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우타

 



'''세우타'''
'''Ceuta'''
[image]
[image]
'''깃발'''
'''휘장'''
'''상징'''
표어
''Siempre Noble, Leal y Fidelísima Ciudad de Ceuta''
노래
''Ceuta, mi ciudad querida''
(세우타, 나의 사랑하는 도시)
'''면적'''
18.5㎢
'''인문환경'''
국가
스페인 [image]
공용어
스페인어
인구
84,777명(2019년)
인구밀도
4,582.5명/㎢
''' 정치'''
정치체제
의원내각제, 단원제
시장[1]
후안 헤수스 비바스[2]

'''시의회'''
'''여당'''
9석

'''지지'''
7석

'''야당'''
4석

2석
'''운동''']]
1석
'''고등어''']][3]
2석

''' 경제'''
화폐
유로
'''ISO 3166-1'''
ES-CE
'''시간대'''
UTC+1(스페인 시간대)
UTC+2(서머타임)
'''위치'''

베르베르어: ⵙⴰⴱⵜⴰ, Sebta
아랍어: سبتة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정치
5. 영토 분쟁
6. 기타
7. 관련 문서


1. 개요


스페인의 자치 도시. 멜리야, 플라사스 데 소베라니아와 마찬가지로 이베리아 반도가 아닌 북아프리카 본토에 위치해 모로코와 육상 국경을 맞대고 있는 지역이다. 이베리아 반도 남단의 영국지브롤터와 더불어 지중해대서양을 잇는 중계 지역 역할을 한다. 지브롤터 해협을 두고 스페인 남단과 인접하고 있고 어업, 경공업, 수산물 가공업이 경제 활동의 중심이다. 안달루시아와 실업률 1, 2위를 다투는 지역이지만 지역 재정은 좋은 편이다.

2. 역사


고대 카르타고인들이 건설한 항구 도시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고대 로마, 게르만의 반달 왕국, 동로마 제국 등의 지배를 번갈아 가면서 받았고 771년에는 아랍인들에게 정복되었다. 이후 1415년 포르투갈에게 정복되었다. 1580년부터는 포르투갈의 왕위를 스페인 국왕이 겸하게 되었는데 형식상 계속 포르투갈에 소속된 지역이었지만 사실상 스페인 영토가 되었다.
1640년 브라간사 왕조가 포르투갈 왕위를 주장해 포르투갈 독립 전쟁이 터지면서 상황이 복잡해진다. 포르투갈의 지배를 받는 대부분의 지역은 브라간사 왕조를 지지해 주앙 4세와 그 뒤를 이은 알폰소 6세를 포르투갈 국왕으로 간주했다. 하지만 세우타는 포르투갈보다 스페인 사람들이 많이 넘어온 탓에 스페인의 왕 펠리페 4세(=포르투갈의 왕 필리프 3세)를 포르투갈 국왕으로 간주했다. 이 전쟁은 1668년 리스본 조약을 체결하면서 끝나는데 이 조약에 따라 스페인은 브라간사 왕조의 포르투갈 지배를 인정하고 포르투갈은 세우타를 공식적으로 스페인(정확히는 카스티야)[4]에 양도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때부터는 공식적으로도 스페인의 영토가 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문장과 깃발은 이전처럼 포르투갈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 세우타의 문장(깃발 가운데에 그려진 것이 문장이다)은 포르투갈의 문장과 거의 비슷하고 깃발의 배경 부분은 포르투갈의 수도 리스본의 깃발의 배경과 동일한 디자인이다.

3. 특징


스페인계아랍계가 절반 정도인 인구 분포를 보이고 아랍어도 잘 통한다. 2013년 기준으로 기독교인이 68.0%, 이슬람교인이 28.3%였다.
EU의 일부로 유로화가 통용되지만, 본토와 달리 EU관세동맹의 적용을 받지 않고 EU법 적용에 있어서 일부 예외가 있다. 또 솅겐 조약 적용에도 예외가 있는 특수영토이다. 프랑스령 마르티니크기아나, 레위니옹과 같은 해외 레지옹과 비슷한 지위에 있다.
유럽 난민 사태의 영향으로 세우타를 통해 유럽으로 몰래 입국하려다 적발된 난민들이 늘어나고 있고 2017년 초에 난민 1,100여명이 장벽을 넘으려다 모로코, 스페인 군경과 충돌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2018년 7월에도 아프리카 출신 난민 수백명이 세우타를 급습했다.#
이렇게 밀입국자들이 스페인 영토로 진입하는 통로이기 때문에 스페인에서는 모로코를 상대로 책임을 묻기도 하는데 이에 대해서 모로코측에서도 비웃는다. 모로코에서도 밀입국자들은 심각한 골칫덩어리이기 때문이다.

4. 정치



스페인에서 국민당 지지율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다. 유럽 난민 사태 직접적인 영향으로 정당 복스가 지지율이 점점 오르고 있다.
그렇다고 사회노동당이 아예 낮은 것은 아니라서 하원, 상원에서는 당선되기도 하고, 시의회에서도 주요 정당을 차지한다.

5. 영토 분쟁


지리적으로 모로코와 가까워 모로코도 역사적, 지리적 이유를 삼아 세우타의 영유권을 주장해 멜리야와 함께 영토 반환을 요구했지만 스페인은 모로코가 국가 개념을 세우기 이전부터 스페인의 영토였다면서 거부하고 있다. 그러나 현 스페인 왕가인 보르본 왕조가 처음 스페인 왕위를 차지한 것이 1700년이고 모로코 현 왕조인 알라위 왕조가 처음 모로코 왕위를 차지한 것은 1666년으로 오히려 스페인의 부르봉 왕가가 모로코의 알라위 왕가보다 역사가 짧다. 또한 스페인에 부르봉 왕가 이전에 압스부르고 왕조나 트라스타마라 왕가가 있었듯 모로코에도 알라위 왕조 이전에 사드 왕조, 무라비트 왕조, 마린 왕조 등이 있었다. 그래서 모로코에서는 역사적으로 우리가 더 길다고 반론하고 있다.
영토로 유지하지만 과거에 비해 크게 중요성이 떨어진 데다 경제마저 쇠락해 그다지 전망이 밝지는 않다. 사실 유럽이 북아프리카 지역을 식민 지배하던 시기가 끝나고 아랍계 독립 국가들이 들어서면서 스페인계 주민들은 상당수 본국으로 돌아갔고 적대적인 모로코에 둘러싸였으니 도시 확장 등을 생각할 수도 없는 상황. 식량이나 필수품도 모로코에 의존하고 마음만 먹으면 말려 죽일 수 있다. 다만 모로코 측도 영유권 주장을 하는 것과는 별개로 스페인과 EU로 통하는 길목이라 경제적으로 활용한다. 인건비가 싼 모로코인들이 국경을 넘어 일하는 경우가 많아서 모로코도 딴지를 걸기 어렵고 세우타 측도 이들의 저임금 노동으로 이뤄지는 산업이 커서 여기 영토 문제로 서로 전쟁을 벌일 분위기까지는 아니라고 한다.
한편 스페인이 영국에게 지브롤터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면 영국 측은 세우타와 멜리야를 걸고 넘어지며 스페인도 모로코 영내에 있는 멜리야와 세우타를 지배하는데 우리가 왜 지브롤터를 돌려줘야 하냐면서 맞서기도 한다.[5]

6. 기타


대항해시대 게임에서도 이름이 나온다. 대항해시대 온라인에서는 중급 항해자 양성 학교가 있다. 포르투갈의 영토였다가 스페인의 영토가 되었으므로 대항해시대 온라인에서는 그 전의 포르투갈령의 세우타로 나오다 현재는 그냥 포르투갈이 동맹인 경우가 많은 동맹 도시다.
지역 축구팀으로는 AD 세우타가 있는데 3~4부 리그를 전전하는 약소 팀이다.

7. 관련 문서



[1] 시의회 의장을 겸직한다.[2] Juan Jesús Vivas[3] 장난이 아니라 진짜로 정당 명칭이 고등어를 뜻하는 Caballas다. 생태주의 정당인 Equo와 제휴를 맺은 지역 정당이다. Caballas는 고등어란 뜻도 있지만, 구어체로는 세우타 주민들을 부르는 단어이기도 하다.[4] 스페인이라는 통합된 국가가 법적으로 탄생한 것은 보르본 왕조가 들어선 18세기 이후였다. 압스부르고 왕조의 지배를 받던 시기의 스페인은 아직 형식상 카스티야, 아라곤 등이 명목상의 독립 국가로서 존재하면서 동일 군주의 지배를 받는 형태(동군연합)로 되어 있었다. 물론 실질적으로는 그때도 스페인이라는 국가가 존재하고 있었던 것으로 취급된다.[5] 물론 이 문제가 없어도 어차피 주민들의 확고한 지지를 받는데다 실효 지배만 3세기가 지난 영국 입장에서 굳이 지브롤터를 돌려줄 이유가 하등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