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767

 


[image]
[image]
1. 개요
2. 도입 경위
3. E-3와의 차이점
3.1. E-737과의 비교
4. 개량
4.1. RSIP(Radar System Improvement Program)
4.2. MCU(Mission Computing Upgrade)
5. 도입국 및 유지보수
6. 미디어 매체에서의 E-767
7. 둘러보기


1. 개요


일본 항공자위대조기경보통제기.

2. 도입 경위


1976년, 빅토르 벨렌코 중위 망명 사건 이후 일본의 저고도 방공망이 생각보다 허술하다는 것이 드러나자 일본 정부는 조기경보기의 도입을 서두르게 된다. 당시 항공자위대는 미공군에 배치되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도 않은 최신형 조기경보통제기 E-3A를 요구했으나 방위청(현 방위성)은 수출 허가가 떨어질리도 만무하며, 그런 대형기를 운영할 수 있는 항공자위대 비행장도 없고, 너무 비싸다는 점을 들어 거부하고 대신 미해군 함재기인 E-2 조기경보기를 구입해주었다.
약 20년 후인 1991년, NATO영국, 프랑스 등이 E-3를 도입하자 일본도 같이 E-3A 4기를 주문했다. 그러나 같은 해 베이스 기체인 보잉 707이 단종되어 주문을 보류했는데 이때 보잉이 더 체급이 큰 767을 베이스로 당시로서는 최신이었던 E-3C AWACS 시스템을 채워넣은 모델을 제안하였다. 대당 가격은 일본이 당초 예상했던 296억엔의 2배 수준인 569억엔으로 당장 도입이 취소돼도 할 말 없었으나 대장성(현 재무성)은 구매비용을 단 한푼도 깎지 않고 그대로 승인했다. 당시 막대한 대일무역적자로 불만을 쌓아두던 미국의 눈치를 보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이를 완화하고자 과감히 콜을 때린 것. 또한 이런 경제적·외교적 마찰 완화를 위한 목적이 아니었더라도 도쿄를 기준으로 약 2,000km 떨어진 센카쿠, 약 1,700km 정도 떨어진 오키노토리시마까지의 커버리지를 감안하면 대형기 도입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image]
보잉의 공장에서 조립되는 E-767

3. E-3와의 차이점


보잉 707로 만든 E-3 센트리와는 달리 베이스가 보잉 767-200ER 여객기를 기반으로 만들어 체공시간과 항속거리, 신뢰성, 조종성 등에서 우월하다. E-767 전용으로 제작된 AN/APY-2 레이더는 E-3 초기형의 AN/APY-1보다 더 빠르게 회전하며 높은 탐지력을 가지고 있고, 해상 목표 탐지 능력도 향상되었다. 작전고도 역시 더 높이 올라갈 수 있어 E-3E-737에 비하여 높은 작전능력을 보유한다. 또한 넓은 실내 덕분에 쾌적한 거주성과 함께 여러 편의시설이 있어 타국의 조기경보통제기와 비교해 임무지속력이 뛰어나다.
CC-2E 데이터 처리 컴퓨터는 E-3보다 5배 수준의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비행에 필요한 조종사 단 2명만 필요하기 때문에 4명 이상의 승무원이 탑승하는 E-3에 비해 운용이 용이하다.[1]
[image]
[image]
E-3 내부와의 비교. 콘솔이 한 줄 더 들어가고도 공간이 남아도는 것을 알 수 있다.
항공통제사는 19명, 작전시간은 9시간 내외로 공중 급유 역시 가능하며 콘솔에는 E-3보다 고해상도 총천연색 CRT모니터를 탑재하고, 소프트웨어 역시 운용자 친화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같은 작업 수행시 E-3 초기형에 비해서 60%정도 통제사가 하는 일이 줄어 더 높은 효율로 일할 수 있다고 한다.

3.1. E-737과의 비교


[image]
E-767을 국내의 E-737과 비교할 경우 탐지 거리/범위, 작전 고도, 항속 거리등에서 모두 우위를 점하는데다 여러 편의 시설 등과 넓은 실내공간으로 승무원 거주성도 더 뛰어나다. 두 기종의 베이스인 보잉 737은 중단거리 여객기인 반면 보잉 767은 대륙간 여행이 가능한 중장거리 여객기로 두 기종의 체급차를 고려하면 당연히 기초 성능은 E-737이 밀릴 수밖에 없다.
E-737가 집중탐색 모드를 사용할 경우 최대 740km를 탐지할 수 있어 평시의 E-767의 탐지거리에 근접할 수는 있지만 이마저 이를 쓰면 탐지범위가 30도에 불과할 정도로 좁아져 다른 방면의 탐지 소홀해 진다는 약점이 생기며[2] E-767도 BTH 탐지 모드에 들어갈 경우 평시의 800km를 훌쩍 넘는 거리를 탐지할 수 있다.[3]
두 조기경보기를 비교하자면 애초부터 레이더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콘솔수부터 차이가 나며[4] 콘솔이 더 많은만큼 E-767 측이 한번에 더 많은 비행기를 지휘/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E-737이 모든 면에서 밀리는 것은 아니다. 후대에 나온 기체인 만큼 항전장비와 기술적으로 더 선진체계를 도입한 것은 사실이며, 스캔 측면을 비롯 E-737이 E-767에 우위를 보이는 부분도 있다. 먼저 E-737의 이점을 꼽는다면 목표 추적시 복수의 빔을 쏴 동시에 탐색할 수 있고 스캔 갱신 속도 또한 E-767은 기계식[5] 방식이면서 회전식 레이더로 목표물을 보통 약 10초에 한번 꼴로 갱신하지만, E-737은 고정식 레이더로 추적 빔 조사시 추적 정보를 매 초마다 갱신이 가능하다. 이는 전술적으로 상당한 메리트를 갖는다. 또한 탐지 범위 내에서도 E-767의 APY-2 레이더는 S밴드 수동 위상배열 레이더 1기가 지향하는 영역으로 에너지가 집중되어 동시 스캔이 힘든 반면, E-737의 MESA 레이더는 L밴드 능동위상 배열 안테나 2기가 더욱 넓은 영역으로 에너지를 분산시켜 다수의 로브를 송출하고 모든 스캔구역을 동시에 탐색할 수 있다. 즉, 범위 내 공중표적에 대한 동시탐지와 식별 갱신 주기면에서 E-737의 MESA 레이더는 분명히 E-767의 APY-2 레이더보다 우위를 갖는다. 또한 아무래도 체급이 작은만큼 767보다 유지비/인력이 더 적게 든다는 점도 있다.
결론적으로 E-767이 기본적인 체급과 콘솔 수를 포함해 전반적인 성능상 우위에 있는 것은 맞지만, E-737이 신형이기에 항전장비 등 나은 부분도 일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국이 노후화된 E-3[6] 후계기로 E-737을 선택했고 NATO도 E-3 노후기종 교체 시 E-737을 유력하게 고려하고 있는 배경에는 이런 측면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이유로는 E-3 계열이 단종 되어버린 것이지만, 군사적 목표 달성에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 제품이라고 생각하지 않으면 선택하기 어렵다.

4. 개량


[image]
미국과 유럽이 보유한 E-3 AWACS 시스템의 Block 40/45 사양 개량 계획에 맞춰서 일본도 E-767의 개량을 진행하고 있고 주요 사항은 아래와 같다.#
미공군기의 개량 및 수명 연장 프로그램을 맡고 있는 USAF 수명주기관리센터(Life Cycle Management Center)에 따르면 E-767들은 2019년부터 미국 보잉 공장에 순차 반입되어 2022년 말까지 업그레이드가 완료될 예정이다.#

4.1. RSIP(Radar System Improvement Program)


  • 레이더 감도 및 ECCM(對전자전) 능력 향상
  • 기존 데이터 처리 컴퓨터를 높은 신뢰성과 성능을 가진 다중코어 프로세서 컴퓨터로 교체
  • 소프트웨어, 레이더 제어판 업그레이드
  • 데이터링크 설치

4.2. MCU(Mission Computing Upgrade)


  • ESM 시스템[7] 설치
  • 중앙계산처리장치 교체
  • 차세대 피아/표적 식별 장치 설치
  • 다중 정보 통합 능력 부여
  • 항공기 내비게이션 개량

5. 도입국 및 유지보수


도입국은 일본이 유일하다.
우리나라 공군도 도입을 추진하다 IMF의 영향으로 취소했고 그 사이에 B-767과 AN/APY-2 레이더가 단종돼 어쩔 수 없이 E-737로 선회하였다. 당시 우리나라 말고도 대만, 호주도 도입에 관심을 보이고 있었고 미공군에게도 제안되었으며, 보잉 측에선 20대는 팔 수 있다고 예측했다.
그나마 E-767의 도입으로 항공자위대는 KC-767, C-2대형기 엔진을 모두 통일 시켜 정비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었고, 미국이 최근 767 기반 차기 공중급유기를 선정했기 때문에, 단일 운용국 치고는 향후 수십 년간 부품 공급도 원활할 전망이다.
'''한편 미공군도 B-767 베이스로 차기 AWACS를 만들려고 했는데..'''

6. 미디어 매체에서의 E-767


  • 에이스 컴뱃 시리즈 - 에이스 컴뱃 시리즈내 조기경보기들은 어지간하면 모두 E-767들이다. 아무래도 일본 게임이다 보니, 자국이 쓰고있는 이 기종이 라이센스 문제등에 있어서 유리했던 것으로 보여진다.[8]

7. 둘러보기





[1] 나중에 미국의 E-3도 AN/APY-2 레이더와 CC-2E를 탑재한 Block 30/35 사양으로 개량됐다.[2] 그러나 전체모드와 집중조사모드를 번갈아 쓰는 방식 등으로 융통성 있는 운용방식을 통해 어느정도 커버할 수 있다.[3] 정확한 수치는 기밀이라 공개되지 않았다.[4] E-767의 콘솔 수는 14~16개, E-737의 콘솔 수는 10개이다.[5] 정확히 말하자면 PESA로 수동형 전자 주사 방식.[6] E-767과 내부 시스템이 동일.[7] E-737 것의 파생형[8] 반대로 라이벌 H.A.W.X. 시리즈에서는 E-3가 주역으로서 줄창 굴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