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카테린부르크

 

1. 개요
2. 도시 특징과 역사
4. 출신 인물
5. 이야깃거리


1. 개요



[image]
'''예카테린부르크'''
'''Екатеринбург'''
설립
1723년
면적
468㎢
인구
1,493,749 (2020)
인구밀도
3,191명/㎢
시간대
UTC+5

러시아어: ''' Екатеринбург'''
영어: '''Yekaterinburg'''
독일어:'''Jekaterinburg'''
한국어: '''예카테린부르크'''
[image]
[image]
[image]
[image]
러시아 중앙부에 있는 대도시로 스베르들롭스크 주의 주도이자 우랄 연방관구의 본부가 있다. 인구는 2016년 기준으로 약 144만명으로 러시아 전체에서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노보시비르스크에 이은 4위 규모로, 한마디로 우랄 산맥의 중심도시.
도시의 이름은 러시아의 여제이자 표트르 대제의 부인이었던 예카테리나 1세에서 따왔다. 예카테리나 대제와 다른 사람이니 착각하지 말 것.

2. 도시 특징과 역사


도시가 우랄 산맥의 동쪽 기슭에 가까스로 위치해있기 때문에 대륙 구분상으로 아시아에 속해있는 도시이기도 하다. 유럽아시아를 나누는 오벨리스크가 도시 서쪽으로 40km 거리에 위치해있다. 아시아와 유럽을 가르는 경계선상에 있는 도시로 터키이스탄불이 있다면 러시아엔 예카테린부르크가 있는 셈. 유럽모스크바극동 시베리아를 잇는 시베리아 횡단철도가 예카테린부르크 역을 통과하며, 러시아 철도가 아시아로 이어지는 길목이기도 하다. 모스크바에서 출발한 열차가 여기서 러시아 동부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으로 가는 철도가 분기한다. 덕분에 근대 러시아 소설에서 누군가가 시베리아로 유형을 간다면 항상 예카테린부르크에서 잠깐 머무는 장면이 나온다.
우랄 산맥의 풍부한 천연 자원들이 모이는 도시이기 때문에 공업이 상당히 발달했다. 러시아인들이 예카테린부르크하면 바로 떠올리는 것이 공장의 이미지. 도시 자체가 18세기 광산업을 위해 건설된 도시이고 이로써 축적된 부를 통해 공업, 금융업, 상업이 발달하게 되었다.
적백내전 이후 예카테린부르크는 우랄 산맥 권역에서 현재의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 때부터 '''스베르들롭스크'''(영어: Sverdlovsk, 러시아어: Свердло́вск)라는 이름으로 도시 이름이 개칭되었다.[1] 이후 스탈린이 우랄 산맥을 공업화하면서 군수산업도 크게 발달하게 되었고 이렇게 만들어진 예카테린부르크와 우랄 산맥 권역의 공업지대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러시아 산업의 핵심이 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체제가 무너지고 러시아 연방이 되면서 도시이름은 다시 옛 이름인 예카테린부르크로 바뀌었으나, 아직까지 이 도시를 포함한 주는 스베르들롭스크 주(Свердло́вская о́бласть)라고 불리면서 소련시대 이름을 간직하고 있다.
최근 러시아에서 발전속도가 빠른 도시 중 하나다. 인구가 꾸준히 늘고 있고 고층건물도 많이 올리는 중. 2020 엑스포 유치에 뛰어들었지만 두바이에게 밀렸다..
시내 교통은 트램과 트롤리버스가 활성화 되어 있다. 시베리아에 몇 없는 지하철 보유 도시이기도 하다.
시의 중심부에는 저 위의 사진에서 나오듯이 크고 아름다운 인공호수와 운하를 만들어 두었다. 시민들의 산책로로 이용되며 가끔 카누를 타고 노는 사람들도 보인다.

3. 예카테린부르크 지하철


해당 문서 참조

4. 출신 인물


  • 보리스 옐친[2]
  •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 장징궈의 아내 장팡량[3]

5. 이야깃거리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니콜라이 2세 일가가 1918년 7월 17일 이곳에 있던 이파티예프 하우스 지하실에서 최후를 맞았다. 이파티예프 하우스는 1977년에 와서야 철거되었으며[4] 현재 그 자리에는 당시 처형당한 로마노프 왕가를 추모하는 피의 성당이라는 정교회 성당이 2003년 완공되었고 관련 박물관이 세워져 있으며 예카테린부르크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이다. 그 외에도 오래된 도시인만큼 시베리아 횡단철도 연선에서 관광지가 많은 편인 도시다.
또다른 명소 중 하나는 유럽아시아 사이 경계선 표시 기념비. 경계선이 시내에 있지는 않고 택시를 타고 가면 편하다. 노선버스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지만[5], 유럽-아시아 경계선 기념비가 고속도로 옆에 바짝 있다보니 접근하기가 어렵다(...) 그런데 이 유럽-아시아 경계선 기념비는 이스탄불처럼 뚜렷한 지형적 경계가 있는 건 아니고 그냥 상징적으로 세운 비석이다.
스베르들롭스크였던 시절인 1979년에는 도시에 있던 생화학무기 연구소에서 생물병기로 생산된 탄저균이 도시에 퍼지면서 몇 개월만에 수천 명이 죽었다고 한다.
2013년 지방선거에서 소련이 붕괴되고 러시아가 민주주의를 도입한 이후 러시아 대도시들 중 사상 최초로 집권여당이 아닌 야권 성향의 시장이 당선되었다. 시민 운동가 출신이라고 한다. # 2017년에도 재선에 성공했는데, 이 때문에 2018년통합 러시아당에서 눈엣가시라고 판단하고 예카테린부르크 시장직'''만''' 지방자치제를 '''폐지'''하고 관선제로 돌려버렸다.
스포츠론 프로 축구팀 FC 우랄 스베르들롭스크 오블라스트가 있다. 현재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활약중에 있다.
1980년대 전설적인 소련 포크 가수였던 알렉산드르 바실라초프의 고향으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해당 인물은 볼고그라드의 체레포베츠 출신이다. 다만 예카테린부르크에 위치한 대학을 다니긴 했다.
5년마다 열리는 엑스포 등록박람회를 유치하려고 시도 중이다.
2020 엑스포 등록 박람회에 입후보를 내서 두바이와 함께 최종투표까지 가서 결전을 했으나 결과는 116:47(...)로 역대 엑스포 유치전 투표에서 가장 표차가 크게 나는 압도적 발림을 당함으로서 2020 엑스포유치는 좌절되었고, 2025 엑스포를 기약하게 되었다.
2025 엑스포에도 입후보를 내서 일본 오사카와 최종투표까지 갔지만 서방세계에 러시아를 견제하려는 반러정서가 흐르면서 서방이 일본에게 몰빵해주는 탓에 또 다시 압도적 표차로 발렸다.(...) 결국 2025 엑스포오사카에게 내주게 되었다...
2030 엑스포에도 입후보할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1] 볼셰비키인 야코프 스베르들로프의 이름을 땀. 예카테린부르크 국립극장 앞에 이 사람의 동상이 있다. 개칭은 소비에트가 봉건적 색채가 남아있는 예카테린부르크라는 이름을 도시에 쓸 수 없으니 당연한 수순이었다. 레닌그라드로 개칭된 상트 페테르부르크도 마찬가지[2] 이 지역의 국립대학교인 우랄 공과대학교 건축학과 출신이다. 처음 일자리를 잡고 정치적 기반을 다졌다. 1991년 보수파의 쿠데타 당시 옐친에 의해 임시 수도로 거론되기도 하였다. 그만큼 당시 옐친에 대한 지지세가 강했던 지역. 시내를 찾아보면 커다란 옐친의 동상이 있다. 다만 여기 출생은 아니고, 같은 스베들롭스크주의 부트카라는 가까운 소도시 출신이다. 물론 고향인 여기만 그렇고 다른 지역에서는 나라를 말아먹은 천하의 개쌍놈 취급한다.[3] 蔣方良, 본명 - 파이나 바흐레바[4] 이를 철거한 자가 바로 보리스 옐친이다. 그는 이 짓을 함으로서 중앙정부의 주목을 받아 출세길을 달리기 시작하였다.[5] 예카테린부르크 역 근처에 있는 시외버스터미널에서 탈 수 있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