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도시철도 3호선

 



'''인천 도시철도 3호선'''
仁川 都市鐵道 三號線
Incheon Metro Line 3

'''인천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
도시철도
'''기점'''
인천대공원
'''종점'''
인천대공원
'''역 수'''
41개
'''구성 노선'''
대순환선
남부순환선
인천 2호선
'''개업일'''
미정
'''소유자'''
인천광역시
'''운영자'''
인천교통공사
'''사용차량'''
경전철
'''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
66.73km[1]
'''궤간'''
1,435mm 표준궤
'''선로구성'''
미정
'''사용전류'''
750V 직류
'''신호방식'''
미정
'''설계최고속도'''
미정
'''운행최고속도'''

'''표정속도'''
미정
'''지상구간'''
'''통행방향'''
미정
'''개통 연혁'''
미정
1. 개요
2. 역사
3. 역 목록
3.1. 대순환선
3.2. 남부순환선

[clearfix]

1. 개요


[image]
인천 도시철도 3호선
인천 도시철도 대순환선, 남부순환선, 인천 2호선의 직결 노선이다.



전 구간 개통 시 66.73km로 세계에서 가장 긴 순환선이라는 타이틀을 얻게 '''될 예정이였'''다. 2, 3, 4위는 각각 베이징 지하철 10호선(57.1km), 모스크바 중앙 순환선(54km), 서울 지하철 2호선(48.8km)[2]

2. 역사


인천 도시철도 3호선/폐기된 계획 참고

3. 역 목록



3.1. 대순환선


해당 역 목록 중 1호선, 7호선인천 1호선, 인천 2호선, 수인분당선과의 환승역을 제외한 모든 역명은 가칭이며, 역번도 가번이다.[3][4]
역번

역명
승강장
환승노선
소재지
형태
횡단
I301
0.0
인천대공원
仁川大公園
??
?
인천 2호선
남동구
I302
-
매사리
梅沙里
??
?

I303
-
서 창
西 昌
??
?

I304
-
도 림
桃 林
??
?

I305
-
인천논현
仁川論峴
??
?
수인·분당선
I306
-
한 화

??
?

I307
-
논현고잔
論峴古棧
??
?

I308
-
안말사거리
안말四거리
??
?

I309
-
연세대
延世大
??
?

연수구
I310
-
인하대송도캠퍼스
仁荷大松島캠퍼스
??
?

I311
-
테크노파크

??
?
인천 1호선
I312
-
송도국제도시

??
?

I313
-
국제업무단지
國際業務團地
??
?

I314
-
송도테마파크
松島테마파크
??
?

I315
-
옥 련
玉 蓮
??
?
시민공원 방면
I316
-
용 학
龍 鶴
??
?

I317
-
인천항
仁川港
??
?

I318
-
숭 의
崇 義
??
?
수인·분당선
I319
-
신 흥[5]
新 興
??
?

중구
I320
-
동인천
東仁川
??
?
1호선
동구
I321
-
동구청[6]
東區廳
??
?

I322
-
송 림
松 林
??
?

I323
-
북 항
北 港
??
?

서구
I324
-
커낼웨이역

??
?
7호선
I325
-
봉 수
烽 燧
??
?

I326
-
신가정
新佳亭
??
?

I327
-
경 서[7]
景 西
??
?

I328
-
아시아드경기장[8]
아시아드競技場
??
?
인천 2호선
I329
-
경인교대입구
京仁敎大入口
??
?
인천 1호선
계양구
I330
-
계양구청
桂陽區廳
??
?

I331
-
까치말

??
?

I332
-
삼 산
三 山
??
?

부평구
I333
-
삼산체육관
三山體育館
??
?
7호선
I334
-
넘말사거리

??
?

부천시
I335
-
송 내
松 內
??
?
1호선
▼ 인천대공원

남부순환선으로 먼저 추진중[9][10]

3.2. 남부순환선


역번

역명
승강장
환승노선
소재지
형태
횡단
△ 남동구청
I301
0.0
인천대공원
仁川大公園
??
?
인천 2호선
남동구
I302
-
매사리
梅沙里
??
?

I303
-
서 창
西 昌
??
?

I304
-
도 림
桃 林
??
?

I305
-
인천논현
仁川論峴
??
?
수인·분당선
I306
-
한 화

??
?

I307
-
논현고잔
論峴古棧
??
?

I308
-
안말사거리
안말四거리
??
?

I309
-
연세대
延世大
??
?

연수구
I310
-
인하대송도캠퍼스
仁荷大松島캠퍼스
??
?

I311
-
테크노파크

??
?
인천 1호선
I312
-
송도국제도시

??
?

I313
-
국제업무단지
國際業務團地
??
?

I314
-
송도테마파크
松島테마파크
??
?

I315
-
옥 련
玉 蓮
??
?
대순환선
I315-1
-
학 익
鶴 翼
??
?
수인·분당선
미추홀구
I315-2
-
인하대
仁荷大
??
?
수인·분당선
I315-3
-
학익사거리
鶴翼四거리
??
?

I315-4
-
신주안
新朱安
??
?

I315-5
-
시민공원
市民公園
??
?
인천 2호선
I220
-
석바위시장
石바위市場
■││■

인천 2호선
I221
-
인천시청
仁川市廳
■││■

인천 1호선, 인천 2호선
남동구
I222
-
석천사거리
石泉四거리
■││■

인천 2호선
I223
-
모래내시장
모래내市場
■││■

인천 2호선
I224
-
만 수
萬 壽
■││■

인천 2호선
I225
-
남동구청
南洞區廳
■││■

인천 2호선
▽ 인천대공원

[1] 전 구간 개통 시 세계에서 가장 긴 순환노선이라는 타이틀을 얻을 수 있었으나, 계획이 무산되어 더 이상 타이틀을 얻을 수 없다.[2] 단, 베이징과 모스크바 둘 다 차량기지 입출고선 포함 수치다. 따라서 서울 2호선도 성수지선과 신정지선을 먹으면 60.2km로 2위를 먹는다.[3] 하지만 남부 순환선 계획은 난공사의 연속일 듯 하다. 현재 상황으로는 전 구간은 커녕 남부 순환선 도 힘들듯 싶다.[4] 다만 역번은 이미 인천 1호선, 인천 2호선이 I○○○형식 번호인지라 가칭이라기엔 무리가 있어보인다.[5] 8호선 신흥역과는 다른 역이다.[6] 화도진구청으로 명칭이 변경되기로 예정돼있으나 구의회를 통과하지 못하여 동구청으로 될 예정이다. 자세한 것은 동구 참고.[7] 경서 쪽이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하고 가깝기 때문에 경서가 아시아드경기장으로 변경될 예정이고 경서는 병기역명이 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8] 경서 쪽이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하고 가깝기 때문에 아시아드경기장역은 공촌 내지 병기역명인 공촌사거리로 변경될 예정이다.[9] 다만 베이퍼 웨어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다.[10] 옥련~시민공원 구간은 3개역 예정이나 역 간 거리 때문에 임시로 추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