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 선언

 

'''Cairo Declaration'''
1. 개요
2. 전문
2.1. 영어[영문]
2.2. 중국어[중문]
2.3. 한국어[한글]
3. 여담
4. 관련 문서

[image]
회담 당시의 사진. 왼쪽부터 장제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윈스턴 처칠, 쑹메이링(장제스의 부인)이다.

1. 개요


1943년 11월 22일부터 11월 26일까지 연합국미국루스벨트 대통령, 영국처칠 총리, 중화민국장제스 군사위원회 위원장[1]카이로 회담의 회의를 개최하고 회담에서 합의한 내용을 선언으로 1943년 12월 1일에 발표되었다. 5일 동안 이루어진 회담 이후 발표된 선언문에서 연합국 정상들은 승전하더라도 더 이상 영토 확장을 도모하지 않을 것을 명시했고 일본1차 세계 대전중국, 독일, 러시아 등에게서 불법적으로 침탈한 영토를 반환할 것을 요구했다. 연합국이 최초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영토 방침을 공식화한 선언.
이 선언으로 한국에 대해서 종전 이후 앞으로 자유독립국가로 승인할 결의를 하여 '''처음으로 한국의 독립이 국제적으로 보장'''을 받았다. 그러나 구체적인 기한이나 절차에 대한 언급은 없었으며 '가능한 가장 이른 시기에'라는 초안에서 '적절한 절차로' 조선을 독립시킨다는 내용으로, 조선독립에 있어선 초안보다 더 불리해진 상태로 발표되었다. 왜냐하면 이 '적절한 절차'는 조선의 즉각적인 독립이 아닌 연합국의 신탁통치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루즈벨트 대통령의 특별 보좌관인 홉킨스는 미-중 정상회담 직후 한국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초안문구를 마련한 바 있다.

"우리는 '''일본에 의한''' 한국인들의 '''비참한''' 노예상태를 기억하고 일본 패망 후 '''가능한 가장 이른 시기에''' 이 나라가 자유 독립국이 되도록 결의하였다."

We are mindful of the '''treacherous''' enslavement of the people of Korea '''by Japan''', and are determined that that country, '''at the earliest possible moment''' after the downfall of Japan, shall become a free and independent country

하지만 이 초안 문구는 이후 각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지속적인 수정을 거쳤다.
먼저 양국이 합의안 초안을 받은 영국은 가해주체인 '''일본'''과 노예상태의 정도에 대한 묘사인 '''비참한'''이라는 표현을 삭제하여 문구의 모호성이 더해졌다. 영국이 식민지 독립 문제에 소극적인 입장을 보인 것은 전쟁 이후 자국 식민지에 끼칠 영향을 염려했기 때문으로 평가받는다. 영국 정부는 기본적으로 한반도 문제에 무관심했고 퀘백 회담 당시에 신탁통치를 통한 식민지 처리 방안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영국 정부 역시 연합국이 한반도 문제에 대해 결정을 내리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키려 했다.[2]
여기에 한국의 독립에 신탁통치 기간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한 루스벨트의 의중으로 인해 "가능한 빠른 시일에"라는 표현이 "적절한 시기에"라는 문구로 수정되었고 식민지 독립 문제에 가장 소극적이었던 영국측 "적절한 절차를 거쳐"라는 표현을 첨가함으로써 독립시기는 더 모호하게 바뀌었다.
결론적으로 카이로 회담과 선언문은 각 열강의 군사적, 국제정치적 이해관계와 입장차이의 조율된 결과인 만큼, 선언문의 표현은 모호할 수 밖에 없었고 식민지의 피지배 국민에게 독립의 희망을 주었음에도 그 희망이 불완전했다는 이중적인 성격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할 수 있다.[3]
카이로 선언에 언급되지 않은 일본의 식민지였던 오키나와남양군도미군정 통치를 거치고 독립하였다. 오키나와의 경우는 미군정으로부터 독립해 주민투표로 일본에 귀속된 케이스. 흔히 말하는 '오키나와는 독립운동을 하지 않았기에 카이로 선언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일본으로부터 독립하지 못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오키나와 역시 필리핀이나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단 독립은 하였으나, 미군정 시기가 있었던 것이다. 다만 비교적 금방 미군정이 종료된 두 나라들과는 다르게 오키나와는 20년 가까운 미군정이 이어졌는데, 이 시기 미군이 끼친 해악이 '''매우 심각했기에''' 오키나와 내부 여론 자체가 일본으로의 복귀를 희망하는 것으로 가닥이 잡힌 것이다. 그래서 1972년에 오키나와는 일본으로 복귀하게 된다.

2. 전문



2.1. 영어[영문]


President Roosevelt, Generalissimo Chiang Kai-shek and Prime Minister Churchill, together with their respective military and diplomatic advisers, have completed a conference in North Africa.

The following general statement was issued:

"The several military missions have agreed upon future military operations against Japan. The Three Great Allies expressed their resolve to bring unrelenting pressure against their brutal enemies by sea, land, and air. This pressure is already rising.

"The Three Great Allies are fighting this war to restrain and punish the aggression of Japan. They covet no gain for themselves and have no thought of territorial expansion. It is their purpose that Japan shall be stripped of all the islands in the Pacific which she has seized or occupi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first World War in 1914, and that all the territories Japan has stolen from the Chinese, such as Manchuria, Formosa, and The Pescadores, shall be restored to the Republic of China. Japan will also be expelled from all other territories which she has taken by violence and greed. The aforesaid three great powers, mindful of the enslavement of the people of Korea, are determined that '''in due course''' Korea shall become free and independent.

"With these objects in view the three Allies, in harmony with those of the United Nations at war with Japan, will continue to persevere in the serious and prolonged operations necessary to procure the unconditional surrender of Japan."


2.2. 중국어[중문]


羅斯福總統、 蔣委員長、邱吉爾首相偕同各該國軍事與外交顧間人員、在北非舉行會議已完畢,並發表概括之聲明如下:

  三國軍事方面人員,關於今後對日作戰計畫,已獲得一致意見。我三大盟國決心以不鬆弛之壓力,從海空各方面加諸殘暴之敵人,此項壓力已經在日益增長之中。

  我三大盟國此次進行戰爭之目的,在於制止及懲罰日本之侵略。三國決不為自己圖利,亦無拓展領土之意思。三國之宗旨,在剝奪日本自從一九一四年第一次世界大戰開始後,於太平洋上所奪得或占領之一切島嶼,在使日本所竊取於中國之領土,例如東北四省、臺灣、澎湖群島等歸還中華民國。其他日本以武力或貪慾所奪取之土地,亦務將日本驅逐出境。我三大同盟國稔知朝鮮人民所受之奴役待遇,決定在'''相當時期'''使朝鮮自由與獨立。

  根據以上所認定之各項目標,並與其他對日作戰之聯合國目標一致,我三大盟國將堅守進行其重大而長期之戰爭,以獲得日本之無條件投降。


2.3. 한국어[한글]


루즈벨트 대통령, 장개석(蒋介石) 대원수, 처칠 수상은 각자의 군사, 외교전문과 함께 북아프리카에서의 회의를 마치고 이와 같이 발한다.

수차에 걸친 군사 관계 회의에서 일본을 상대로 한 앞으로의 군사작전들에 관해 상호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세 연합국(聯合國)은 잔인 무도한 그들의 공동의 적국들에게 해상과 육지와 그리고 영공을 통한 지속적인 압박을 가한다는 그들의 결의를(命)했다. 그와 같은 압박은 이미 가중되고 있다. 세 연합국은 일본(日本)의 침략을 제지하고 응징하기 위해 이 전쟁을 치르고 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지 않으며, 또한 영토 팽창을 위한 야심도 갖고 있지 않다.

그들의 목적은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이래 일본이 강탈했거나 점령해 온 태평양의 모든 섬들을 몰수하는 데 있으며, 또한 일본이 중국으로부터 탈취한 모든 영토를, 예를 들면 만주, 대만, 팽호 열도[4]

등을 중국에 반환하는데 있다. 일본은 또한 폭력과 탐욕에 의해 탈취한 모든 다른 영토들로부터도 추방당할 것이다. 앞에서 말한 이 세 강대국은 한국민(韓國民)이 노예적인 상태에 놓여있음을 상기하면서 한국을 '''적당한 시기에'''[5][6] 자유롭고 독립적인 국가로 만들 것을 굳게 다짐한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세 연합국은 일본과 싸우고 있는 다른 국가들과 보조를 맞추어 가면서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받아내는데 필요한 진지하고도 장기적인 군사 행동을 지속적으로 감행해 나갈 것이다.


3. 여담


  •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의 영유권을 놓고 한창 논란인 지금, 중국(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과 대만의 중화민국 모두)이 이 곳에 관한 자신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근거 중 하나가 바로 이 카이로 선언이다. 1895년 청일전쟁에서 청나라가 패배하여 맺어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일본으로 넘어간 영토 중 댜오위다오도 포함된다는 것이다. 일본은 전쟁과 상관없이 무주지를 편입한 것이라면서 무시하고 있다.
천수이볜뿐만 아니라 범록연맹 측 인사들 중 일부도 이러한 주장을 하고 있다. 카이로 선언에는 법적 효력이 없고, 이후 포츠담 선언에서는 일본의 영토가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큐슈 및 그 근해 도서로 제한된다고만 규정했고, 대만 섬의 귀속에 대한 규정을 따로 두지 않고 '카이로 선언은 이행되어야 한다'라고만 해두었기 때문에 대만 섬을 일본이 포기한 것은 맞지만 어느 국가로 귀속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사항은 이 당시에 결정되지 않았다는 것이 이들의 근거이다.
  • 장제스가 윤봉길 의사의 거사에 감명을 받아 이 카이로 선언에서 적극적으로 한국의 독립을 주장했다는 소문이 있다. 이게 백범일지에 있는데 백범일지가 의외로 신뢰성이 높지 못하다는 지적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과 중국 국민당 정부 간의 긴밀한 협조로 카이로 회담에서의 한국 독립을 이끌어 냈다는 사료가 발굴되기도 했다. # 카이로 선언과 김구(동아일보)

4. 관련 문서



[영문] A B http://www.ndl.go.jp/constitution/shiryo/01/002_46/002_46tx.html[중문] A B http://ap6.pccu.edu.tw/Encyclopedia/data.asp?id=4805[한글] A B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319&cid=51293&categoryId=51293[1] 당시 린썬이 국민정부 주석으로서 국가원수이긴 했지만 실권이 없는 직책이었기에, 장제스가 중일전쟁을 수행하는 최고기관인 군사위원회 수장 자격으로 참석했다.[2] 秦孝儀 主編, ''國防最高委員會秘書長廳王寵惠自重慶呈蔣委員長關於開羅會議日誌附政治問題會商經過'', 531-532, 재인용.[3] 윤영휘, ''카이로 회담에서 연합군의 군사전략과 전후 국제질서 구상''(Journal of Military History, 2017)[4] 대만 서쪽에 있는 군도[5] 일본이 항복해도 곧바로 독립시켜주는 것이 아니라, 어떤 식으로든 승전국의 개입이 있게 될 것임을 뜻하는 표현이었다. 그리고 이는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직후 미국, 소련에 의한 북위 38도선 경계의 한반도 분할점령 및 3년 동안의 군정으로 현실화되었다.[6] 참고로 카이로 회담이 끝나자마자 루스벨트와 처칠은 이란의 수도 테헤란으로 장소를 옮겨 소련의 스탈린을 만나는데(테헤란 회담), 1943년 11월 28일 미·영·소 3개국 정상회담에서 루스벨트는 "한국인이 완전한 독립을 얻기 전에 약 40년 간의 수습 기간(apprenticeship)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고, 스탈린은 이에 구두로 동의를 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