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image] '''대한민국 국보 제16호'''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永川 安東 法興寺址 七層塼塔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 8-1번지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정연도'''
1962년 12월 20일
'''제작시기'''
통일신라시대 8세기
[image]
1. 개요
2. 내용
3. 바깥고리
4. 국보 제16호


1. 개요


安東 法興寺址 七層塼塔. 대한민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큰 전탑이다. 통일신라 시대 때 건설되었고 높이 17m, 너비 7.75m에 이르며, 단층의 화강암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으로 이루어져 있다. 탑의 상륜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 되지만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국보 제16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


원래 신라 때 창건된 법흥사라는 절의 탑이었으나 절은 오랜 세월이 지나며 어느 순간 폐사해 흔적이 사라지고 탑만 남아있다. 원래 사찰이 있었던 자리로 추정되는 곳에는 고성 이씨 탑동파 종택이 들어서 있다.
대체로 우리나라는 석탑이 많고, 그 외에 전탑 모양만 흉내낸 모전석탑이 있지 중국에 흔한 진짜 벽돌로 쌓은 전탑은 많지 않은 편인데 이 탑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탑이다. 많이 남아 있지는 않지만, 기와가 얹어진 부분이 일부 남아 있다. 이를 통해 목탑의 양식을 모방하여 만들어졌으리라 추정할 수 있다.
[image]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기단부는 시멘트로 되어 있는데, 미륵사지 석탑처럼 일제강점기때 전탑을 유지·수리한다는 명목하에 발라 놓았고, 시멘트를 바르면서 기단부의 부조#s-2들도 엉망으로 배치해놨다. 이로 인해 원형에 심각한 손상이 와서 현재로선 기단부의 본래 모습을 추정하기가 어렵다.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은 학술적 가치도 높지만 다른 쪽으로도 유명한데, 탑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다. 일명 '안동의 사탑'(斜塔)으로도 불린다. 탑의 크기에 비해 매우 협소한 공간에 위치해 있는데 과거 법흥사가 있을 때 세워진 탑이지만 절이 폐사하면서 한쪽으로는 양반집 고택이 위치해 있고, 일제강점기때 개통한 중앙선 철도가 반대쪽으로 지나가기 때문이다. 1,000년도 넘은 고탑 바로 옆으로 기차가 100여년간 계속 지나다녔고 그 진동으로 인해 탑이 한쪽으로 기울게 된 것.
전탑은 벽돌을 쌓은 구조상, 목탑이나 석탑보다 철도의 열차가 지날 때마다 반복되는 진동에 더욱 취약하다고 여겨지고 있어 더 큰 문제다. 탑의 보전을 위해서는 철길을 우회시켜야 하지만 일제시대 때를 넘어 광복 후에도 70년 가까이 그대로 기차가 지나다녔다.
2020년 12월 17일을 기해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으로 안동역이 이전하면서 철길을 현재 부지에서 이전시킬 예정이다. 동시에 고택인 임청각[1] 역시 2021년 이후 복원 예정이다.
'''"안동 신세동 7층 전탑"'''으로도 부르는데, 재밌는 것은 실제 탑이 위치한 곳은 신세동이 아니라 법흥동이라는 것이다. 지금은 물론이고, 국보 지정 당시에도 법흥동에 위치해 있었다. 하지만 지정 과정에서 실수로 문화재 명에 신세동이라는 지명이 들어가 버렸고, 지금도 신세동 7층 전탑이라고 불리고 있다.[2] 이렇게 달랐던 이유는 초기 대한민국의 국가지정문화재들이 과거, 일제강점기였던 1933년에 시행된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이 마련되면서 시작한 것으로 이후, 해방과 한국전쟁을 거치고 난 후인 1962년 12월 20일에 옛 보물(단, 북한 지역의 문화재들은 제외. 예외로 천연기념물은 북한 지역까지 포함.)들 중에서 105건을 국보로 일괄 지정하였고[3], 나머지 옛 보물 400건을 이듬해 1월 21일자로 현재의 보물로 일괄 지정하였는데, 이 때에 행정상의 착오로 기존 동네가 아닌 이웃한 동네의 명칭으로 잘못 기재되어 내려온 것으로, 2010년대에 지정 명칭 변경에 따라 원래의 주소로 일치되었다.

3. 바깥고리



4. 국보 제16호


전탑(塼塔)이란 흙으로 만든 벽돌을 이용하여 쌓아 올린 탑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법흥사에 속해있던 탑으로 추정된다.

탑은 1단의 기단(基壇)위로 7층의 탑신(塔身)을 착실히 쌓아올린 모습이다. 기단의 각 면에는 화강암으로 조각된 8부중상(八部衆像)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을 세워놓았고, 기단 남쪽 면에는 계단을 설치하여 1층 몸돌에 만들어진 감실(龕室:불상을 모시는 방)을 향하도록 하였다. 탑신은 진한 회색의 무늬없는 벽돌로 쌓아 올렸으며, 지붕돌은 위아래 모두 계단모양의 층단을 이루는 일반적인 전탑양식과는 달리, 윗면에 남아 있는 흔적으로 보아 기와를 얹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단의 윗면을 시멘트로 발라 놓아 아쉬움을 남기는 이 탑은 7층이나 되는 높은 층수에 높이 17m, 기단너비 7.75m의 거대한 탑임에도 매우 안정된 자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국내에 남아있는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에 속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지붕에 기와를 얹었던 자취가 있는 것으로 보아 목탑을 모방하여 전탑이 만들어졌다는 것을 입증해 주는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1] 석주 이상룡선생의 생가다.[2] 그런데, 안동 시내의 일부 국가지정문화재에는 이러한 지명 실수가 더러 있다.안동역 앞에 자리한 보물 56호운흥동 오층전탑 역시 명칭이 변겅되기 전에는 인근 동네인 동부동의 이름을 따서 '동부동 오층전탑'으로 불리어 왔었으며, 역시 보물 114호로 지정된 평화동 삼층석탑 역시 처음에는 '옥동 삼층석탑'이라 불렸다.[3] 실제 그 당시에는 옛 보물 195건+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을 포함해서 새로 확인한 11건을 포함해 최종적으로 116건이 국보로 일괄 지정되었다. 이 외에도 초기에 지정된 천연기념물 154건은 1962년 12월 3일, 사적 125건은 1963년 1월 21일(단,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은 기존 사적들보다 일찍 지정됨.)에 일괄 지정을 했다. 물론 현재 국보를 제외한 나머지 문화재들은 이후에 지정 취소나 승격, 통합 등으로 사라진 경우가 많으니, 참고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