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유역

 


'''장유역'''

← 8.4 ㎞
경전선}}}]]{{{#red (미개통)

7.6 ㎞ →

'''다국어 표기'''
영어
Jangyu
한자
長有
중국어
长有
일본어
長有(チャンユ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내덕동 24-1[1]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부산신항역 관리/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운영 기관'''
부산신항선


'''개업일'''
부산신항선
2010년 11월 30일

2022년 12월 예정

'''열차거리표'''
'''부산신항선'''
장 유
長有驛 / Jangyu Station
이 역과 사상역 사이에 가칭 칠산신호소, 부산경남경마공원역, 에코델타시티역강서금호역이 개통준비 중이다.
이 역과 창원중앙역 사이에 가칭 신월역이 개통준비 중이다.
1. 개요
2. 역 정보
3. 연계 교통


1. 개요


부산신항선철도역. 경상남도 김해시 내덕동 24-1에 위치해 있다. 승강장 형태는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다. 향후 경전선이 개통될 경우 광역전철이 정차할 예정이다.

2. 역 정보


[image]
현 역사
[image]
장래 장유역사 투시도
2010년 11월 30일부산신항선이 개통되면서 개업했다. 현재는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는 역이지만 2022년 12월경전선 광역전철이 개통되면 그 때 여객업무를 병행하기로 할 예정이라 플랫폼 시설이 완비되어 있다. 사진 다만 해당 홈은 저상홈이라 장유역 건설시 고상홈화가 필요하다. 임시 여객취급이라도 할 생각이었는지 저상홈에 벽돌로 승강장을 만들어 놨다. 현재는 경전선 공사로 사라졌다.
인구 15만 장유 지역의 관문이 될 전망이다. 역이 지나는 자리는 기존에 개발된 장유 시가지 기준으로 약간 멀었지만 이 역 코앞의 논밭이었던 내덕지구까지 역 개업시기에 즈음해 완전히 개발될 예정이며 역 앞뒤로 아파트단지와 대형마트, 역전광장 등이 들어선다. 아래에 언급될 아직은 부실한 연계교통도 이로 인해 자연스레 해결될 듯.
신설 역사는 경상남도 김해시 유하동 726-2번지에 지어지며 2홈 7선식의 섬식 승강장, 지상 2층 규모의 역사로, 2020년 개통 예정이다. 노반에 선로가 깔리기도 전에 본선 쪽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것이 국회의원 후보자 인터뷰 영상에서 공개되었는데(보기), 원래 두 방향으로 열린 스크린도어와는 달리 한 쪽 방향으로만 열리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고, 게다가 일반적인 스크린도어에 비해 폭이 넓어 통근형 전동열차를 위한 스크린도어라고 하기 보다는 KTX-이음 사양의 스크린도어로 보인다.

3. 연계 교통


연계 교통편이 없다. 아직까지는 화물 전용역이라 그런 듯 한데 21번, 44번[2], 58번[3], 59번[4], 97번[5], 98번[6], 220번이 있다. 정류장에서 내린 뒤 주변에 내덕중학교나 철도고가가 보이면 제대로 찾아온 것이다.

[1] 건물은 있는데 도로명주소는 부여되지 않았다.[2] 외동차고지-김해터미널-세무서-장유1동사무소-신월역-진례파출소-진영터미널-진영신도시-진영공설운동장[3] 공원묘지입구-일동한신A-장유1동사무소-사파동사무소-창원대-창원터미널-장유1동사무소-일동한신A-공원묘지입구[4] 공원묘지입구-일동한신A-장유1동사무소-창원터미널-창원대-사파동사무소-장유1동사무소-일동한신A-공원묘지입구[5] 선암-인제대-일동한신A-장유초-도청-창원대-창원시청-장유초-일동한신A-인제대-선암[6] 선암-인제대-일동한신A-장유초-창원시청-창원대-도청-장유초-일동한신A-인제대-선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