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디그리(프로레슬링)
[clearfix]
1. 개요
[image]
원 기술명은 '''더블 언더훅 페이스버스터'''(Double Underhook Facebuster)로, 트리플 H를 대표하는 피니쉬 무브이다.
트리플 H가 킬러 코왈스키의 도장에서 더블 암 수플렉스[1] 를 연습하다가 실수로 제대로 들지 못하고 앞으로 떨어지게 되었는데, 이때 힌트를 얻어 이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 초창기 귀족 기믹으로 데뷔했던 트리플 H가 자신의 귀족 혈통을 뜻하는 의미로 지었다.[2]
2. 상세
준비 동작이 타이거 드라이버, 제이 드릴러 등 더블 언더훅에서 시작하는 기술과 똑같다보니 타이거 드라이버가 원형기가 아니냐는 이야기도 있었지만 실제로는 페이스버스터에 가까우며 드라이버 류 기술과는 다른 기술로 분류한다.
[image] [image]
수직낙하기는 아니지만 시전시 피폭자의 양팔을 등 뒤로 묶기 때문에 낙법을 칠 수 없어 인체에서 가장 강한 이마로 받는다 해도 위험한 편이다.
그래서 선수들의 거센 항의와, 위험한 방식의 기술 시전은 자제시키는 WWE의 특성상 중간에 팔을 풀어주는 형식으로 바뀌게 되었다.
[image]
저렇게 마지막에 팔을 풀어줘 위력이 약화되었는데도 이 기술을 처음 맞아본 데이브 바티스타는 맞는 순간 온몸이 감전당한 것처럼 찌릿찌릿했다고 이야기했다.
[image]
그래서 대부분의 선수들이 접수하기 껄끄러워하는 기술로 꼽힌다. 접수할 때 무릎을 꿇어서 받아주면 안전하지만 폼이 안난다.[3] 접수를 잘 해주는 편인 케인과 부커 T, 릭 플레어도 이런 접수 방식으로 페디그리를 맞았다.
[image]
기술의 특성상 무기가 될 만한 오브젝트를 밑에 깔고 시전할 경우 흉악한 살인기가 된다. WWF 로얄럼블(2000) WWF 챔피언쉽 경기에서 압정 위 페디그리가 나오자 빈스 맥마흔이 열받아서[4] 이런 아이디어를 낸 믹 폴리를 불러 심하게 꾸짖었다고 한다.[5]
[image]
피폭자인 마티 가너[6] 의 실수로 위험한 장면이 나오기도 했는데[7] 나중에 마티 가너가 밝히기로는 당시엔 페디그리를 몰랐던지라 더블 언더훅 파워 밤[8] 이나 더블 암 수플렉스를 시전하는 것으로 착각해 높이 점프했다고 한다. 국내에서는 원조 페디그리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합이 안 맞아서 잘못 시전된 경우이다.
초창기의 페디그리는 지금의 더블 언더훅 페이스버스터가 아닌 '''커터#s-3'''를 피니쉬 무브로 장착했을 때 붙여진 것이었다. 다만 동형기의 피니쉬 무브로 유명한 다이아몬드 댈러스 페이지가 트리플 H보다 먼저 피니쉬 무브로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커터를 사용하지 말 것을 요청해 더블 언더훅 페이스버스터로 변경했고, 그것이 지금까지 내려져 온 것이다.
3. 다른 사용자들
사실 앙드레 더 자이언트가 현역 시절에 페디그리와 굉장히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기도 했다. 유튜브 영상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이 때문에 '안드레가 페디그리의 실질적인 원조가 아니냐'하는 소수 의견도 존재한다. 다만 트리플 H와는 달리 피니쉬 무브가 아니라 일반 타격기 중 하나였다.
사용자인 트리플 H의 명성이 워낙 대단하기 때문에 이후 동형기를 사용하는 사람이 적지만 카이엔타이 출신의 인디 레슬러 딕 토고의 경우 이 기술을 셋업무브로 사용하기도 한다.
트리플 H의 부인 스테파니 맥마흔도 WWE 섬머슬램(2014)를 앞두고 굉장히 깔끔하게 사용하고, 섬머슬램 2014에서도 선보였다. 남편인 트리플 H가 직접 가르쳐 준 것도 있겠지만 맥마흔 일가의 레슬러로서의 자질을 보면 재능과 노력의 산물이다. 일본의 프로레슬러이자 게이 컨셉의 캐릭터로 매우 유명한 남색 디노도 사용한다. 빈스 맥마흔도 1999년과 2006년 등 트리플 H와 대립할 때 사용했다.
[image]
세스 롤린스가 WWE 페이백(2015)부터 WWE 레슬매니아 33까지 피니쉬 무브로 사용했었다.
4. 유사 기술
[image]
페디그리의 탑로프 버전으로 CM 펑크의 과거 피니쉬 펩시 플런지가 있다. ROH 말기부터 무릎의 안전을 위해 봉인했다.
[image]
피폭자를 더 높이 들은 뒤 전면부 전체로 낙하하는 크리스토퍼 다니엘스의 엔젤스 윙(Angel's Wing)도 있다. 벨벳 스카이는 인 요 페이스(In Your Face), 토마소 치암파는 페어리테일 엔딩(Fairytale Ending), 엘 데스페라도가 핀체 로코(pinche loco)라는 이름으로 사용한다.
어썸 콩도 이 기술을 임플란트 버스터라는 이름으로 사용한다. 일반적인 엔젤스 윙은 시전자가 앉는 자세인데, 임플란트 버스터는 시전자도 앞으로 몸을 날리는 자세다. 어썸 콩은 남성 프로레슬러한테도 무리없이 시전하는 괴력을 보여줬다.
[image]
여성 레슬러이자 언더테이커의 배우자인 미셸 맥쿨 역시 Wings of Love라는 명칭으로 사용했다. 하지만 기술 자체가 여성들이 소화하기엔 너무 위험해서인지 오래 쓰지 못하고 피니쉬 무브가 변경되었다.
두 손을 뒤로 접어 올리지 않고, 가랑이에 머리만 집어넣은 상태에서 바로 꿇어앉는 식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방식은 골더스트가 TNA 시절에 사용했다.
[image]
미사와 미츠하루의 타이거 드라이버 91.[9]
[1] 버터플라이 수플렉스라고도 부른다.[2] 초기에는 '페디그리 판데모니엄', '페디그리 퍼펙션'이란 이름을 썼으나, 페디그리라는 약칭으로 정착되었다.[3] 접수자는 길버그.[4] 빈스 맥마흔은 선수들이 자신과 상의 없이 애드리브로 기술을 연출하는 것을 굉장히 탐탁치않게 여기는 인물이다. 심지어 그 때는 팔을 풀어주기도 전이라 안면에 압정 무더기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기 때문에 그 위험부담은 말할 것도 없다.[5] 압정 위 페디그리는 믹 폴리 본인이 트리플 H에게 경기 도중 즉석으로 제안한 것이다. 트리플 H는 시전할 준비를 하면서도 이걸 진짜로 해야하나 망설였다고 한다. 경기 후 믹 폴리는 이마에, 트리플 H는 무릎에 의료용 스테이플러를 수십 방 놓았다. 그래서 압정 위에 페디그리를 시전한 직후 트리플 H가 핀을 하기 전에 부자연스럽게 왼쪽 무릎을 든다.[6] 매트 하디&제프 하디와 어렸을 적 프로레슬링을 같이 해온 사이로, 가끔 자버로 WWE에 출전했다.[7] 타이거 드라이버 91 즉 더블 언더훅 파일 드라이버 형태로 들어갔다.[8] 흔히 타이거 드라이버로 잘 알려진 기술.[9] 미사와 미츠하루는 더블 언더훅 파워 밤을 타이거 드라이버, 더블 언더훅 파일 드라이버를 타이거 드라이버 91으로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