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오도어 아이케

 



[image]
1. 개요
2. 나치당에서
3.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1. 개요


'''Theodor Eicke'''
(1892년 10월 17일 - 1943년 2월 26일)
제3SS기갑사단 토텐코프의 창설자.
장검의 밤 당시에 에른스트 룀을 죽인 인물이자[1] 독소전쟁 당시 동부전선에서 무자비하게 학살하고 약탈한 전범이다. 흔히 제3SS기갑사단 토텐코프의 악명은 아이케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최종계급은 SS 상급집단지도자(Obergruppenführer)로 독일 국방군의 대장 계급에 대응된다. 따라서 SS 대장으로도 불리며, 이 자 말고도 슈츠슈타펠 대원들, 특히 무장친위대원은 후대 사람들은 친위대 계급의 정식 명칭 대신 편의상 SS 뒤에 그 대원의 계급과 대응되는 독일 국방군의 계급을 붙여 부르기도 한다.[2](예시 : 무장친위대 집단지도자(gruppenführer) 헤르만 페겔라인= 무장친위대 중장 헤르만 페겔라인) 허나 대전 중반부에 전사했기 때문에 친위대 최상급집단지도자를 달 수 있었으나 진급하지 못한 인물.

2. 나치당에서


아이케는 알자스-로렌 지역에서 가난한 시골 역장의 11명의 형제들 중 제일 막내로 태어났다. 실업학교에 다니다가 17세에 학교를 그만두고 1909년에 바이에른 왕국군 제23보병연대에 지원입대하여 회계 견습사관이 되었다. 그렇게 복무하면서 공을 세워 제1차 세계 대전에서 2급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았고, 1914년에는 결혼하여 아이 2명이 태어났다.
전후에 제대한 아이케는 경찰서에서 정보국 보조원으로 일하다가 나치당에 매력을 느껴 1928년 8월 2일에 돌격대에 입대했고(훗날 친위대로 바꾼다.), 나치당에 입당했다. 그런데 1932년 3월 6일에 아이케는 정부에 대한 폭탄테러혐의를 받아 경찰에 체포되어 바이에른 재판소에서 징역 2년을 선 받았지만, 가석방되자 이탈리아로 달아났다. 그러다가 나치 정권이 들어서자 1933년 3월에 독일로 돌아온 아이케는 사이가 좋지 못했던 요제프 뷔르켈의 명령으로 체포되어 3개월 동안이나 정신병원에 수감되었다. 그러나 하인리히 힘러가 아이케를 구출해 아이케를 다하우 수용소의 소장직에 배정했다.
아이케는 장검의 밤 당시에 SA의 수장 에른스트 룀숙청에 관여했고, 룀에게 자결을 강요했으나 눈치없는 룀은 히틀러를 불러달라거나, 히틀러를 데려와서 나의 가슴팍에다가 총을 쏘라면서 웃옷을 벗고 있기도 하자, 결국 룀을 사살했다. 1934년 7월 4일에 하인리히 힘러는 아이케를 모든 강제수용소의 감독을 행사하는, 강제수용소 감시관으로 임명하고 강제수용소 부대의 사령관직도 주었다. 또한 아이케는 수용소 감시부대의 사령관이 되었는데 이 부대는 훗날 악명을 떨치게 되는 해골부대(토텐코프 페르벤데)가 된다.
무장친위대의 다른 두 기갑부대(LSSAH(총통경호대 아돌프 히틀러), 다스 라이히)가 SS 특수부대에서 기원되었다면 토텐코프(해골부대)는 수용소 감시병력이었던 SS해골단을 기원으로 한다. 그리고 아이케는 전국에 흩어져 있던 강제수용소를 리히텐부르크, 작센하우젠, 다하우, 부헨발트로 집중적으로 통합시키고, 해골부대의 확장하여 원래 대대 규모였던 해골부대를 3개 연대로 새롭게 편성했다. 그리고 1938년에는 오스트리아 합병으로 오스트리아의 강제수용소의 경비부대원들을 자신의 4번째 해골부대 연대로 끌어들였다. 아이케는 반사회적인 경력을 지녔기에 해골부대원도 반사회적인 인물들로 채용했다. 무식한 농군과 실업자 외에 사회불평분자 등등 여러가지 결함적 인물들을 채용했는데 이들은 오로지 두목인 아이케의 말만 따르게 했으며 친위대의 규율 등은 신경쓰지 않았다.
아이케는 군대적인 규율을 싫어했기에 친위대 해골부대는 친위대 안에서도 별난 존재였다. 아이케는 해골부대원 병사들에게 수용자들이 말을 듣지 않으면 무자비하게 구타하라고 요구하거나 채찍으로 때리거나 몇몇을 사살하여서 겁을 주는 방식으로 수용자를 엄격히 다루도록 늘 지시했다. 이러한 아이케의 수용자들을 다루는 법은 곧 모든 수용소 감시병력에게 전수되었고, 이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양산했다. 훗날 아우슈비츠의 수용소장으로 취임한 루돌프 회스도 취임식에서 아이케의 말을 이야기하기도 했다 "국가의 적들을 동정하는 놈은 SS에 있을 가치가 없으며, 그러한 나약한 자들은 우리 부대가 아닌 수도원에나 보내야 한다. 우리 부대는 용서없이 명령만을 수행할 뿐이며, 해골훈장은 멋으로 달린 게 아니다."
하지만 빌헬름 프리크가 장관으로 있던 독일 내무성은 SS의 과격한 행동에 우려하였고 보안경찰청장인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도 강제수용소 장악을 노려 아이케의 수용인 학대행위를 문제삼자 결국 아이케도 1937년 2월에 수용인의 학대금지령을 내렸다.[3] 아이케는 제2차 세계 대전 출정 전까지 힘러의 직속에 있으면서 강제수용소를 자율적으로 운영했다. 그러나 잔혹한 성격으로 악명이 높은 아이케도 의외로 직속부하들에게는 신망이 높아 부하들로부터 “파파“라는 애칭 즉, "아버지 아이케"라는 애칭을 받기도 했다. 게다가 하인츠 구데리안 같은 명장들로부터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것으로 보아 나름 개인적인 신망은 있었던 듯하다.

3.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image]
1941년 독소전쟁 동부전선에서 테오도어 아이케와 척탄병 사단 시절의 제3SS 토텐코프.
제2차 세계 대전의 개전 직후인 1939년 10월에 아이케는 해골부대의 연대를 규합하여 1939년 11월 1일에 토텐코프 사단을 편성한 후 그 사단장이 되었다. 그리고 강제수용소 감시관의 자리는 리하르트 그뤼크스에게 물려주었다. 아이케의 토텐코프 사단은 다카우에서 훈련 후 헤르만 호트 대장의 제15장갑군단과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상급대장의 제1장갑군 등에 배속되어 서유럽 전선에서 종군했다. 센 강을 도하하여 프랑스로의 교두보를 확보하는 등의 활약을 펼친 해골부대였지만 5월 27일에 제2연대가 영국군 포로 약 100명을 총살했고 항복하기를 거부하는 자는 그 자리에서 살해해 악명을 떨쳤다.
그러다가 아이케와 토텐코프는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에 레프 원수가 이끄는 군대에 소속하여 전투를 하면서 독소전쟁에 참가했다. 당시 아이케와 해골부대는 '''독소전쟁 당시 무자비하게 약탈하고 학살하면서 엄청난 악명을 떨쳤다.''' 한마디로 아이케는 토텐코프(해골부대)의 인종범죄와 대량학살의 흑역사를 만든 장본인이였다.[4]
그러다가 1942년 2월 8일에 데미얀스크 전투에서 포위탈출전을 벌이다가 무려 80%의 사단병력이 전사했다. 생존병들은 1942년 10월에 러시아에서 철수하였고, 프랑스로 돌아와서 재편된 후에 1943년 2월까지 프랑스 주둔 사단으로 머물렀다가, 에리히 폰 만슈타인 원수의 남방군 집단에 참가하여 동부전선에 복귀한 토텐코프는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에 투입되었다. 아이케는 전황을 확인하기 위해서 정찰기를 타고 오를레카(Orelka) 근교를 비행하던 중 타고 있던 기체가 격추되면서 사망했다. 토텐코프 사단은 상급부대의 불허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사단장 시신을 소련군의 포위망에서 수습해오는 광신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 아이케가 죽자 언론은 영웅으로 추대했으며 아이케의 시신은 오를레카 근처의 독일 군사 묘지에 매장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아이케의 시신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5]
1943년 10월 사단은 제3SS기갑사단 토텐코프로 개편되었다. 전차대대는 정식으로 연대로 승격되었고, 2개의 기갑척탄병 연대에는 각각 제5SS기갑척탄병연대 툴레와 제6SS기갑척탄병연대 테오도어 아이케라는 명칭이 수여되었다. 허나 아이케가 죽은 뒤에도 토텐코프의 악명은 그대로 남아 전후에는 사단 전체가 범죄자 취급을 면치 못했다.[6]
[1] 정확히는 자기가 직접 죽이지는 않고 대신 자기 부하였던 리페르트라는 자에게 룀을 향해서 총을 쏘라고 명령을 하였다. 당연히 이 명령은 실행되어 룀은 그에게 2발의 총탄을 맞았다. 허나 룀이 죽지 않자 다시 한 번 총을 쏴서 죽였는데, 이때 룀을 쏜 이가 아이케인지 리페르트인지 확실하지 않다. 참고로 2차 대전의 권위자인 이언 커쇼는 두 명이서 같이 쐈다고 보고 있다.[2] 단 여기서 예외가 있는 계급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친위대 상급지도자(oberführer)로, 독일 국방군 장교 계급에서는 원래 없는 계급인지라 친위대 계급과 대응되는 계급이 없다. 이 계급은 대전 초에는 독일 국방군의 소장급 장교로 대우받았으나 대전 말에는 국방군 대령보다는 높지만, 소장보다는 낮게 취급당했다. 따라서 이 계급을국내에서 쉽게 설명할 때는 상급대령이라고 번역하며, 이 계급까지 올라간 대표적인 인물로 오스카 파울 디를레방어가 있다.[3] 나치 독일은 기본적으로 수용자에게 인간대접을 절대 안했다. 그런 나치 독일조차도 학대행위를 문제삼을 정도면 아이케와 그 부하들의 악행이 얼마나 잔혹했는지 알만 하다. 게다가 독소전쟁때의 각종 잔혹한 행각까지 합치면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없다.[4] 전적 없이도 단순한 학살 사실로도 악명이 드높은 아인자츠그루펜과 디를레방어를 생각해보면 각종학살+각종 공훈이 더해진 토텐코프 사단의 악명의 레벨은 다른 학살 부대와 구분된다. '''무서운 점은 이 사단은 범죄자들만 모인 디를레방어 여단과 달리 SS정예부대 라는거다.''' 단순한 미친 놈인 디를레방어와는 레벨이 다른 차원의 도살자인것이다. 이런 이유로 나치 독일/인물 파트의 학살자 항목이 아닌 핵심 전범 항목으로 들어간 것이다. 마지막으로, 토텐코프의 학살 기준에는 아인자츠그루펜과 달리 특정 목표가 없었다. '''유대인이든 그냥 소련인이든 모조리 학살했다는 것.'''[5] 너무 일찍 죽었기 때문에 그가 무장친위대 초기 3개 사단을 각각 맡았던 주요 장성인 요제프 디트리히(제1SS기갑사단 LSSAH)나 파울 하우서(제2SS기갑사단 다스 라이히)와 달리 최상급집단지도자(상급대장급)가 되지 못한 이유이다. 이 둘도 1944년에야 이 계급을 달았는데 그 전에 죽어버린 아이케는 그걸 달 수 있는 건덕지조차 없었다.[6] 이는 종전 이후 연합군에 항복한 토텐코프 사단의 포로들이 소련에서 지옥 같은 생활을 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했다. 왜냐면 토텐코프 사단을 전범 집단으로 만들어놓은 초기 구성원들 대부분은 전쟁이 길어지면서 전사, 부상으로 인한 사망, 전출/전근, 의병/의가사 제대 등으로 인해 부대를 영구히 떠나고 말았다. 그리고 이들의 자리는 신병들과 타 부대, 그리고 국방군의 병력으로 구성된 인원들로 채워졌다. 이러한 현상은 계속해서 이어졌고, 그 결과 종전 당시 사단 구성원들의 비율은 초기 인원들보다 전쟁 도중에 보충 병력으로 전입을 온 인원들이 더 많았다. 문제는 후자 인원들은 전범 행위를 하지 않은 인원들도 많았으며, 그렇지 않은 이들도 사단의 초기 구성원들처럼 악질적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얼굴도 잘 모르는 선임들의 만행에 대한 죗값까지 대신 치르게 되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