한다든지[10] 하는 등 본래 꽃의 기능과는 수만 광년 떨어진 설정이 많다. 후자의 경우에는 아무래도 식물 중에 오므렸다 펴졌다 하는 부분으로 꽃이 제일 대표적이어서 그렇지 않은가 싶다.
한국 신화에는 농경신 자청비가 꽃을 무기로 사용한다. 식물 문서의 식물 관련 능력자를 참조

5. 식재료


  • 식용꽃 활용
일부 꽃은 식용으로도 쓰인다.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정향 등이 그 예. 또한 터키에 장미로 만든 도 있다. 한국 요리 중에는 화전이라는 요리가 있는데, 진달래 등의 꽃으로 만든다. 다만 최근엔 먹고싶어도 먹기 힘들다.
위의 특기할 사례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꽃은 식용으로 쓰기에 적절치 못하다. 상기된 브로콜리나 콜리플라워도 다 핀 꽃이 아니라 꽃이 피기 전의 봉오리를 먹는 거다. 다 피어난 꽃잎은 질기고 쓰며 꽃술은 딱히 이렇다할 맛이 없다. 꽃술은 요리하면 지저분하다고 떼고 조리하는 것이 보통. 꽃에서 나오는 꿀은 한 송이에서 나오는 양으로는 달지도 않다. 아티초크도 식재료 꽃이긴 하지만 이파리가 아니라 꽃대를 먹는 식물이며 역시 다 핀 꽃은 먹지 않는다. 식물의 입장에서 본다면 번식을 위해서 꽃을 최대한 눈에 띄게 하면서도 '''먹히지 않게''' 할 필요가 있으니 굳이 꽃에 맛을 투자할 이유가 없다. 안 그러면 동물들이 꽃까지 다 먹어치워서 번식에 실패할 테니까. 같은 이유로 인간의 입장에서도 꽃을 먹을 바에야 꽃을 냅둬서 식물이 맺은 열매를 먹는 것이 훨씬 이득이기에 굳이 꽃을 먹기 위해 품종개량을 거치지는 않는다. 브로콜리같은 케이스가 아니라면야. 대부분 식용 꽃은 식용으로 품종개량이 된 게 아니라 원래부터 독같은 게 적어 딱히 먹어도 해가 될 것이 없는 꽃을 음식의 장식으로 올리는 정도다.
또한 보통 잎채소들은 꽃이 피면 잎사귀와 줄기가 질기고 써서 꽃이 핀 잎채소는 웬만해선 먹지 않는다. 가능하면 꽃대가 올라오기 전에, 늦어서 꽃대가 보여도 꽃이 피기 전에 소비한다. 꽃이 핀다는 건 그 식물이 꽃을 피울 만큼 성숙했다는 뜻이고, 성숙한 식물은 줄기가 튼튼해지고 쓴맛[11]이 나기 때문. 대부분의 나물이나 채소를 어린순으로 먹는 것이 이런 이유다. 열매나 뿌리를 먹는 과채류는 해당사항이 없다. 대신 꽃이 많이 피면 영양이 분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인위적으로 일부만 남기고 솎아낸다.
하지만 세상만사엔 예외가 있어서 다 핀 꽃만 먹는 식물도 있는데, 바로 무화과다. 사프란은 꽃잎도 꽃꿀도 아닌 꽃술만 따서 사용하는 경우.
깨끗하게 잘 말려서 찻잎 개념처럼 쓰기도 한다.

6. 문서가 있는 꽃


이름순 정렬은 분류:꽃 참조.

6.1. 사계절



6.1.1. 에 피는 꽃



6.1.2. 여름에 피는 꽃



6.1.3. 가을에 피는 꽃


  • 거베라
  • 국화#s-1
  • 석산
  • 델피니움#s-1
  • 들국화#s-1
  • 무화과[12]
  • 사프란#s-1
  • 코스모스
  • 투구꽃
  • 페튜니아#s-1

6.1.4. 겨울에 피는 꽃



6.2. 미분류



7. 관련 문서


[1] 대부분의 수초[2] 동백나무 등[3] 옛날 유럽에서는 꽃이 생겨난 이유가 창조주가 인간을 기쁘게 하기 위해서라고 보았다고 한다. 하지만 가장 오래된 꽃은 2억 년 이상이나 오래 전에 나타났으니...[4] 괴테가 이 이론을 만들었으며 이후 그것을 뒷받침하는 화석이 발견되기도 했다. 식물의 역사 참고.[5] 물론 라플레시아타이탄 아룸처럼 일반적으로 아름답다고 여겨지지 않는 꽃들도 있고 식물학적 관점에서 꽃은 그렇게 수동적인 존재는 아니지만, 이 경우는 어디까지나 예외적이고 일반 대중들의 통념과는 다른 경우이다.[6] 표준국어대사전에서의 ''의 다의어 중 하나로 "인기가 많거나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 등재되어 있다.[7] 예를 들어 '재능을 꽃피우다', '노력이 열매를 맺다.'[8] 예를 들어 ''''꽃이''' 예쁘다.', ''''꽃을''' 받으니 기분이 좋다.', '이 '''꽃은''' 향기가 좋네.' 등의 문장에서 볼드체로 된 부분은 각각 '꼬치', '꼬츨', '꼬츤'이라고 발음하는게 원칙적으로는 맞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꼬시', '꼬슬', '꼬슨'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9] 2010년 5월에 이슈였는데, 그때 문제가 되었던 것은 정모 의원 이름으로 5.18 기념식장으로 보내진 화환이 '''축하용'''이었다는 것이다.[10] 사실 후자는 대상이 인간이 아니라 곤충일 뿐이지 식충식물의 형태로 실존하긴 한다.[11] 이 쓴맛은 대부분의 식물에게서 보이는 기초 방어기제로, 동물이 이 식물을 먹었을 때 쓴맛만 느껴져 맛이 없다는 사실을 각인시켜서 다른 동족 식물들의 잎과 줄기가 먹히지 않게 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그래서 초식동물들도 대부분 쓴 맛 안 나는 어린 잎을 선호한다.[12] 흔히 과육이라 생각하는 부분이 사실 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