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스버트 빈스
'''Cuthbert Binns'''
해리 포터 시리즈의 등장인물. 작중에서는 '''빈스 교수'''라고만 불리며, '''커스버트'''라는 이름은 원작에서 언급된 적이 없다. 퀴렐 교수와 비슷한 경우.
호그와트 전체에서 단 한 명 있는 '''유령 교수'''이다. 지겨울 때는 정말 지겨운 역사 과목의 특성과 그의 늘어지는 목소리, 흐물흐물한 유령이라는 점까지 어우러져서 호그와트에서 제일 지루한 강의로 악명을 떨치고 있는 '마법의 역사'를 강의하는 교수다.
나온 바에 따르면, 굉장히 연로한 나이에 교무실에서 자고 있다가 그대로 죽었는데 '''유령이 된 채로 일어나''' 수업에 들어갔다고 한다. 어찌 보면 참 열의도 있고 직업 정신이 투철한 좋은 분. 어느 학교에나 한 분씩은 계실 법한, '''가르치겠다는 열정은 있는데 수업은 더럽게 재미없는 나이 지긋하신 선생님'''인 셈이다. 외모도 대머리에 안경을 낀 노인이고, 학생들 이름도 늘 틀리는 것으로 보면 그 분야의 클리셰라고도 할 수 있을 듯.[1]
수업이 얼마나 재미없는가 하면, 마법의 역사 시간에는 거의 대부분의 학생이 존다. 깨어나서 멀쩡히 공부를 듣고 있는 헤르미온느 그레인저 같은 경우가 특이한 케이스다. [2] 심지어 재미있을 법한 부분인, 그리고 제법 잔인한 내용도 있는 도깨비 반란 같은 역사도 잠이 오게 가르친다. 해리의 독백에 따르면 이렇게 잠이 오게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은 재능에 가깝다고. 이런 빈스 교수의 수업에서 유일하게 재미있는 점이라면 '''수업을 시작할 때 칠판을 통과해 교실로 들어온다는 것'''이라고 한다.
그래도 실력, 정확히는 역사에 대한 지식 자체는 출중한 모양이다. 본인이 그저 전설일 뿐이라고 치부하는 비밀의 방에 대해서도 상세히 알고 있을 정도.[3] 실제로 호그와트의 고정 교수진(매년 바뀌는 어둠의 마법 방어법 제외)은 점술 선생인 시빌 트릴로니를 제외하면 모두 우수하며, 트릴로니도 전설적인 예언자의 후손으로서 그녀 자신도 준수한 예언력을 갖추고 있는 등 아주 맹탕은 아니다.[4] 6권부터 합류한 호러스 슬러그혼 역시 죽음을 먹는자들이 집요하게 스카우트하러 왔을 정도고, 비록 3대1이었지만 '''그 볼드모트와 직접 맞설 정도로''' 뛰어난 마법사다.
교육열도 대단하다. 트라이위저드 시합의 크리스마스 대연회가 다가오자 학생들이 너무 들떠있어서 일부 교수들은 수업을 포기했었다. 하지만 이분은 그딴 거 없었다. 소설 상에서는 "'''죽음조차(!) 그의 수업을 막지 못했는데 그깟 세 마법학교의 합동 연회 따위가 다 뭐란 말인가?'''"라고 언급한다. 그 대연회에 영향을 받지 않은 다른 교수는 세베루스 스네이프나 미네르바 맥고나걸 정도가 추가된다.[5]
1권부터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비중은 별로인 인물이다. 그나마도 해리가 더 이상 역사수업을 듣지 않는 6권부터는 아예 언급조차 없고.[6] 다만 2권에서 헤르미온느 그레인저가 한 비밀의 방에 대한 질문에 대답을 한 적이 있는데, 이 때는 '''이 양반 수업 사상 최초로 모든 학생들이 수업을 들었다.''' 심지어 본인조차도 '''자기 수업에서 질문을 한 학생이 나왔다는 사실에 놀라''' 눈을 동그랗게 뜬다![7] 그러나 다시 제대로 된 수업을 시작하자마자 완벽한 휴면 상태에 빠져들었다.
이 교수의 존재로 인해 호그와트에는 정년퇴임이라는 제도따위는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죽어서도 일을 관두질 않으니 안 그래도 하나밖에 없는 학교 교수자리 TO가 안 나니 임용대기자들은 죽을 맛일 듯.(...) 덤블도어도 100살이 넘도록 교장직을 수행하고 있었으니 말이다. 노쇠하다는 이유로 사임한 실바누스 케틀번[8] , 갤러티 메리소트처럼 스스로 그만두지 않으면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 듯.
영화에서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사실 그도 그럴 것이 이분을 굳이 등장시키려면 풀 CG가 필요한데 그런 수고를 들이기엔 잠깐 스쳐 지나가는 조연에 불과하기 때문에... 그래서 영화판에서는 비밀의 방에 대해 알려 주는 역할이 미네르바 맥고나걸에게 넘어갔다.
게임에서야 그 용안을 보이신다. 비밀의 방 게임에서는 자신의 아버지가 어쩌구하며 잠꼬대를 한다. 생전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은 모양. 최신작인 해리 포터: 호그와트 미스테리에도 등장하는데, 이 당시의 주인공과 학생들은 수업을 듣는 것이 아니라 수업 시간에 퍼 놀았다(...)[9] 자는 학생도 있지만 이런 걸 보면 해리 포터가 입학했을 때의 학생들은 엄청 얌전하게 수업을 들은 편이었던 모양이다. 나름대로 모범생인 로완 칸나나 페니 헤이우드까지도 저 수업은 들을 생각이 없었다는 걸 생각해 보면 정말 어지간히 재미없는 듯. 피브스가 들어오기도 한다. 심지어 로완은 빈스가 옆에 뻔히 있는데도 불구하고 멋대로 강의가 너무 재미없다며 자기가 대신 강의를 하거나 로웨나 래번클로의 초상화를 떼와 대리 강의를 시키기도 한다.
1. 개요
해리 포터 시리즈의 등장인물. 작중에서는 '''빈스 교수'''라고만 불리며, '''커스버트'''라는 이름은 원작에서 언급된 적이 없다. 퀴렐 교수와 비슷한 경우.
2. 상세
호그와트 전체에서 단 한 명 있는 '''유령 교수'''이다. 지겨울 때는 정말 지겨운 역사 과목의 특성과 그의 늘어지는 목소리, 흐물흐물한 유령이라는 점까지 어우러져서 호그와트에서 제일 지루한 강의로 악명을 떨치고 있는 '마법의 역사'를 강의하는 교수다.
나온 바에 따르면, 굉장히 연로한 나이에 교무실에서 자고 있다가 그대로 죽었는데 '''유령이 된 채로 일어나''' 수업에 들어갔다고 한다. 어찌 보면 참 열의도 있고 직업 정신이 투철한 좋은 분. 어느 학교에나 한 분씩은 계실 법한, '''가르치겠다는 열정은 있는데 수업은 더럽게 재미없는 나이 지긋하신 선생님'''인 셈이다. 외모도 대머리에 안경을 낀 노인이고, 학생들 이름도 늘 틀리는 것으로 보면 그 분야의 클리셰라고도 할 수 있을 듯.[1]
수업이 얼마나 재미없는가 하면, 마법의 역사 시간에는 거의 대부분의 학생이 존다. 깨어나서 멀쩡히 공부를 듣고 있는 헤르미온느 그레인저 같은 경우가 특이한 케이스다. [2] 심지어 재미있을 법한 부분인, 그리고 제법 잔인한 내용도 있는 도깨비 반란 같은 역사도 잠이 오게 가르친다. 해리의 독백에 따르면 이렇게 잠이 오게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은 재능에 가깝다고. 이런 빈스 교수의 수업에서 유일하게 재미있는 점이라면 '''수업을 시작할 때 칠판을 통과해 교실로 들어온다는 것'''이라고 한다.
그래도 실력, 정확히는 역사에 대한 지식 자체는 출중한 모양이다. 본인이 그저 전설일 뿐이라고 치부하는 비밀의 방에 대해서도 상세히 알고 있을 정도.[3] 실제로 호그와트의 고정 교수진(매년 바뀌는 어둠의 마법 방어법 제외)은 점술 선생인 시빌 트릴로니를 제외하면 모두 우수하며, 트릴로니도 전설적인 예언자의 후손으로서 그녀 자신도 준수한 예언력을 갖추고 있는 등 아주 맹탕은 아니다.[4] 6권부터 합류한 호러스 슬러그혼 역시 죽음을 먹는자들이 집요하게 스카우트하러 왔을 정도고, 비록 3대1이었지만 '''그 볼드모트와 직접 맞설 정도로''' 뛰어난 마법사다.
교육열도 대단하다. 트라이위저드 시합의 크리스마스 대연회가 다가오자 학생들이 너무 들떠있어서 일부 교수들은 수업을 포기했었다. 하지만 이분은 그딴 거 없었다. 소설 상에서는 "'''죽음조차(!) 그의 수업을 막지 못했는데 그깟 세 마법학교의 합동 연회 따위가 다 뭐란 말인가?'''"라고 언급한다. 그 대연회에 영향을 받지 않은 다른 교수는 세베루스 스네이프나 미네르바 맥고나걸 정도가 추가된다.[5]
1권부터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비중은 별로인 인물이다. 그나마도 해리가 더 이상 역사수업을 듣지 않는 6권부터는 아예 언급조차 없고.[6] 다만 2권에서 헤르미온느 그레인저가 한 비밀의 방에 대한 질문에 대답을 한 적이 있는데, 이 때는 '''이 양반 수업 사상 최초로 모든 학생들이 수업을 들었다.''' 심지어 본인조차도 '''자기 수업에서 질문을 한 학생이 나왔다는 사실에 놀라''' 눈을 동그랗게 뜬다![7] 그러나 다시 제대로 된 수업을 시작하자마자 완벽한 휴면 상태에 빠져들었다.
이 교수의 존재로 인해 호그와트에는 정년퇴임이라는 제도따위는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죽어서도 일을 관두질 않으니 안 그래도 하나밖에 없는 학교 교수자리 TO가 안 나니 임용대기자들은 죽을 맛일 듯.(...) 덤블도어도 100살이 넘도록 교장직을 수행하고 있었으니 말이다. 노쇠하다는 이유로 사임한 실바누스 케틀번[8] , 갤러티 메리소트처럼 스스로 그만두지 않으면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 듯.
3. 기타
영화에서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사실 그도 그럴 것이 이분을 굳이 등장시키려면 풀 CG가 필요한데 그런 수고를 들이기엔 잠깐 스쳐 지나가는 조연에 불과하기 때문에... 그래서 영화판에서는 비밀의 방에 대해 알려 주는 역할이 미네르바 맥고나걸에게 넘어갔다.
게임에서야 그 용안을 보이신다. 비밀의 방 게임에서는 자신의 아버지가 어쩌구하며 잠꼬대를 한다. 생전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은 모양. 최신작인 해리 포터: 호그와트 미스테리에도 등장하는데, 이 당시의 주인공과 학생들은 수업을 듣는 것이 아니라 수업 시간에 퍼 놀았다(...)[9] 자는 학생도 있지만 이런 걸 보면 해리 포터가 입학했을 때의 학생들은 엄청 얌전하게 수업을 들은 편이었던 모양이다. 나름대로 모범생인 로완 칸나나 페니 헤이우드까지도 저 수업은 들을 생각이 없었다는 걸 생각해 보면 정말 어지간히 재미없는 듯. 피브스가 들어오기도 한다. 심지어 로완은 빈스가 옆에 뻔히 있는데도 불구하고 멋대로 강의가 너무 재미없다며 자기가 대신 강의를 하거나 로웨나 래번클로의 초상화를 떼와 대리 강의를 시키기도 한다.
[1] 해리 포터는 퍼킨스, 헤르미온느 그레인저는 그랜트, 파르바티 파틸은 페니페더, 셰이머스 피니건은 오플라허티로 부른다.[2] 심지어 헤르미온느 역시 종종 듣다가 눈이 흐릿해졌다는 묘사가 등장하는걸 보면 헤르미온느 본인도 성의와 별개로 그다지 재미있다고 생각하진 않는 걸로 보인다.[3] 더구나 이 교수는 유령이라서 책을 만질 수가 없다. 즉 이 교수는 자신이 가르치는 역사에 대한 내용을 전부 외우고 있다는 소리. 하지만 피브스 같이 물건을 만지고 장난치는 유령도 있음을 감안하면 책장 정도는 넘길 수 있을지도 모른다.[4] 단지 본인이 재능이 없다고 생각하여 사기를 치는 것 뿐이다.[5] 이 사람들이야 뭐 워낙에 깐깐하니까 당연히 트라이위저드 연회 정도 사건으로는 눈도 깜짝 안하고 수업 종 울리기 마지막 1초 전까지 수업을 진행했다. 소설판 서술에 의하면 플리트윅은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게임을 하게 내버려뒀는데, 스네이프는 이 짓을 하기 전에 차라리 해리를 입양했을 거라나(...).[6] 하필 해리가 O.W.L. 마법의 역사 시험 때 졸다가 꿈에서 시리우스 블랙의 환영을 보고, 답안지를 다 쓰지도 못하고 시험 중간에 나와버리는 바람에 D(끔찍함)를 받았다. 사실 통과 성적을 받았어도, 해리가 애초에 흥미있어하지도 않았고 오러가 되려는 자신의 목표에 필요도 없는 마법의 역사 N.E.W.T.를 수강했을 리는 만무하지만.[7] 그나마도 영화판에서는 미네르바 맥고나걸이, 게임판에서는 필리우스 플리트윅이 말해준다. 안습.[8] 루비우스 해그리드의 전임자인 신비한 동물 돌보기 담당.[9] 이 모습을 보면 아예 학생이 자기 수업을 듣는 건 포기하고 '너흰 놀아라 난 떠들란다' 이런 마인드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