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해외파 선수들/지역별 정리/아시아
1. 개요
아시아는 유럽과 남미 다음으로 프로축구 시장이 크게 형성된 지역이다. 특히 동아시아 지역은 수준급의 프로축구 수준을 자랑하는 지역으로, 경제 대국인 일본의 J리그와 신흥 강국으로 떠오르는 중국의 중국 슈퍼 리그는 탄탄한 자금력으로 수준급의 선수들을 외국인 선수로 고용하는 리그이며 K리그 또한 자금력은 두 나라보다 약하지만 국가의 치안수준, 체불이 드문 임금 지급 등 시스템적 우수성으로 좋은 외국인 선수들을 고용한다. 한국 선수들도 유럽에 진출하기 여의치 않은 국가대표급 선수들이 90년대 J리그로 많이 진출했으며 이른바'''황사 머니'''로 통용되는 중국 구단들의 현질로 최근 중국 리그에도 한국 선수들이 많이 갔다. 홍콩 리그는 과거 60년대~80년대 만큼의 명성은 아니지만 현재도 리그 수준에 비해 탄탄한 인프라와 짧은 이동거리를 무기로 적지 않은 선수들이 진출하는 무대다.
2009년 AFC에서 아시아 쿼터제를 도입하면서 한국 선수들에 대한 아시아 구단들의 선호도는 수직상승했는데, 특히 중동 지역의 구단들에서 한국인 선수들을 많이 영입해가기 시작했다. 이들에겐 한국인 선수들이 '''가성비'''의 표본으로 여겨질만큼 같은 값에도 더 좋은 성과를 한국인 선수들이 낸다는 인식이 자리잡혔고, 아시아쿼터제는 촉매제 역할을 한 것이다. 설기현, 이영표, 남태희 같이 유럽에서 뛰던 선수들이 중동으로 옮겨가기도 했고, 이정수, 장현수 처럼 일본이나 중국에서 활약했던 선수들이 중동으로 가 팀의 주축으로 롱런하는 경우도 많다. 이 중에서 가장 선호되는 리그는 단연 카타르 스타스 리그다.
최근에는 타이 리그 1을 위시로 한 동남아시아 프로축구의 성장으로 인해 동남아에도 한국 선수들이 많이 진출한다. 물론 일본, 중국, 중동처럼 한창 때의 선수들이 가지는 않고 주로 30대를 넘긴 베테랑 선수들이 많이 진출한다. 김동진, 이호, 김두현 등의 국가대표를 지낸 베테랑 선수들도 동남아시아 리그에서 활약한 경력이 있고, 고슬기, 유준수, 이용래등 K리그에서 준척급의 선수들도 동남아시아로 향한다. 아예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의 송의영 처럼 한국에서 철저한 무명이던 선수가 리그 레전드가 되는 경우도 있다. 필리핀 리그에 진출했던 박이영은 드물게 동남아시아에서 유럽으로의 진출에 성공한 케이스. 이런 케이스는 '''기적'''이라 할만하다.
호주가 2006년 AFC에 넘어오면서 A리그도 한국 선수들이 주로 찾는 아시아 리그가 되었다. 은근히 많은 선수들이 A리그에 발자취를 남겼고, 현 시점에도 김은선이 리그에서 활약중이다. 다만 샐러리캡이 존재하는 리그라서 비싼 연봉을 기대하기는 힘든 리그라는 단점이 있다.
중앙아시아 쪽은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선수들이 많이 진출하지는 않는 지역인데, 우즈베키스탄, 이란 리그에는 한국인 선수들이 통산 3명, 2명으로 매우 적은 편이다. 이 두 리그는 나름 아시아에서 강한 리그로 손꼽히지만 상대적으로 열악한 인프라 때문에 한국선수들이 선호하지는 않는다. 남아시아는 최근 인도 신생 리그인 인도 슈퍼 리그의 출범 이후 한국 선수들이 한두명씩 간간히 향하고 있다.
2. 동아시아[2]
- 일본
- 중국
- 홍콩
- 마카오
- 대만
- 몽골
- 괌
3. 중동
-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이라크
- 요르단
- 레바논
- 시리아
- 바레인
- 오만
- 쿠웨이트
- 팔레스타인
- 예멘
4. 중앙아시아
- 이란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키르기스스탄
- 아프가니스탄
4.1. 남아시아
- 인도
- 방글라데시
- 몰디브
- 네팔
- 스리랑카
- 부탄
- 파키스탄
5. 동남아시아&호주
- 태국
- 필리핀
- 베트남
- 호주
- 싱가포르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미얀마
- 캄보디아
- 라오스
- 브루나이
- 동티모르
[1] 북한은 당연히 제외.... 북한 리그 가려면 월북해야한다....[2] 북한은 당연히 제외.... 북한 리그 가려면 월북해야한다....[챔피언십] A B C D E [겨울] A B [3] 호주 이중국적자, 영문명 Danny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