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rett M82
[clearfix]
1. 개요
바렛트 파이어 암즈사에서 개발한 대물 저격총.
2. 상세
2차 대전을 전후하여 대전차 소총을 개조해 장거리 저격에 활용한 사례가 있으나, 본격적으로 대구경 탄환을 사용하여 등장한 대물 저격총의 시조격 물건. 소총급에서는 최고 위력급에 속하는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용의 탄환인 12.7mm BMG를 사용하여 영화나 게임 등에서 자주 등장해 위력을 과시하는 덕에 일반인들에게도 비교적 유명하다.
설계자인 로니 바렛은 원래 총기제작에 지식이 전무한 전문 사진작가였는데, 베트남 전쟁에서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으로 '''세계 최장 거리 저격 기록'''을 세운 것으로 유명한 어떤 저격수에 감명을 받아[3] 자기 집 창고에서 틈틈이 개발해 낸 것이 M82라고 한다.
대구경탄을 사용하는 만큼 긴 사정거리와 강력한 위력으로 장갑이 얇은 차량, 항공기, 불발탄, IED, 엄폐물에 숨어있는 적들을 무력화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실전 상황에서는 콘크리트 블럭을 뚫고 뒤의 적을 사살하거나 1킬로미터 넘는 거리에서도 확실한 사살을 보장하거나, 차량의 엔진블럭을 격파하는 등 보장된 위력을 자랑한다. M82의 뒤를 이어 등장한 대물 저격총들이 볼트액션식에 저용량 탄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M82는 반자동에다가 10발짜리 대형 탄창을 사용하므로 속사 및 지속 사격 능력도 좋은 편. 물론 애초에 저격총이므로 좀 과잉 화력인 감이 있고 그만큼 덩치와 무게도 늘어났다.
원형인 M82는 1982년에 개발되었으며, 4년 후에 개량형인 M82A1이 개발되었다.
[image]
1987년에는 M82A2가 개발되었으나 개량이라기보다는 불펍식으로 개조한 것으로 마치 맨패즈나 대전차 로켓처럼 어깨 위에 얹어 발사하는 식으로 바꿔 놓은 특이한 총기였으며, 양각대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대신 보조 손잡이가 달리고 더불어 개머리판의 형상도 어깨 위에 얹어서 쏠 수 있도록 바뀌었다. 저격용이 아니라 서서 헬리콥터를 겨냥해 쏘는 저렴한 견착식 대공화기(…) 개념으로 개발했으며 당연히 팔릴 리가 없었으므로 시망하고 얼마 안 가 생산 중지. 이후로는 일반적인 대물 저격총을 목적으로 한 정상적인 불펍식 대물 저격총인 Barrett XM500으로 이어지며, 그 중간 과정에서 M90와 M95라는 물건들도 있었다.[4]
M82A1은 피카티니 레일을 장착하는 등의 개조를 거쳐 아직도 꾸준히 사용되고 있다. 최신 개량형으로는 미 육군의 M107 LRSR이나 미 해병대의 M82A3 SASR[5] 이 있다. 이 둘은 거의 대동소이한 모델로, 총열을 줄인 M107CQ 모델도 있다. 독일에서도 H&K에서 라이선스 생산하여, G82(Gewehr의 머릿글자)로 사용한다.
대물 저격총이 대부분 그렇지만 강한 반동 덕에 반동 억제에 무척 신경을 쓴 편이다. M82의 상징과도 같은, 바렛 사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총구에 달린 납작한 화살촉 모양의 머즐 브레이크[6] 는 발사시 가스를 뒤쪽으로 뿜어내 반동을 크게 감소시켜주며, 탄을 발사할 때 총열이 후퇴하도록 하여 반동을 흡수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명중률이 저하된다는 이야기가 지배적이다.[7]
덕분에 유튜브 등에는 '''서서 들고 쏘는''' 동영상도 나돌고 있으며, 애초에 바리에이션 중 하나인 M82A2는 서서 쏘도록 만들어진 물건[8] 이었다.
심심하면 이렇게 아킴보로 M82를 쏴제끼는 사람도 있다.(…)
이런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서서 쏜다 해도 명중률은 기대할 수 없겠지만 반동은 서서 쏴도 버틸 수준이다. 물론 부담이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니고, 정상적으로 사격을 해도 큰 교전에서 30~40발씩 발사한 후에는 사수 입장에서 지쳐 쓰러지고 싶을 정도라고 한다. 또 쓰는 탄약이 탄약인지라 화염도 장난이 아니다.
래리 비커스(Larry Vickers)[9] 의 M82A1 소개영상.
바렛 M107을 최대한 빨리 쏘기.[10]
히스토리 채널의 Sniper: Inside the Crosshair에서 언급된 전투에 의하면 1마일 거리에서 아군에게 정찰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화력 지원을 하였다. 이 때 사용한 탄환은 Raufoss Mk. 211 탄환으로, 고폭탄과 장갑 관통 탄두가 혼합된 대물(對物) 탄환인 만큼 벽 뒤에 숨은 적도 자비 없이 박살내는 모습을 보여준다. 위에서 30~40발 이야기를 한 저격수가 바로 이 다큐멘터리에 나왔던 인물.
미국의 총기 규제가 자유로운 몇몇 주에서는 민간인도 구입 소지가 가능하다. 물론 총기 규제가 엄격한 주에서는 .50 BMG 관련 화기 자체가 판매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바렛을 비롯한 대물저격총을 사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테러에 사용될 것을 우려하여 미국 내에서도 규제를 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허나, 총기 규제가 자유로운 주에서도 이걸 사려면 1만 달러[11] 는 너끈히 지불해야 되니, M82의 마초한 매력에 어지간히 반하지 않으면 지를 엄두가 안 날 듯하다.
여담으로 L115A3가 2009년 세운 최장거리 저격 기록을 2012년 오스트레일리아군 저격수가 M82A1을 이용하여 2815m 거리에서 저격을 성공하며[12] 기록을 갱신하였다. L-115가 50구경이 아닌 3분의 1이나 약한 .338 라푸아 매그넘으로 기록을 달성한 것도 대단하지만 이 경우는 총열이 리시버에 제대로 붙어있는 M95도, 총열이 더 긴 M99도 아닌 '''총열이 후퇴하여 총열과 리시버가 따로 노는 구조 때문에 제대로 된 저격소총보다 집탄성에 불리한 것으로 알려진''' M82로[13] 기록을 세웠다는 것이다.
다만 이것은 '''비공식'''이라는 것을 명심하자. 아직까지도 이것에 대해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위키피디아에서는 전문가들의 불가능하다는 의견을 수용해 등재하지 않고 있으며 기네스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크레이그 헤리슨이 공식 기록을 유지 중이다. 이후 2017년 기준으로 캐나다 합동작전군(JTF-2) 저격수가 Tac-50으로 세운 3,450m기록이 최장거리 저격이 되었다.
[image]
요르단 특수부대에서 트럭에 바렛을 거치해 쓰는 게 공개되었다.#[14]
3. 종류
3.1. 초창기 모델
3.2. M82A1M
피카티니 레일 장착 등 M82 계열의 중도 개량형 버전.
3.3. M107
M82 계열의 최신 개량형 버전.
대한민국의 특수부대에서는 M82의 개량형인 M107을 해양경찰특공대[19] 와 해군 UDT/SEAL[20] 에서 도입했다. 대신 다른 부대에서는 영국제 볼트액션 AW50을 도입했다.[21]
3.4. XM109
[image]
XM307와 같은 규격의 25mm 유탄[22] 을 쓰는 저격총인 Barrett XM109도 계획되어 있었지만, 예산 등의 문제로 취소되었다.
4. 대중매체
대물 저격총 중에는 가장 유명한 총인데다가, 육중한 크기를 자랑하면서 잘빠진 디자인 덕분에 여기저기 등장이 많다. 일단 대물 저격총이 등장하면 열의 아홉은 M82 계열. 자세한 것은 Barrett M82/대중매체 항목을 참조.
5. 기타
일본의 에어소프트건 및 관련자료를 다루는 종합사이트인 '하이퍼 도락'이란 곳에서 매년 괌의 실탄 사격장에 들러 이런저런 총을 쏴 제끼는 이벤트를 개최하고 유튜브에 동영상을 업로드하는데,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게 M82A1.
게다가 가장 처음으로 참가한 여성 게스트였던 아이하라 미이[23] 가 '''메이드복을 입고 엎드려 쏴'''를 했던것이 임팩트가 있었기 때문인지 이후 참가한 여성 게스트들인 이츠야[24] 나 핏쵸리나(여성 서바이벌 게이머이자 유튜버)까지 메이드복을 입고 M82A1을 쐈다. 핏쵸리나의 언급에 의하면 '''메이드복은 이미 이 행사의 전통'''이라고(...)
에어소프트 건으로는 스노우울프와 소콤기어 그리고 택티컬 랜서 세 회사에서 출시되었는데 스노우울프는 성능은 중국제 치고는 괜찮다는 평이 있지만 내구성이 그리 좋지 않다는 사용자들의 아쉬움이 딸려나오는 제품이다.
(스노우 울프 제품은 실총과 크기가 다른 부분이 있는데 대표적인게 탄창길이 - 탄창 앞뒤 길이가 12.5cm밖에 안되는데 50 BMG탄의 길이만 13.8cm다. 14.5cm는 되어야 하는 부분.)
대만의 대구경 저격총 전문업체인 소콤기어는 아예 실총회사의 라이센스까지 받아서 만들었는데, 풀메탈 제작으로 '''12~13kg'''[25] 이라는 사용자들에게는 굉장히 무자비한 무게로 게임에는 들고다니가도 힘들정도로 만들어놨는데 이마저도 실총보다 가벼운 무게라고 한다. 이 제품을 들고 하루종일 뛸 수 있는 힘이나 체력이 없다면 방구석 슈팅용이나 관상용으로 써야 할 수밖에 없는 제품이다.
반자동을 재현하기 위해 전동건형식을 채택하여 출시했는데 이후 Co2형식을 채택한 '''탄피배출식'''제품을 출시했다. 탄피배출 재현도를 굉장히 잘 표현했다고 평가받는 제품이긴 하지만 탄걸림과 같은 기능고장이 빈번하고 높은 가격으로 인해 200만원 이상 호가하는 전동버전보다도 덜 풀린편이다.
현재는 소콤기어의 해당 총기회사 라이센스의 기간만료로 생산이 중단 된 상태다.
택티컬 랜서의 경우에는 총열빼고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서 가벼운데, 장전손잡이도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실수로 깨부숴먹기가 쉽다. 가스건으로 개조하면 좀 낫지만. 기본적인 아이언 사이트도 없어서 많이 심심하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저격용을 위해 특별히 개발된 탄.[2] 100야드당 3인치안에 들어간다… 이건 거의 일반 소총급이지만, '''기관총에서의 사용을 위해 생산된 탄약이 결코 저격용을 위해 개발된 탄약과 정밀도가 같을 수 없다.'''[3] 또 다른 이설로는 로니 바렛은 자신이 찍은 사진 중 해상을 초계하던 보트에 달린 M2를 보고 차고에서 이 총을 만들었다. [4] 이렇듯 바렛 사에서는 Barrett XM500 이전에도 M82A2 같은 특이한 물건뿐만 아니라 M90나 M95와 같은 일반적인 대물 저격총을 목적으로 한 불펍식 대물 저격총도 여러 번 만든 적이 있었는데, 그럼에도 Barrett XM500이 화제가 된 것은 볼트액션+불펍식 조합이었던 M90/M95와는 달리 M82와 같은 반자동+불펍식 조합이었기 때문인 듯하다.[5] Special Application Scoped Rifle, 특수 목적 망원조준경 장착 소총.[6] 기본적으로는 소염기지만 포구제퇴기의 역할도 겸한다. 컴펜세이터는 위쪽으로 뚫려 총구 앙등을 막는 장치이므로 컴펜세이터라고 볼 수는 없다.[7] 아래에도 나오겠지만 M82로도 저격 기록을 갱신하는 경우도 있다.[8] 이후로 서서 쏘는 .50구경 소총도 드물지만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게파드 GM6 링스나, 아직 개발 중이지만 Leader 50 같은 물건. 심지어 서서 쏘는 건 당연하고 무게가 5.5kg인 .50'''BMG'''권총도 쏠 수 있다. 앞으로 길이가 길어서 들고 쏘기 힘든 바렛에 비해, 이런 제품들은 불펍식 반동 억제 구조를 사용하여 무게 배분을 잘 해서 비교적 편하게 들고 쏠 수 있다.[9] 전직 미 육군 ''''티어1 특수부대인 델타포스''' 출신.[10] 참고로 현재까지 가장 빨랐던 '''본인의''' 시간 기록을 깼다. [11] 한국 돈으로 1천만 원이 넘는다. 웬만한 경차 한 대 장만할 가격이다.[12] 야드 단위로는 3000야드를 넘어서 3079야드를 돌파했다!![13] 다만 거리가 멀어질수록 탄환이 공기를 헤치며 이동해야 하는 거리도 멀어지므로 2km대의 초장거리 저격에는 탄의 중량이 무겁고 따라서 더 많은 운동 에너지를 가진 50구경이 더 유리할 수도 있다. 공기에 닿는 면적은 제곱의 개념(Width*Height)이지만 중량(=에너지)은 세제곱의 개념(W*H*Length)으로 늘어나기 때문. 그나마도 구 모양의 탄자를 기준으로 그런 개념인 거고, 실제 모양은 앞이 뾰족한 데다가 길쭉하므로 공기저항 대비 중량의 효과는 더 크다. 또한 탄약에 들어간 charge의 양 자체가 차이가 많이 나므로 운동에너지의 시작점도 다르다. 그런데 이미 유효 사거리(바렛:1800m, L-115A3 .338 라푸아 매그넘: 1500m)를 무려 1km가량 넘은 거리에서의 기록이므로, 직접 해당 샷을 기록한 저격수들에게 양 구경을 모두 써보게 하고 "어느 쪽이 더 쉬웠습니까?"라고 물어보지 않는 한 정확하게 알 길은 없을 것이다(…). 한마디로 라푸아 매그넘이나 7.62 NATO의 사거리 내에서는 50BMG보다 그 탄약들이 더 정밀도/집탄성이 높고 거리가 그 이상으로 멀어지면 50BMG의 탄도 안정성이 더 높아진다.[14] 전면전이 아닌 저강도 야전에서는 상당히 괜찮은 운용법이다. 경장갑차량까지는 격파할 수 있는 대물 저격총을 저격수와 함께 차량에 싣고 다니면 중기관총을 싣고 다니며 쏴 대는 것보다는 원거리에서 더 정확하게, 그리고 더 적은 총알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남아공의 NTW-20도 이렇게 운용하는 것을 전제로 뒀기에 중량을 전혀 신경 안 써서 무겁게 만들어졌다.[15] 대공사격용[16] M82A3과 다른 점은 M107은 M82A1과 A3의 장점을 합친 것으로 기존의 M82A3와는 다르게 피카니티 레일의 높이가 조금 낮아지고 탄피가 가끔 사수의 얼굴에 맞는 문제점을 고쳤다.[17] 근접한 거리에서의 사용을 위해 만들었다는 의미의 'CQ'가 이름에 붙은 바람에 근접전을 위해 만든 것이라 착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근접전을 위해서라기 보다는 휴대가 편하고 걸리적거리지 않도록 시가지에서의 사용을 위한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기관포처럼, 대물저격총은 엄폐물이 많은 시가지에서 유용하게 쓰인다.[18] 전반적으로 사막에서의 운용을 위한 색상으로 바뀌고, 개량된 소염기를 장착하고 있다.[19] 기본 M107 버전.[20] M107A1 버전, 소음기와 함께 도입.[21] AW50의 경우 해군 특수전전단, 707특임대, 경찰특공대 등지에서 사용되고 있다. 해군 특수전전단의 경우 바렛과 AW50 둘 다 도입했다.[22] 단, XM307와는 달리 스마트 유탄은 사용하지 않고 일반 유탄만을 사용했다.[23] 일본의 밀리돌(밀리터리+아이돌)의 시초라고 불리는 사람으로, 원래는 메이드 카페의 간판 점원이었다고 한다. 이후 우연히 접한 사격에 푹 빠져서 밀리돌로 활동하다 은퇴했다.[24] 사설 경호업체 출신으로 2014년도에 서바이벌 게임이 여성들에게 인기를 끌기 시작했을 때 여러 방송에 출연하면서 유명해졌다. 현재는 서바이벌 게임 관련 잡지에 기고하는 필진으로도 활동 중이다.[25] 실총과 무게가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