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워 3/무기
1. 개요
무기수는 31정으로 다른 FPS게임에 비하면 적은편 개발사에서는 40여가지 이상 무기들이 추가할 예정이라고 하니 지켜봐야할 일. 대신 Escape from Tarkov급으로 다양한 커스터마이징을 할 수 있다.
월드 워 3의 무기들은 대부분 연사력이 높을 수록 반동과 탄퍼짐이 심해지거나 무게가 무거워진다. 예전에는 무게에 제한이 없어 무거운 무기들로 무장을 하면 이동속도가 느려지는 페널티 외에는 별다른 단점이 없기에 RPG+RPG(...)같은 괴상한 조합들이 넘쳐났으나 현재는 무게 제한이 생겨 이러한 조합은 더 이상 불가능 해졌다.
저격소총과 산탄총을 제외한 모든 총들의 거리별 피해량은 최대 피해량은 0m, 최소 피해량은 135m를 기준으로 잡는다.
2. 권총
권총은 다른 무기군들보다 연사력, 피해량 등 다른 무기군보다 낮은 능력치를 가지고 있지만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무게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편이다.
0.4 패치로 총열에 소음기를 달 수 있게 되었으며, 모든 권총들의 연사력이 550으로 바뀌었다. 0.6패치로 화력이 증가했다.
2.1. G17
오스트리아제 권총으로 실모델은 G17 Gen 4버전
과거엔 권총 중 가장 빠른 연사력을 가지고 있어서 권총 중 가장 많이 채용되었었으나 권총들의 연사력이 550으로 통일된 지금은 가장 가벼운 무게와 적은 반동과 탄퍼짐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다.
2.2. Ragun
누가 폴란드 개발사 아니랄까봐 폴란드군의 제식 권총이 나왔다. 성능은 권총 중에 제일 무난하다. 다만 너무 무난해서 다른 총들에 비해 그다지 인기를 끌지는 못하고 있다.
2.3. Levedev
권총 중 피해량이 가장 높지만 과거에는 연사력이 300이라 운용이 힘들었으나 모든 권총의 연사력이 550으로 통일되어 DPS가 가장 높은 권총이 되었지만, 탄퍼짐은 그럭저럭이나 좌우 반동이 심하다. 또한 소음기를 달 수 없다.
3. 기관단총
가격이 저렴하고 연사력이 빠른 편이다. 근거리 교전에선 최고의 위력을 자랑하기 때문에 기동력을 살린 플레이를 선호하는 유저들이 많이 사용하지만, 중거리 이상에선 좋은 위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0.6패치로 화력이 증가했다.
3.1. Glaubyert
준수한 연사력과 기관단총 중 높은 피해량을 가지고 있어 보조무기로 자주 채용되는 기관단총이다.
여담으로 베타버전때는 이름이 Glaubyert PM-06이었지만 저작권 때문인지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3.2. Vityaz
러시아제 기관단총 성능은 기관단총 중에 제일 무난하다. 다만 너무 무난해서 다른 총들에 비해 그다지 인기를 끌지는 못하고 있다.
여담으로 베타버전때는 이름이 Saiga-9이었지만 게임상에서 연사가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고증상 문제가 제기되어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3.3. SIG
스위스제 기관단총. 기관단총중에 높은 연사력과 가벼운 무게를 가져서 인기가 많은 무기다.
0.3~0.4 업데이트로 재장전 애니매이션이 바뀌었는데 바뀐 애니메이션은 기존 애니메이션과 달리 매우 자연스러워졌다.
3.4. DMG Nine-Milli
0.4 업데이트로 추가된 기관권총이며, 실모델은 MPA 930 DMG이다.
이 게임에서 연사력이 가장 빠른 SIG MPX보다도 빠른 연사력을 가지고 있으며, 안 그래도 연사력이 빨라 탄 소모가 심했던 SIG MPX에는 장착할 수 없는 60발들이 드럼 탄창을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화력이 좋은 편이다. 다만, 반동과 탄퍼짐이 심하다.
총열덮개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지 않아 긴 총열과 총열덮개를 구매해서 장착할 때까지 하단 부착물과 측면 부착물을 장착할 수 없다.
3.5. PDW7
4. 돌격소총
근거리부터 장거리까지 커버 가능한 무기로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팔방미인 포지션. 어느 게임이나 그렇듯 이 게임에서도 가장 인기가 많은 총기류이다.
0.4 패치 이후로 AK-15, Alpha, Beryl 762에 75발 탄창을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0.6 패치로 7.62x39mm을 사용하는 무기들의 화력이 5.56x45mm을 사용하는 무기들의 화력과 동일해지는 너프를 먹었다.
위 패치로 인해서 7.62mm를 사용하는 무기들은 5.56mm를 사용하는 무기들에 비해 고작 최소 피해량이 더 높다는 것, 75발 들이 드럼탄창이 장착 가능하다는 장점 밖에 없기 때문에 그나마 연사력이 빠른 편이라 사용되는 AK-15를 제외한 나머지 7.62mm 무기들은 거의 사장되었다.
4.1. AK-15
실모델은 2014년형 AK-12이며, 피해량이 높은 편이면서 연사력도 준수한 편이기에 인기가 높다.
0.6 패치로 7.62mm를 사용하는 총기들의 최대 피해량이 5.56mm를 사용하는 총기들과 동일해지는 너프로 큰 타격을 입었는데, AK-15만은 저렴한 가격과 준수한 연사력을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아직까진 사용하는 사람이 적지 않게 보이고 있다.
총열덮개와 개머리판을 교체하면 AK-12 분대지원화기 버전인 RPK-16 구현할 수 있다.
여담으로 베타버전때는 이름이 AK-12이었지만 사용되는 탄환을 고려해 고증에 맞는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4.2. Alpha
실모델은 AK 알파이며, 피해량은 높은 편이지만 연사력이 정말 낮고 높은 가격때문에 사용하는 유저가 적은 아쉬운 총기이다.
0.6 패치로 사운드가 교채되었다.
4.3. Beryl 762
실모델은 FB 베릴, 해외판 AK라는 걸 인식했는지 전체적인 성능은 AK시리즈의 중간수준이고 또한 장전속도도 같은편이지만 탄낙차가 높고 무게도 가벼운 편이지만 연사력이 높은편은 아니기에 많이 쓰이지는 않는다.
0.6패치로 수평반동이 증가하고 그로인한 영향으로 명중률이 낮아진 너프를 먹었다.
4.4. M416
독일제 카빈형 돌격소총으로 실모델은 HK416A5이다. 낮은 반동과 높은 탄속, 그로 인한 중장거리에서도 높은 명중률과 높지는 않지만 준수한 연사력으로 특히 중거리용 스코프를 달고 중장거리에서 교전할 때 빛을 발해 인기가 많은 무기이다.
다만 여러 무기가 계속 추가됨에 따라 M4 MWS나 SA80 등과 같이 연사력이 빠른 돌격소총들이 추가되어 근거리에서는 이러한 총기들에게 약한 모습을 보여 이젠 범용성 보다는 중장거리 교전에서의 특출난 유리함을 보고 선택하는 무기가 되었다.
꽤나 좋은 성능을 가졌지만 이례적으로 서쪽 진영 선택시 기본 지급이라 기본무기에다가 꽤나 좋은 성능을 보여줘서 가성비가 상당히 좋다.
0.3 업데이트로 재장전 애니메이션이 바뀌었다.
여담으로 저작권 때문인지 총기 이름이 많이 바뀐 무기인데 베타버전때는 HK416이었지만 얼리엑세스로 발매되면서 G38로 변경되었고 0.6 패치로 M416로 바뀌었다.
4.5. MSBS-K
폴란드군의 차기 돌격소총으로 요약하자면 모든 스탯이 지극히 평범한 소총.
여러모로 크게 뒤떨어 지는 점이 없지만 특출난 데도 없기 때문에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전체적인 평가도 "분명 안 좋은 총은 아니고 그렇다고 그렇게 좋은 총도 아니어서 쓰는 사람 보기가 힘든데 막상 쓰면 괜찮은 총" 정도의 평이 주류이다.
앞서 말한 무난한 성능에다가 돌격소총 중에 가격이 저렴한 편이라서 제법 가성비가 좋은편이지만 M416의 사기적인 가성비에 묻혀 인기가 별로 없다.
0.5 패치로 재장전 애니메이션이 바뀌었다.
4.6. G36
독일제 돌격소총으로 실모델은 G36KA4
돌격소총 중 가장 빠른 연사력과 준수한 피해량을 가지고 있지만 연사력이 더 높은 SA80이나 연사력이 아주 약간 낮지만 더 안정적인 M4 MWS, 중장거리 교전에 높은 효율을 보이는 M416에게 밀려 많이 쓰이지는 않는다.
개조폭이 넓은 게임답게 적절한 개조를 가하면 G36외에도 G36K, G36C, SL8, HK233 등의 다양한 외형으로 바꿀 수 있다
4.7. MSBS-B
0.2 패치로 추가된 폴란드군의 차기 돌격소총 MSBS의 불펍형 모델이다. 높은 화력과 가벼운 무게가 장점이지만 그로 인한 패널티로 탄낙차가 가장 낮고 또한 거리별 감소 피해량이 심한편이다.
4.8. Vepr-18
0.3.2패치로 추가된 러시아제 민수용 돌격소총이며, 실모델은 Vepr AK-74이다.
연사력이 빠른 편이며 반동이 안정적이고 피해량 또한 준수하나, 거리별 피해량 감소가 심하고, 느린 재장전 속도와 터무니 없이 높은 무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사람이 적은 편
초반대의 구입가격에 이정도 괜찮은 성능을 가져서 사용하는 유저들도 볼 수가 있지만 앞서 말한 단점들 때문에 사실 가성비는 애매하다.
여담으로 다른 AK계열의 무기들과 달리 독자적인 재장전 애니매이션을 갖고 있다.
4.9. SA80
0.6패치로 추가된 영국제 돌격소총 실모델은 H&K사에서 계량한 L85A2
연사력이 DMG Nine-Milli와 함께 780으로 이 게임에서 나오는 무기들 중 가장 빠른편이고 명중률도 높은편이여서 근접전에서 매우 강력한 무기이지만 돌격소총 중에 유일하게 기본으로 하단레일이 없어서 돈이 더 많이 들어간다는 것과 장거리 교전의 한계, 그리고 무게도 무거운 편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높은 연사력이라는 장점이 커서 그런지 사용하는 유저가 생각보다 많이 보이는 편이다.
총열덮개를 교체하면 단축형버전인 L22A2을 구현할 수 있다.
4.10. M4 MWS
0.6패치로 추가된 미제 카빈소총으로 실모델인 M4A1에다가 ERGO F93 PRO 개머리판을 장착했다.
전채적인 성능은 M416 상위호환으로 G36 다음으로 빠른 연사력을 가졌지만 수직반동이 높은편이라서 원거리전에서는 조금 밀리는 편이지만 어떤 상황에서도 대처하기 좋은 범용성 좋은 무기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보인다.
여담으로 재장전 애니매이션이 상당히 화려하다.
5. 전투소총
높은 명중률과 높은 피해량을 가지고 있으며 돌격소총과 비교해 훨씬 더 먼 거리에서도 강한 화력을 유지할 수 있다. 사용하다 보면 최대 피해량이 그대로 박히는 것을 자주 보게 될 것이다. 다만 그로 인한 페널티로 연사력이 매우 낮은 편이며 무게도 무거운 편이다.
5.1. SCAR-H
0.3패치로 추가된 벨기에제 전투소총으로 실모델인 SCAR-H에다가 FAB Defense 권총손잡이와 ACE M4 SOCOM 개머리판을 장착했다.
높은 명중률과 높은 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장거리에서도 피해량이 감소하지 않아 중배율 스코프를 달고 DMR처럼 사용하기 좋다. 하지만 그로 인한 페널티로 연사력이 낮은 편이며 무게도 무거운 편이다.
여담으로 재장전 애니매이션이 M416과 비슷하다.
5.2. M417
0.6.5패치로 추가된 독일제 전투소총
근접에서 적군을 3발로 제압 할 수 있는 몇 안되는 라이플이다. 또한 SCAR-H보다 빠른 재장전 속도와 낮은 연사력 그리고 안정적인 반동은 덤.
낮은 탄창수와 연사력이 흠이지만 빠른 재장전속도와 거리별 피해량 감소가 심하지 않아서 똥파워 라이플을 좋아하는 유저라면 도전해보자.
5.3. MSBS-762N
6. 산탄총
근접상황에선 적을 한 방에 날려버릴 수 있는 무기이다. 반면, 중장거리에서는 다른 총기류를 넘어서기 어렵다.
0.4 밸런스 패치로 산탄총이 많이 약해져 쓰는 사람이 적어졌으며. 0.6패치로 화력이 15로 고정되었다.
6.1. Vepr-12
러시아제 반자동 산탄총으로 성능은 MCS와 비교해서 사정거리가 더 짧지만, 연사력이 빠르며 탄창식으로 장전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너프 전에는 긴 총열만 달아주면 중장거리도 어느정도 커버가 가능한 사기적인 산탄총이였으나, 너프 이후로 쓰는 사람이 좀 적어져서 장거리 교전이 자주 일어나는 워존 모드에서는 잘 안보이고 근거리 교전이 자주 일어나는 팀 데스매치에서는 어느정도 쓰이는 편이다.
6.2. MCS
미제 펌프액션 샷건으로 산탄총 중에 가벼운게 장점이지만 관형탄창을 사용해서 느린 재장전과 느린 연사력이 큰 단점이다.
7. 저격소총
중장거리교전용으로 이용되는 주무기. 스코프를 통해 장거리에서 저격하는 데 특화된 총들이다.
본 게임에서도 저격은 캠핑을 이용한 포인트 저격이 기본이며 이를 바탕으로 교전 상황에 따라 (가급적 팀원들과 함께 이동해) 캠핑 지점을 바꿔가며 플레이하는 것이 응용, 팀원들과 함께 움직이며 교전 상황에 맞춰 자리를 잡고 교전에 참여하거나 지역을 장악하는 것이 최종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킬을 따는데만 목표를 두기 보단 캠핑 지점을 잘 잡아 아군의 교전 상황을 유리하게 만들고 불리한 교전 상황을 반전시키며 돌입 작전을 지원하고 구역을 임시로 방어하거나 일시적으로 장악하는 등 자신의 존재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는 것이 좋다. 장기적으로 은폐가 가능한 지점에 캠핑하며 효과적인 저격 포인트를 잘 설정해 운용한다면 킬뎃 비율 5~7도 가능한, 팀의 결전 병기가 될 수 있다.
7.1. G29
높은 장탄수와 먼 거리에서도 피해량 감소가 적어 장거리에 있는 적을 맞추기에 좋지만 무게가 무겁다는게 흠이다.
7.2. Tochnost
가벼운 무게와 높은 탄낙차와 그리고 저격소총 중에서 연사력이 가장 빠르다. 그러나 저격소총 중에서 적은 장탄수를 가지고 있고, 거리별 피해량 감소가 더 심해 장거리에서 적이 한방에 죽지 않을 수 있다.
8. 경기관총
넉넉한 장탄수로 다수의 적들을 상대할 때 효과적이고 적의 전선을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며. 공격과 수비의 역할이 구분되어 있고 사람들이 뭉치는 경우가 많은 점령전에서 큰 위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조준 사격시에는 돌격소총과 비슷한 명중률을 발휘하는 것도 강점. 다만 전체적으로 탄퍼짐이 돌격소총보다 심한 편이다. 또한 재장전 시간이 어마어마하게 길고 총 자체가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
8.1. UKM
폴란드제 다목적 기관총으로 실모델은 UKM-2000, 연사력이 적절하고, 200발 탄띠를 장착할수 있기에 지속화력과 견제사격이 용이하다.
총열덮개와 그립을 교체하면 원조격인 PKM과 개량형인 PKP를 그럴싸하게 만들 수 있다
여담으로 베타버전때는 이름이 UKM-2000이었지만 저작권때문인지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8.2. MG5
독일제 다목적 기관총으로 실모델은 MG5 PARA버전
빠른 연사력과 높은 화력으로 적을 순식간에 없애주는 강력한 경기관총이며 반동만 빼면 돌격소총을 상회하는 능력치 때문에 사용자가 상당하다.
탄퍼짐은 적은 편이나 반동이 심한 편이다.[5] 하지만 이는 양각대나 손잡이를 달아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으며, 새는 탄이 많다고 하더라도 연사력이 매우 빠르고 피해량이 높기 때문에 적이 순삭된다. 무게가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보조무기와 방어구 선택의 자유도가 약간 떨어진다.
8.3. Pecheneg Bullpup
경기관총중 한발당 데미지는 가장 높고 무게도 가벼운 경기관총 하지만 다른 능력치가 타 경기관총과 비교해서 월등히 떨어지는 면이 많다. 그래도 강력한 한방데미지의 뽕맛 덕택인지 종종보이는 경기관총
8.4. LAMG
9. 중화기
9.1. RPG-7
무기 중 유일하게 대전차파괴 및 견제용으로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로켓은 사진 종류 외 2개가 존재하며 관통,폭발의 성능이 다르다 탱크의 견제경우 맞는 부분에 따라 3~4발 파괴되지만 탱크도 RPG-7을 막는 공간장갑,강화장갑 등 존재하기 때문에 장갑이 부착된 후방 를 노려야한다
[서쪽] A B C D E F 서쪽 진영 선택시 기본 지급[동쪽] A B C D E 동쪽 진영 선택시 기본 지급[1] 인게임의 표기가 14.4로 되어있으며, 버그로 확인함.[2] 실제로는 2~3초 정도이며, 표기 오류로 추정[3] 실제로는 1~2초 정도이며, 표기 오류로 추정[4] 실제로는 볼트액션 저격소총과 비슷한 수준이며, 표기 오류로 추정[5] 직접 써보면 새는 탄이 조금 보이는걸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