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지연

 


1. 개요
2. 국가별 사례
2.2. 일본
2.3. 유럽
2.4. 기타
3. 관련 문서


1. 개요


우리 열차는 마지막 역인 --역에 정시 도착합니다. 고객 여러분을 '''정시에 모시게 되어서 대단히 기쁘게''' 생각합니다.

우리 열차는 마지막 역인 --역에 약 **분 늦게운행하여 XX시 ##분에 도착합니다. 열차가 '''제시간에 도착하지 못하여 대단히 죄송'''합니다.

- 열차 내 안내방송

안내 말씀 드립니다. HH시 MM분에 OOO로 가는 XXX호, NNNN 열차는[1]

약 MM분 늦게 운행되어 HH시 MM분에 도착할 예정입니다. '''제시간에 운행하지 못해 (한박자 쉬고)[2]죄송'''합니다.

- 역사 내 안내방송

열차가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정시보다 늦게 도착하는 것을 뜻하는 단어. 환승열차로 지정된 열차의 경우 선행열차가 지연도착 시 후행열차도 지연된다.

2. 국가별 사례



2.1. 한국


코레일에서는 KTX는 5분 이상, 그 외 여객열차는 10분 이상 지연되는 것을 지연으로 간주하며, KTX와 ITX-청춘 및 기타 일반열차는 20분, 전동열차는 마지막 열차가 30분 이상 지연될 때 지연보상이 이루어진다. 단 승차권 구매시점에 이미 열차가 20분 이상 지연되고 있었던 경우에는 열차지연사실을 알고도 구매한 지연승낙한 승차권으로 지연보상 대상에서 제외한다.
일반열차, 수도권 전철을 막론하고 코레일의 열차 지연은 자주 있는 일이다. 일반열차의 경우 10분 지연은 애교고 5분 지연은 지연도 아닌 수준. 2018년 코레일의 정시율은 일반열차에 대해 91.86%이므로 약 8%의 열차가 지연된다고 할 수 있다. 2010년대부터 정시율이 점차 하락하고 있다.출처 한국의 여객열차는 상위 등급일수록 하위 등급에 대해 열차 운행에 우선순위를 가지기 때문에 KTX의 정시율이 가장 높고 무궁화호가 가장 낮다.(화물열차 제외) KTX 정시율 관련 기사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우 서울역-청량리역 구간은 서울교통공사 관할이지만, 그 밖의 대다수 구역은 전부 코레일 관할이다. 출퇴근 시간대 5분 지연은 기본이다.[3]
이 문제는 장항선이나 경북선같이 경부선과 직결운행하는 단선 노선에서 더욱 심하다. 장항선은 주말마다 10분 이상 지연되고 영동선, 경북선, 경부선을 운행하는 주말 #1691은 영동선 구간에서 항상 10분 이상씩 늦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장항선의 경우는 서울-천안간의 선로용량에 의한 지연과 1시간에 1번씩 운행하는 비교적 많은 운행 횟수에 따르는 교행 문제로 지연이 중첩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한 부분의 상당수는 대전, 대구 도심구간의 복복선화와 호남고속선의 1단계 개통이 완료되면 어느정도 해결될 예정이다. 그리고 저 정도면 20~30분 이상씩 지연되는 막장 상황은 크게 줄어들 것이다.
대전, 대구 도심구간에서 운행되는 모습을 보면, 2~3분 정도 지연되던 일반열차가 KTX에 의해 시각표가 잘 안 지켜지는 상황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렇게 지연된 열차가 뒷열차를 막아버려 같이 지연되거나, 다른 직결노선의 뒷열차를 먼저 보내버려 이에 따른 추가 지연, 또 그렇게 생긴 지연에 다른 도심구간에서 다시 KTX나 광명셔틀에 또 시각표가 안지켜지는 등 등 도심 구간 문제가 심각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연쇄반응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는 것은 결코 가볍게 넘길 점이 아니다. 다만 위의 호재를 받을 수 없는 장항선은 모른다.
그리고 열차 운행시간 자체가 다른 열차의 운행상황, 승객의 돌발상황, 기상상황, 기관사 근무교대 및 식사시간 등 많은 변수에 영향을 받으니 100% 맞춰진 시간에 도착하게 하려면 표준 소요시간을 늘리는 방법밖에 없다. 이걸 KTX나 경부선, 호남선 일반열차에서는 이미 시행하고 있다. 15분 기준 정시운행할 때에 비해 98.3%의 승객이 20~30분씩 손해를 보고 5분 기준 정시운행율에 집착하는 방식이다. 그냥 차라리 어느 정도 지연을 인정해서 시간 여유를 두고 행동하게 하되, 시각표상 소요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방법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일부러 출발 시각을 더 이르게 고지하는 것. 승객 스스로도 운행 예정시간보다 10~20분 전에 역에 미리 도착할 것을 권장해야 한다.
2019년 12월 30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시간표가 대폭 개편이 되었는데 역대급으로 무리하게 개편을 하는 바람에 개편된 시간표대로 운행되지 못하고 엉망이 되어 광운대발 신창 완행 열차가 52분...까지 지연된 적도 있다. 특히 출퇴근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큰 불편을 겪고있다. 늘어난 급행 열차에 추가 정차역까지 생겼고 대피선도 제대로 마련이 되어있지않아 결국 급행, 완행 열차가 모두 같은 선로로 열차가 다니는 문제가 발생해 열차 지연 문제는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2020년 1월 14일에 일부 열차 시간표를 조정하기도 했으나 여전히 지연되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문제에도 불구하고 사실 코레일은 열차 시간표를 나름 잘 지키는 편이다. 5분 지연과 같은 자잘한 지연은 많이 생기지만 지연의 기준을 15분 이상으로 집으면 한국 철도는 지연이 세계적으로도 상당히 적은 편이다. 경의중앙선에서 중앙선 구간에서조차 10분 지연은 최악의 지연이라고 할 정도.[4] KTX의 경우에는 지연이 심각할 시 315km/h(!)까지 가속시켜 열차지연을 최대한 줄이려고 노력한다.
사람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 고의로 열차를 지연시키는 이런 착한 지연의 사례도 있다.


2.2. 일본


일본 철도의 정시성은 세계적으로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나라와는 달리 일본의 철도회사들은 일반적으로 1분만 늦어도 지연으로 간주하고 사과 방송을 올릴 정도로 지연에 민감하다.
그러나 각 노선마다 정시성을 철저히 지키는지의 여부는 크게 다른데, 일반적으로 일본에서는 신칸센이 가장 정시성을 잘 지킨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도시철도광역철도로 들어가면 좀 달라지는데, 아직 스크린도어가 부족하고 건널목이 많다보니 이런 데서 심심찮게 터지는 자살이나 안전사고가 꽤 많아서 지연의 원인이 되며, 그 외에도 협궤 노선들은 바람에 의한 흔들림이 심해서 케이요선 등의 대도시 해안 노선은 강풍으로 인한 운행중단 및 지연 등이 꽤 많다[5]. 당장 츄오-소부선이나 츄오 쾌속선으로 검색해보면 같이 딸려오는 검색어가 '''멈춤'''내지 '''지연'''이다. 야마노테선의 지연율이 90%인 것에 주목해보자.보러 가기.
그리고 도시/광역철도 노선들 중에서도 타노선과 직통운전하거나 다양한 등급과 운행계통이 공존하는 노선의 경우[6], 이례상황(차량 고장, 사고, 기상 악화 등)도 아니라, 평소에도 상위 등급열차 대피나 '''해당 노선의 미칠듯이 많은 수요로 인한 승하차 지연'''으로 인해 정시성이 한국과 별반 차이 없거나 더 심각한 수준으로 난장판이 되기도 한다[7]. 이런 식으로 한 쪽이라도 지연을 먹을 경우 상호 직통하거나 철로를 공유하는 노선 까지 여파가 미치기도 하니 정시운행을 기대하는것 자체가 힘들다.

2.3. 유럽


유럽 철도는 정시성이 잘 안 지켜진다. 타 노선, 타국 직통열차가 많다보니 한 노선에서 지연이 발생하면 이곳저곳으로 지연이 퍼지는 문제가 있다.
국가별로 살펴보자면 독일의 경우 선로용량 포화 따윈 신경도 안 쓰고 닥치는대로 구겨 넣다보니 독일 철도에서 지연은 밥먹듯이 흔한 일이며, 어쩔땐 시간단위로 지연되던게 시간이 계속 불어나더니 그 편성이 증발하기도 하는데 독일인들은 이를 그러려니 하며 받아 들이고 , 독일에서 유학중인 한인 유학생들은[8] 한국와서 KTX 타고 10분 지연된 거보고 정시 진짜 잘 지킨다고 감탄한다.
이탈리아는 더 가관이라 하루나 이틀 연착되는 일도 잦고 독일처럼 편성이 증발하기도 한다.

2.4. 기타


중국이나 대만 철도는 한국보다 정시성이 다소 떨어지는 편이라고 알려져 있다. 고속철같은 최상위 열차의 정시성은 조착까지 할 정도로 끝내주게 좋은데 '''등급이 내려갈수록 정시성이 엉망이다.''' 다만 지하철의 경우 시격을 칼같이 지킨다.
미국 암트랙은 정시성이 엉망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셀라 익스프레스는 배째라식 지연도 잦다.(미국의 철도 환경 참조)

인도국철은 그야말로 '''헬게이트'''. 인도 항목 중 교통 편을 보자. 여기는 인구도 많고 온갖 기행에 어처구니 없는 사건사고도 많이 일어나며 며칠 연착은 일도 아니라고. 이쯤 되면 철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기이할 정도.

북한은 전력난 때문에 연착이 비일비재하다. '''차가 목적지까지 도착하는 데 23일'''이나 걸린 일도 있다.

3. 관련 문서



[1] 이 사이에 '@@@로'라고 이유를 설명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멘트는 '''승•하차 지연으로'''.[2] 옛날에는 이 부분에 '대단히'라는 말이 나왔다.[3] 예시로 평일 출근시간대에 환승객을 서로 맞트레이드 시킬 목적으로 시각표를 기획하여 금정역에서 1호선 광운대역행/4호선 당고개행 열차가 7시 54분과 8시 01분에 동시에 오는데, 4호선은 나름 정시에 오는 반면 '''1호선 7시 54분 차(K424)는 일주일에 세 번 꼴로 늦는다.''' 그러니까 7시 54분에 1호선 열차를 기다리다 못해 4호선 차가 먼저 출발해버리고 57~58분 쯤 1호선 차가 와서 승객을 배출한다. 더 문제인 것은 다음 차가 올 8시 01분 1호선 차(K426)는 정시에 와서 4호선 한 대에 1호선 세 대 분량의 사람까지 탑승하는 경우까지 있다. [4] 그마저도 경의선 구간에서 엄청난 지연회복이 이루어진다. DMC~수색, 강매~행신 구간을 2분 운행으로 여유롭게 잡고 능곡역에서 승무교대 핑계로 정차시간을 1분 잡기는 하지만.[5] 표준궤를 채택한 한국의 전철 지상구간은 태풍도 아주 강하게 오거나 선로가 아예 침수되지 않는 이상 어지간하면 서행해서라도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다.[6] 특히 덴엔토시선-한조몬선, 오다와라선-치요다선-조반 완행선, 케이오선-도에이 신주쿠선, 그 외 야마노테선이나 츄오본선과 병주 또는 직통하는 운행계통들(츄오-소부선, 도자이선, 케이힌토호쿠선, 사이쿄선, 쇼난신주쿠라인 등)[7] 하다못해 한국의 경의중앙선은 철로가 두 가닥 밖에 없는데다가 대피선 설비가 빈약해서 어쩔 수 없다지만, 일본 수도권 통근노선은 선로를 아예 '''2~3복선'''으로 지어놔도 경의중앙선 이상으로 지연이 심해지는 경우가 잦다.[8] 미국과 호주 못지않게 유학생 인구가 높다. 베를린동물원역 주변이나 알렉산더플라츠에 가면 심심치않게 마주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