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게이트

 


1. 개요
2. 배경
2.1. 부활한 미국 그랑프리와 서킷
2.2. 타이어
3. 전개
4. 결과
4.1. 레이스 당일
4.2. 레이스 이후


1. 개요


인디게이트 (Indy[1]-Gate)는 2005년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포뮬러 1 미국 그랑프리에서 있었던 사건을 뜻한다. 크래쉬 게이트와 함께 2000년대 들어 생긴 F1의 큰 흑역사로 꼽힌다. 2000년대에 미국이 F1에서 발을 뺀 이유 중 하나로 작용했...지만 2010년대에 오스틴에 신설한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으로 다시 돌아왔다.

2. 배경



2.1. 부활한 미국 그랑프리와 서킷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 참조.

2.2. 타이어


당시 포뮬러 1의 타이어 규정은 대략 이렇다.

* 각 팀은 해당 시즌에 공급받을 타이어 제조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 타이어의 교체는 1) 타이어에 펑처가 나거나, 2) 타이어에 펑처가 나기 직전까지 마모 상태가 위험할 때만 허용된다.[2]

그 외에는 타이어 교체를 할 수 없다.

이러한 규정은 미하엘 슈마허의 독주를 막기 위해 FIA가 만들어낸 규정 중 하나로, 피렐리 타이어의 내구성이 노답이라 심하게는 4~5스탑까지 일어나는 2013년에는 이 때를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 이 규정은 2005시즌 도중 키미 래이쾨넨뉘르부르크링에서 플랫 스팟으로 인해 서스펜션이 파손돼서 리타이어하게 되자 플랫스팟이 생기면 타이어를 교체해도 페널티를 받지 않게 바뀌었다.
이에 따라 타이어 제조사는 미쉐린, 브리지스톤이 경쟁에 참여했고, 각 팀은 두 타이어 제조사 중 한 곳을 선택해서 경기에 참가했는데, 총 10개의 팀 중 르노, 맥라렌, 토요타, 윌리엄스, BAR 혼다[3], 레드불, 자우버미쉐린을 선택했고, 나머지 세 팀인 페라리, 조던[4], 미나르디[5]브리지스톤을 선택했다. 7대 3이라는 극명한 수치로 나뉜 상황은 마치 미쉐린이 브리지스톤보다 우위를 가진것처럼 보였고, 실제로 대회가 진행되면서 컨스트럭터 포인트도 미쉐린 타이어를 선택한 팀들이 더 좋았다.[6] 하지만 2005년 미국 그랑프리에서 미쉐린 타이어 팀들은 큰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3. 전개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각 팀들은 예선에 참여하고 있었는데, 금요일 연습세션에서 토요타 소속의 랄프 슈마허[7]가 뱅크구간에서 타이어에 펑처가 생기면서 큰 사고를 당한다. 다행히 부상을 당하지는 않았고, 이 때까지 '운이 좀 안 좋았나 보다'라고 생각하려는 찰나, 미쉐린 측에서 '펑처가 생긴 원인을 분석할수 없었으며 본사의 트랙에서 재현하지도 못했다.'라고 발표를 해버린다. 즉, 타이어가 왜 터졌는지 원인이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대략적인 추측은 가능했다. '''오벌트랙 구간에서 사고가 났기 때문에, 뱅크가 있는 고속코너 구간에서 타이어가 견디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 것.'''
이에 따라 미쉐린 타이어와 미쉐린 타이어를 쓰는 팀들, 그리고 조던과 미나르디는 여러가지 대안을 버니 에클레스톤과 협의하지만, 결과적으로는 페라리를 뺀 모두가 고속 코너 직전에 시케인을 설치해 속도를 줄이는 안에 합의한다. 짧은 시간 안에 트랙에 시케인을 짓는 것은 전례가 있는 일이었다.
하지만 (당시 미국이 아닌 모나코의 자택에서 편히 드러누워 있었던) FIA 보스 맥스 모즐리의 반응을 요약하자면,

1. 트랙을 바꾸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다.

2. 만약 고속으로 그 코너를 도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속도를 줄여서 돌아라.'''[8]

결과적으로 미쉐린 측은 안전을, FIA 측은 규정을 중시한 것이다. 이 외에도, 모든 랩에서 피트레인을 달리게 한다던가 하는 여러 가지 아이디어가 나왔지만 양측의 입장이 너무나 완고했기에, 결과적으로 협상은 결렬되었다.
결국, 미쉐린은 뱅크 구간에서 타이어의 안정성을 보장하지 못하며, 경기에 참여하지 말 것을 권한다고 발표했다. 미쉐린 타이어 팀은 이에 따라 경기를 보이콧하겠다고 발표했다. FIA는 경기에 불참하면 7개 팀뿐만 아니라 미쉐린도 응당한 처벌이 있을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이런 조마조마한 상황에서 어쨌든 결승날은 다가왔다.

4. 결과



4.1. 레이스 당일


[image]
결국 브릭야드[9] 위에는 페라리, 조던, 미나르디를 빼고는 올라오지 않았다.

미쉐린 타이어를 선택한 7개의 팀이 보이콧을 선언하면서 결승이 취소되나 싶었던 순간, 다행히도 미쉐린 타이어 팀들이 그리드에 나타났다.[10] 인디애나폴리스에 운집한 관중과 시청자들은 다행히 경기가 정상적으로 열리겠구나 하고 마음을 놓았고, 포메이션 랩이 진행되나 싶었지만, 당시 폴포지션을 차지한 토요타의 야르노 트룰리와 당시 챔피언쉽에서 선두권을 달리던 르노의 페르난도 알론소를 비롯한 모든 미쉐린 타이어를 쓰는 팀들의 차들이 포메이션 랩 도중 전부 피트 인하면서 경기를 포기해 버리자, 그리드에는 '''브리지스톤 타이어를 선택한 3개팀의 6명'''만 돌아온 채로 경기가 시작되었고, 무슨일이 일어난 건지 뒤늦게 알아차린 관중들은 일제히 야유를 보냈다.
미국 관중의 야유는 엄청나서 쓰레기를 경기장 안으로 던지는 일도 일어났다. 브리지스톤을 써 경기에 참여한 팀 중 하나인 미나르디의 팀 보스 폴 스토다트는 방송 중 구수한 쌍욕으로 FIA와 맥스 모즐리를 까기도 했다. 완주한 세 팀의 6명은 사이좋게 포인트를 분배받았지만, 1, 2위를 차지한 페라리의 미하엘 슈마허루벤스 바리첼로는 포디움에서 표정이 그닥 좋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트로피를 받자마자 샴페인 세레모니를 하지 않고 들어가버렸다.
반면 3위를 한 조던의 티아구 몬테이로[11]는 열정적으로 세레모니를 하고 돌아갔다. 1년 뒤의 인터뷰에서 밝힌 바로는 어차피 자기도 상황은 다 알고 이해하고 있었으나, 어차피 생애 한 번 올라갈까 말까한 자리라 올라온 김에 세레모니를 했다고. 여러모로 최악의 경기 중 하나였다.

4.2. 레이스 이후


FIA는 결국 7개팀과 미쉐린을 징계 청문회에 세우기로 했다. 몇몇 관계자는 7개팀이 출장 금지를 받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팀들은 이에 반발했고, 만약 처벌받는다면 F1에서 떠나겠다는 발언도 나왔다. 선수들도 파업할 수도 있다는 말이 나왔고 미쉐린도 강하게 반발할 정도로 상황은 험악해져만 갔다.
당시 가장 권위있는 F1 관련 사이트중 하나였던 ITV F1에서 있었던 온라인 설문에서는 52.32%가 이 사태는 FIA가 책임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반면, 7개팀이 잘못했다는 응답은 2.66%에 불과했다. 대다수의 F1 팬들은 FIA가 자신들에 대해서만 생각하고 스포츠를 정치적으로 가지고 놀았다는 의견을 표출했다. 맥스 모즐리는 이 때 100세까지 장수할 수 있을 정도로 전세계적으로 대차게 욕을 먹었다. 당시 FIA와 이를 둘러싼 정치적인 싸움은 도를 넘어 있었고, 몇몇 집단은 이 파벌 싸움에서 밀리는 형국이었다.
결국 FIA의 세계 모터스포츠 평의회는 7개팀과 미쉐린에 대해 유죄판결을 내렸지만, FIA의 이사회는 이들에 대해 면책 결정을 내렸다.
미쉐린은 도의적인 책임을 진다며 모든 관중의 티켓값을 지불해주는 것은 물론, 2006년 미국 그랑프리 티켓중 2만장을 구매해서 배포하기로 했다. 2005년 미국 그랑프리의 티켓을 구매한 사람은 IMS 웹사이트, 매표소 또는 전화를 통해 환불을 받을 수 있었다.
미쉐린 타이어는 결국 2006년을 끝으로 F1에서 철수하였고,[12] 2007년부터 2010년까지 F1의 타이어 공급체제는 브리지스톤 독점 공급 체제로 바뀌었다. 이러한 독점 공급 체제는 2011년에 타이어 공급사만 피렐리로 바뀐 채 계속 유지되고 있다.
1991년을 끝으로 F1 캘린더에서 사라졌다가 2000년에 다시 복귀됐던 미국 그랑프리는 이 사건으로 인해 이미지에 치명타를 입었고, 결국 2007년을 끝으로 캘린더에서 사라졌다. 이후 미국 그랑프리는 2012년에야 텍사스 오스틴에 위치한 신설 서킷인 서킷 오브 디 아메리카스에서 부활해 새로이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1] 인디애나폴리스를 줄이면 y가 붙는다.[2] 이걸 확인하기 위해서는 피트인해서 크루들이 타이어를 열심히 살펴보다가 괜찮다 싶으면 내보내고 아니다 싶으면 교체하는 식이었다.[3] 오늘날의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4] 현재의 애스턴 마틴 F1 팀[5] 오늘날의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6] 브리지스톤을 선택한 페라리는 3위, 조던과 미나르디는 9위와 10위로 최하위를 차지했다.[7] 알다시피 F1의 전설중 한명인 미하엘 슈마허의 동생이다.[8] 이 안은 당시 팀 감독과 선수들이 끔찍하게 위험하다며 반대했다. 속도를 내리는 작업이 자동화될 수 없는 탓에, 속도를 줄이는 시점의 조그만 차이로도 가까운 거리에서 코너를 도는 두 차들이 충돌할 수 있기 때문.[9]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의 별칭. 경기장이 세워질 당시에는 지금처럼 아스팔트가 깔려져 있지 않은 말 그대로 돌바닥이었다.[10] 당시 규정상 모든 차량이 그리드에 서지 않으면 경기가 시작되지 않았다.[11] F1에서 은퇴한 현재는 WTCR에서 뛰고 있다[12] 원래는 2007년까지는 경쟁체제를 유지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이때문에 2007년은 졸지에 갑자기 독점 체제가 되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