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사스 데 소베라니아

 


스페인어: Plazas de Soberanía
[image]
1. 개요
2. 역사
3. 개별 섬
4. 영토 분쟁


1. 개요


세우타멜리야를 제외하고, 스페인이 차지하고 있는 모로코 해안선 가까이 있는 아프리카 대륙의 작은 북쪽 섬들을 일컫는다. 플라사스 데 소바레니아란 '주권의 장소들'이라는 뜻인데, 19세기 들어서야 스페인이 차지한 모로코 본토 북서부와 달리[1] 스페인이라는 국가가 성립할 때부터 차지하고 있는 땅이라는 뜻이다.
레콩키스타 이후 스페인과 포르투갈 세력이 침투하면서 북아프리카 지역에 수많은 항구가 개항했고 발달됐으며, 이를 통해 무역과 해적의 노략질을 방지하고자 하는 노력도 함께 병행됐다. 바르바리 해적의 침략도 주된 이유 중 아니었다. 이런 북아프리카의 스페인령 영토들을 '''Plazas Fuertes de África '''(아프리카의 요새들)이라 불렀다. 19c~20c에 걸쳐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들이 독립하고, 1956년 모로코가 독립하여 '스페인령 북아프리카'로 불리던 본토는 상실됐지만,, 다음의 조그만 섬들은 아직까지 스페인령이다. 이들 섬에는 민간인은 없고 수비대 군인들만 거주하며 사실상 군정이 이뤄지고 있다.
스페인의 자치지방(Comunidad autónomas)이 아닌 스페인 중앙정부(Spanish central government)에서 직접 관리하는 특수영토이다. 섬들의 총면적은 0.59㎢이다.

2. 역사


16세기 초 스페인 제국은 북아프리카 진출 교두보로 삼기위해 서 지중해를 따라 여러 항구를 점령하기 시작했는데 오랑, 멜리야, 튀니스, 트리폴리와 함께 페뇽 데 벨레스 데 라 고메라(Peñón de Vélez de la Gomera)와 알우세마스 군도(Islas Alhucemas)도 그 중 하나였다. 페뇽 데 벨레스 데 라 고메라는 오스만, 바르바리 해적과 엎치락 뒤치락 끝에 1564년, 가르시아 알바레스 데 톨레도[2]가 이끄는 스페인 군대가 점령했으며, 알우세마스 군도는 1673년 점령되었다. 북아프리카를 연결한 이 일련의 성채와 요새들(Presidios)은 바르바리 해적이나 카빌리인 같은 내륙 부족 등 스페인에 적대적인 여러 세력을 통제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그러나 레판토 해전 이후 서지중해 해역에서 오스만의 위협이 줄어들고, 바르바리 해적의 활동량도 줄어들자 북아프리카 식민지에 대한 스페인의 관심은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했다. 이후 스페인의 관심은 아메리카 식민지 확장과 플랑드르, 이탈리아의 패권전쟁으로 옮겨지고, 이즈음 오랑을 제외한 북아프리카의 다른 항구들도 뺏기자 이 지역은 19세기까지 별 주목을 받지 못한 채 본토에서 떨어진 감옥 역할을 했다. 쿠바 독립 운동가들이나 스페인 정계에서 밀려난 카를리스타(Carlista) 파벌들이 이곳에 수감되기도 했다.

1820년대를 기점으로 아메리카의 스페인 식민지들이 하나 둘씩 독립하자, 스페인은 이곳의 가치를 다시 주목하기 시작했다.[3]
그러던 중 1860년,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모로코가 와드-라스 조약(Treaty of Wad-Rass)으로 이들 지역을 공식적으로 스페인령으로 승인함과 동시에, 모로코 해안을 자유항구로 개방하기 시작하자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당시 제국주의 국가들이 개항시키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스페인이 모로코의 문을 열자, 이 지역들은 북아프리카 지역 상업 활동의 중개기지 플랫폼으로 번창하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해상 연락선 확충과 더불어 세우타-멜리야를 연결하는 전화선과 해저 케이블이 이 지역을 지나가도록 설치되는 등 인프라가 확충되자 인구도 급격히 증가해 한때 네자릿수 인구를 기록하기도 했다.
가장 인구증가율이 높은 시기는 1900~ 1920년대 였고, 인구가 피크를 찍은 시기는 1919년이었다. 알우세마스의 경우 인근 해안으로 향하는 스페인 생산제품들이 선적되는 항구 역할을 했으며, 영국령 지브롤터와 연계되어 하나의 경제권을 형성했다. 총기를 비롯한 군수품 밀거래도 번번히 이뤄졌는데 스페인 행정관들의 묵인으로 밀거래가 계속되자 모로코의 술탄이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무역규모가 팽창하자 스페인은 직접 모로코의 해안을 통제하고자 했고, 1912년, 페즈 조약(Treaty of Fez)으로 모로코는 결국 스페인과 프랑스에 분할되었다. 모로코 북부 해안지역이 스페인령 모로코로 편입되자 북아프리카 영토시스템의 상황을 구조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세우타와 멜리야가 주요 도시로 부상했다. 스페인의 모로코 본토점령은 아이러니하게 이 지역의 중요성을 다시 감소시키는 결과가 되었다.
게다가 1921년 발발한 리프전쟁[4]으로 리프 반군이 페뇽과 알우세마스 군도를 포위하자 스페인 정부는 거주민들을 철수시키기 시작하여 인구 감소 추세는 4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이 지역이 지리적 중요성을 회복한 계기는 1957년 스페인령 모로코가 모로코 왕국으로 독립 후로, 다시 국경지대로서의 지위와 기능이 되살아났기 때문이다. 작은 영역이지만 스페인은 이곳에 수비대를 주둔시키고 일부 민간인들의 입도를 허용하여, 세우타-페르데-알후세라스-멜리야를 잇는 정기교통편도 재개되었다.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이곳의 공간 및 경계 기능은 1957 년부터 계속 유지되었으며 특히 70년대 이후 과학조사를 통해 이곳의 생태학적 가치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특히 차파리나스 제도(Isla Chafarinas)와 알우세마스 군도(Islas Alhucemas)의 경우 독특한 식생과 희귀조류, 포유류의 서식지라는 결과가 나왔다.[5]
이후 1989년 특수 조류 보호 구역 (ZEPA, 1989)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이후 유럽 생물권 중요 자연보호지역으로 (LIC, 2006)지정되었다. 이곳의 풍부한 생태자원을 연구,보존하기 위해 연구소가 들어었으며, 스페인군과 함께 환경관련부서나 생물학자, 생태학자들도 거주하고있다.
21세기 들어서는 항공교통의 발달로 지리적 중요성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스페인으로서는 스페인 제국 시절부터 이어진 상징성과[6]생태학적 가치, 모로코로서는 자치도시로 편입된 세우타,멜리야와 달리 지리적 요인과 국제역학관계에 따라 반환될 가능성도 있기에, 잊을만 하면 세우타 멜리야와 함께 반환을 거론하고 있다.

3. 개별 섬


  • 차파리나스 군도(Islas Chafarinas) - 3개 섬 총면적 52.5ha.
이 섬들은 본래 19c까지 무주지 였으나 제국주의 시절인 1848년 스페인령으로 편입되었다. 처음에는 프랑스령 알제리와 맞닿아 있는 국경의 부족들을 감시하기 위해 프랑스에서 눈독을 들였다. 그러나 스페인에서 선수를 쳐서 말라가에서 군함을 파견, 재빨리 점령해 “이사벨 2세 군도”로 편입시켰고, 프랑스도 그대로 인정해 현재까지 스페인령으로 남아있다.
  • 알우세마스 군도(Islas Alhucemas) - 3개 섬 총면적 4.6ha
[image]
페뇬 데 알우세마스(Peñón de Alhucemas) 섬(면적 1.5ha). 해안에 뜬 군함처럼 보인다.
실제로 1925년 리프전쟁 당시, 스페인이 인근의 알 호세이마(Al hoceima)에 대규모 상륙작전을 개시할때, 페뇬 데 알우세마스 섬에 배치된 '''24기의 155mm 곡사포와 75mm 대포가 지원사격을 했다. '''1673년 스페인령으로 편입되어 현재까지 남아있다.
현재 티에라 섬(Isla de Tierra)과 마르 섬(Isla de Mar)은 철조망으로 보호를 받고 있다. 안정적인 생태환경 덕분에 보호대상종(Species of European Conservation Concern)인 오두앵 갈매기(Audouin’s gull)들의 집단 서식지가 되었다. 2012년에는 사하라 이남에서 온 난민이 상륙해 스페인 망명을 요청하기도 했는데, 스페인은 여성, 어린이, 노약자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모로코로 추방했다.
  • 페뇬 데 벨레스 데 라 고메라(Peñón de Vélez de la Gomera) 섬
[image]
면적 1.9ha. 스페인-모로코가 국경을 맞대는 구간으로, 길이는 약 400m이다. 사진은 모로코 쪽에서 찍은 것이다. 원래 1934년까지는 섬이었다가 폭풍우로 지형이 바뀌어 연륙된 것이다. 덕분에 세계에서 가장 짧은 국경이란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멜리야에서 파견된 수비대가 주둔하고 있으며 헬기와 보트를 통한 물자보급이 가능하다.

4. 영토 분쟁


지리적으로 모로코와 가까워 모로코도 역사적, 지리적 이유를 삼아 세우타, 멜리야와 더불어 소베라니아의 영유권을 주장하여 함께 영토 반환을 요구했으나 스페인은 모로코가 국가 개념을 세우기 이전부터 스페인의 영토였다며 거부하고 있다. 그러나 현 스페인의 왕가인 보르본 왕조가 처음 스페인 왕위를 차지한 게 1700년, 모로코의 현 왕조인 알라위 왕조가 처음 모로코 왕위를 차지한 건 1666년으로 오히려 스페인의 부르봉 왕가가 모로코의 알라위 왕가보다 역사가 짧다. 또한 스페인에 보르본 왕조 이전에 압스부르고 왕조나 트라스타마라 왕가가 있었듯 모로코에도 알라위 왕조 이전에 사디 왕조, 알모라비드 왕조, 마리니드 왕조 등이 있었다. 반면에 지브롤터를 돌려달라는 스페인의 주장을 영국 측에서 상콤하게 비웃는 근거이기도 하다. 다만 여기서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다면, 해당 영토가 왕실 혈통으로 인한 영지상속이냐 아니면 국가승계냐의 차이이기 때문.
현재는 유럽 난민 사태의 영향으로 난민들이 유럽으로의 주요 망명 및 밀입국 루트로 활용해 스페인으로서는 골치다. 종종 스페인에서 모로코에 책임이 있다고 따지는데 모로코는 적반하장이라며 비웃는다. 밀입국자들은 모로코에서도 골치거리이기 때문이다.

[1] 스페인령 모로코는 1956년 모로코에 반환하였다.[2] 스페인의 명장이자 네덜란드의 압제자(...) 페르난도 알바레즈 데 톨레도가 그의 사촌형이다. 가르시아는 이후 1565년 몰타 공방전(#)에도 스페인 지원군을 이끌고 공을 세워 펠리페 2세 로부터 페르난디나 공작위를 수여받았다. [3] 이미 스페인이 영유권을 주장한 북위 61도 남부 유콘부터 자원이 원체 빈약했고, 볼리바르의 거병을 기점으로 스페인령 식민지 곳곳에서 군사적 충돌이 동시다발로 일어나 스페인 내부에서도 이득이 없고, 관리가 어려운 지역은 서둘러 처분하고, 기존 식민지나 잘 관리하자는 분위기가 팽배했다.[4] 베르베르 부족을 이끄는 압둘 알 카림이 스페인의 식민지배에 저항하여 일으킨 무장봉기[5] 생태 조사결과 9종의 멸종위기 무척추동물과 더불어, 개체수가 세자릿수에 불과한 지중해몽크물범, 보호대상종(Species of European Conservation Concern)인 오두앵 갈매기(Audouin’s gull)의 세계에서 두번째로 규모가 큰 서식지임이 밝혀졌다.[6] 사실 무역을 위한 거점확보 성격의 1차 식민지들, 원료획득과 시장확보 목적의 18c~19c 초의 식민지들과 달리, 19세기 말 2차 식민지들은 발전된 열강의 군사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경제적인 목표 대신 민족주의, 위신, 애국심 고취를 앞세운 국격상승을 위한 비경제적 목적이 짙었다. 이러한 2차 식민지들(이탈리아령 리비아, 에리트레아, 독일령 뉴기니, 프랑스령 부르키나파소, 베냉, 베를린 회담으로 분할된 식민지들 등)은 현재는 모두 독립했다. 1860년 국제적으로 승인받은 플라사스 데 소베라니아는 현재까지 유일하게 남은 2차 식민지인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