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절

 

1. 개요
1.1. 철도에서의 타절
1.1.1. 용어 혼란
1.2. 버스에서의 타절


1. 개요


打切, うち-きり[1]
일본식 한자어가 그대로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정착한 것으로, 일을 중간에서 끊어먹거나 중단하는 경우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1.1. 철도에서의 타절


어떠한 이유로 열차가 시발역에서 '''예정된''' 종착역까지 운행하지 아니하고 도중역에서 운행을 중단하는 것을 말한다. 한국철도공사에서 순화해서 쓰는 표현은 '''도중운행 중지'''이다. 그리고 원래부터 그 중간역에서 종착하기로 한 열차를 보고 타절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탈선, 충돌 등의 사고나 전차선 단전[2], 토사유입, 신호장애 등의 운행장애로 수십분 이상의 지연이 발생하거나, 천재지변 등으로 열차가 정상적으로 운행을 할 수 없는 경우 보통 도중회차가 가능한 역에서 운행을 종료한다. 일단 도중운행 중지를 하게 되면 승객 입장에서는 상당한 짜증이 있을 수 있겠지만 '''절대 이유 없는 도중운행 중지는 없다.'''
  • 심각한 지연이 발생하여 반복열차, 후속열차에 지장이 있을 때. 주로 수도권 전철 경인선(심한 지연시 인천행 열차/동인천행 급행열차의 동인천/부평 도중운행 중지.)이나 4호선(심한 지연시 오이도행 열차의 안산/사당 도중운행 중지), 3호선(심한 지연시 대화행 열차의 구파발 도중운행 중지), 경의선(중앙선의 선로용량 대폭발로 다이어가 꼬인 경우의 덕소행 열차의 용산 도중운행 중지.[3])에서 일어나며 일본의 경우 게이큐가 시전하는 잇토케 다이어의 형태로 흔히 볼 수 있다. [4]
  • 철도나 지하철 노동조합의 파업으로 열차가 전 구간 운행이나 예정된 구간으로 운행이 어려울 경우 도중운행 중지를 시키기도 한다. 이런 경우는 당초에 시간표를 조정하거나 미리 공지하는것이 대다수다.[사례]
보통은 뉴스에 보도될 정도로 큰 사고로 인해 도중운행 중지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운전정리''' 및 '''차량상태 이상''' 등의 표현으로 에둘러 말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한국의 철도 환경 특성 상 KTX를 포함한 일반여객열차의 경우에는 수색객차출발선[5][6] 등 차량사업소 입출고선이나 상하행 선로가 모조리 끊어지지 않은 이상[7] 최대한 도중운행 중지를 피하고 목적지까지 운행하기 때문에 지연을 몇십분 혹은 몇시간씩 먹고도 끝끝내 그 열차로 종착역까지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3호선도 현재는 일산에서 민원을 하도 퍼부어서 10~15분 지연되어도 그냥 졸졸졸 꼬리물고서 끝끝내 대화역까지 들어오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보통 퇴근시간대 가끔 그런 일이 생기는데 대화:구파발 비중이 출근시간대 2.5:1, 낮시간대 3~4:1인데 반해 퇴근시간대만 유독 시외로 나가는 열차가 적어서(거의 1:1) 도중운행 중지가 될 경우 매우 불편하고 구파발역이 붐비기 때문. 대신에 그렇게 늦게 들어온 열차가 서울로 다시 나갈 때 삼송행으로 단축되는 경우는 있다.[8] 어짜피 퇴근시간대 일산에서 서울로 나가는 승객은 많지 않으니까. 또한 7권역쪽은 대체재가 어느정도 확보되어 가는 편이라 1,4호선에 비해서 퇴근시간대 이용객 폭주현상이 많이 나아진 상태이다.

1.1.1. 용어 혼란


도중에 회차하는 열차(예컨대 당고개역-사당역을 반복 운행하는 4호선 열차)도 타절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위 설명에 비추어 보면 잘못된 사용이다. 평창올림픽 시즌이나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으로 인해 일부 무궁화호가 사전에 고지된 바에 따라 제천역으로 단축 운행 하기도 했는데, 이 역시 타절이라고 부르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1.2. 버스에서의 타절


차량고장일 경우에 중간에 도중운행 중지하는 것은 철도의 도중운행 중지와 같다.
특히나, 잦은 고장으로 유명한 선롱 듀에고가 투입되는 노선에는 더더욱 이런 상황이 발생할수 있는데, 미리 앞쪽에 차를 대기시키는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은 그냥 운행전에 성능 시험부터 하고 차 상태가 안좋으면 예비차를 넣는 경우가 있다.
[1] 속어로 '''ぶちぎれ'''라 읽으면 극도로 빡친 감정 및 그러한 상황이란 뜻이 된다.[2] 디젤기관차 견인 제외[3] 실제 경강선 KTX 임시열차가 많이 편성되던 평창올림픽 시절에 종종 일어났다. 심한 날에는 드물지만 덕소급행도 짤없이 공덕(까지 급행운전)/용산(종착)으로 도중운행 중지됐다!(공덕역에서 넘어가다가 앞차에 틀어 막혀서 효창공원앞역에서 한참 대기하다 그냥 문을 열었다. 그리고 나서 발차 후 용산 고가에 또 멈춰서서 이어지는 육성안내방송. "우리 열차는 열차간격 조정을 위해 잠시 정차중입니다. 또한 운전정리 사유로 용산역까지만 운행합니다. 우리 열차 용산 급행입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다음 열차는 효창공원앞역에 있습니다."(...) 전 역에 있는 용문행 열차를 이용하라고 했다. 시간표가 꼬여서 상급열차 대피 스케줄이 꼬여버려 서빙고역에서 그 다음으로 넘어가질 못하니 용산, 효창공원, 공덕역까지 비엔나소세지처럼 후속열차가 졸졸졸... 여긴 평소에도 도중운행 중지는 아니지만 RH시간대에는 선행 열차와 간격 조정한다고 용산역 고가 위에 멈춰서거나 서행하는 일이 매우 흔하다.
경의중앙선 통근하는 사람들의 한숨소리에 있는 "용문행 18전 역" 짤방도 이때 만들어졌다(...)
[4] 2013년 한국철도공사 총파업 당시 4호선한국교통대 학생이 대체인력으로 투입되었는데, 잘 가고 있다가 사당역에서 갑자기 당고개행이 아닌 한성대입구행으로 도중운행 중지시켜 버렸다! 사유는 열차운전정리(...) 하지만, 코레일에서는 당고개행이 맞다고 했다 하지만, 한성대입구역에 도착하자 불 다 꺼버리고 승객들을 강제 하차시켰다고 한다.[사례] 예를 들어 2016년에 발생한 한국철도공사의 총파업의 경우에는 수도권 전철 경강선등 노선의 일부열차를 타절한 경우가 있다.[5] 이쪽이 맛이 가면 보통 여객은 수원역광명역에서 도중운행 중지해서 하차시키고, 고속열차는 광명주박기지, 일반여객열차는 의왕역을 거쳐 컨테이너 조차장이 있는 오봉역까지 가서 다시 회차하게 된다. 서울역에서 이들 역까지의 운행은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돌려서 대충 때운다.[6] 가좌역 지반 침하 사건 당시에는 일부 열차의 운행이 취소되었으며 그나마 서울/용산역에서 지방으로 운행했던 열차들(무궁화호/객차형 새마을호)는 장폐단으로 운행을 하는 등 지연이 심했다. KTX나 동차형 새마을호 정도나 정상으로 운행했다.[7] 경부선 대구역 열차 추돌사고 당시에는 구미에서 열차를 도중운행 중지시켜 '''무려 장폐단으로''' 서울로 되돌려 보냈다고 한다. 김천역에 전차대가 있긴 하지만, 그 와중에도 구미역이라는 메가톤급 수요처를 무시했을 때의 후폭풍은 감당하기 싫었나보다(...).[8] 그럴 경우에 원래 하행 시간대에 맞춰서 구파발에서 임시 열차가 출발하는 경우가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