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

 

[image]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
'''영문 명칭'''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Korea
(2015~2020)[1]
'''지역'''
[image] 대한민국
'''운영 주체'''

'''컬러'''

'''약칭'''
'''CK'''
'''스폰서'''

'''국내 송출
플랫폼'''


'''경기장'''
신도림 나이스게임TV 스튜디오(2016)
프릭업 스튜디오(2017~2020)
'''링크'''

1. 개요
2. 개편 전 NLB와의 차이점
3. 폐지 및 LCK CL 신설
4. 진행방식
4.1. 2015 스프링
4.2. 2015 서머
4.3. 2016 스프링
4.4. 2016 서머
4.5. 2017 시즌
4.6. 2018 시즌~2020 스프링
4.7. 2020 서머
5. 역대 시즌 일람
7. 참가팀
8. 역대 입상팀
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라이엇 게임즈에서 주최하고 나이스게임TV[2]에서 주관 운영, 아프리카TV[3]에서 방송했던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 리그. 공식적인 약칭은 CK.[4]
2015 시즌부터 2020 시즌까지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의 최상위 프로 리그인 LCK의 2부 리그였으며, '''2021년부터 LCK프랜차이즈제가 도입되면서 2020 서머를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폐지되기 전에는 LCK와 연계해 프로 플레이어의 등용문이 되는 단계로, 프로를 꿈꾸는 팀들에게 보다 많은 참여와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었던 리그다. CK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상위 팀은 승강제에 따라 상위 리그인 LCK 참가를 놓고 펼치는 승강전에 도전할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2. 개편 전 NLB와의 차이점


챌린저스 코리아가 개최되기 전에는 NLB를 롤챔스의 2부리그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NLB는 엄밀히 말해서 2부리그가 아니라 롤챔스 탈락팀의 패자 토너먼트 또는 번외대회였다. 왜냐하면 NLB는 16강(골드리그) 이후에는 롤챔스와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롤챔스 탈락팀을 대상으로 대회를 치렀으며, 롤챔스 본선 진출팀 12팀 중 8팀/16팀 중 12팀이 참여하는 만큼 2부리그라는 말이 무색하게 롤챔스에서 봤던 팀을 또 보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5] 또한 차기 롤챔스 본선 또는 2차 예선 시드도 어디까지나 이전 롤챔스의 성적이 어땠느냐에 따라 결정될 뿐 NLB와 롤챔스 사이의 승강전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NLB에서 우승 외의 성적을 거둘 경우는 차기 롤챔스와 아무런 연관이 없었다. NLB에서 우승할 경우 롤챔스 본선 시드를 주기는 했지만 롤챔스 8강에서 탈락하여 이미 롤챔스 시드를 확보한 4팀 중 1팀이 NLB를 우승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 경우 롤챔스 본선 시드가 차순위에게 승계되는 것도 아니라서 실질적인 의미는 거의 없었다.
이후 LCK가 리그제로 바뀌게 되면서 제대로 된 2부리그의 필요성이 대두되자 NLB의 뒤를 이어 챌린저스 코리아가 탄생하게 되었다. 챌린저스 코리아는 LCK와 참가팀이 겹치지 않고, 동시에 대회가 진행되며, 승강전이 시행되는 제대로 된 2부리그로 볼 수 있다.

3. 폐지 및 LCK CL 신설


2021년부터 LCK프랜차이즈제가 도입되면서 기존 2부 리그였던 CK와 LCK 승강전이 폐지되고 2군 리그인 LCK Challengers League가 탄생하게 되었다.
비록 CK는 폐지되지만, LCK 승강전을 통해 승격한 아프리카 프릭스, 담원 게이밍, 샌드박스 게이밍, 팀 다이나믹스와 기존 CK 소속이었던 하이프레시 블레이드가 프랜차이즈 심사를 통과해 LCK에 합류하게 되었다.
특히 CK가 폐지되는 2020년, CK 예선부터 출발한 담원 게이밍이 CK 출신 팀으로써 사상 첫 LCK 우승 및 롤드컵 우승이라는 금자탑을 세우며 CK는 리그의 가치를 증명하고 명예롭게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4. 진행방식



4.1. 2015 스프링


2015 스프링 시즌의 경우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차 토너먼트에서는 챔피언스 시드 선발전에서 탈락한 Xenics ModslookPrime ITENJOY 2팀, 나이스게임TV에서 주최중인 클랜배틀 윈터 상위 2팀, 2014년 12월 중순에 펼쳐지는 선발전에서 통과한 12팀, 총 16개 팀이 참여했으며, 2차 토너먼트에서는 1차 토너먼트 상위 4팀인 Anarchy, Winners, Quvic, OverWM과 선발전을 통과한 12팀이 참여하였다. 토너먼트 최상위 4팀은 롤챔스 코리아 최하위 2팀과 함께 서머 시즌부터 10개 팀으로 확대되는 롤챔스 코리아와의 승강전에 참여하여 그 중 4팀이 롤챔스 코리아 시드를 획득하였다.

4.2. 2015 서머


2015 서머 시즌에는 준프로팀을 대상으로 하는 리그1과 기존 프로팀의 예비 선수가 참가하는 리그2의 2가지 대회를 같이 개최했다.
리그1은 클랜배틀 우승팀, 승강전 탈락팀 Winners에게 시드를 주고 오프라인 예선에서 4팀을 선발하여 6팀 풀리그 방식, 리그2는 롤챔스 서머 본선 참가팀 중 6개팀이 참가하여 풀리그 방식으로 대결하고, 두 대회 모두에서 포스트시즌이 추가되어 리그 종료 후 리그 3위와 2위가 대결한 후 승리한 팀과 1위팀이 결승전을 진행했다.

4.3. 2016 스프링


2군리그가 사라졌고, 참가팀 수가 8팀으로 늘어났으며, 모든 경기를 오프라인으로 진행하도록 변경. 작년 승강전에서 챌린저스 팀들이 무대 울렁증에 본래 실력의 반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보고 내린 조치라고.[6]

4.4. 2016 서머


ESC EverMVP가 승급해 최초로 강등팀이 출전하는 시즌.
오프라인 무대는 유지되고, 롤챔스와 같은 방식으로 3판 2선승 제도를 도입했다.

4.5. 2017 시즌


경기 수가 두 배로 늘어 팀 당 14경기를 치른다.
롤챔스와 마찬가지로 밴 개수가 기존 6개에서 10개로 변경되어 밴픽 과정이 변화했다. 세계 최초로 공식 대회에 10밴이 도입되었다.

4.6. 2018 시즌~2020 스프링


기본적인 진행 방식은 2라운드 3전 2선승 8개팀 풀리그로 동일하나 정규시즌 1위팀에게 혜택을 더 주기 위해 포스트시즌 방식이 변경되었다. 정규 시즌 1위는 LCK 승강전에 자동으로 진출하고, 2~5위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해 4강 싱글 토너먼트로 다른 승강전 진출팀을 가린다.

4.7. 2020 서머


앞선 시즌과 마찬가지로 정규 시즌 진행 방식은 2라운드 3전 2선승 8개팀 풀리그로 동일하나 2021 LCK 프랜차이즈화로 인해 CK가 폐지되기 때문에 LCK 승강전행 팀을 가릴 필요가 없어졌다. 그래서 포스트시즌 방식이 또 변경되었는데, 3,4위팀이 플레이오프를 진행, 승자팀이 준결승전에서 2위팀을 만나서 승자를 가리고, 마지막으로 정규 시즌 1위 팀과 준결승전 승자가 결승전을 치러 시즌 우승팀을 가리는 방식이 되었다.
이번 포스트시즌은 전부 5판 3선승제로 진행되는데, 롤챔스 포스트시즌에서 4/5위의 3전제 와일드카드를 뺀 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5. 역대 시즌 일람



6. LCK 승강전





7. 참가팀




8. 역대 입상팀


'''시즌'''
'''우승'''
'''준우승'''
2015 스프링 1차
Anarchy
Winners
2015 스프링 2차
Winners
Xenics Modslook
2015 서머 리그 1
Dark Wolves
Ever
2015 서머 리그 2
Jin Air Greenwings
Longzhu IM
2016 스프링
ESC Ever
MVP
2016 서머
KONGDOO MONSTER
SBENU KOREA
2017 스프링
Ever8 Winners
CJ Entus
2017 서머
CJ Entus
KONGDOO MONSTER
'''리그 포맷 변화'''[7]
'''정규 시즌 우승'''
'''플레이오프 승리팀'''
2018 스프링
Griffin
Ever8 Winners
2018 서머
DAMWON Gaming
Team BattleComics
2019 스프링
ES Sharks
VSG
2019 서머
Team Dynamics
APK Prince
2020 스프링
SEORABEOL Gaming
Team Dynamics
'''리그 포맷 변화'''[8]
'''우승'''
'''준우승'''
2020 서머
AWESOME SPEAR
Jin Air Greenwings
'''리그 폐지'''
'''종합'''
''''''
'''우승'''
'''준우승'''
'''우승 연도'''
'''준우승 연도'''

'''2회'''
'''2회'''
2015 스프링 2차[W], 2017 스프링[E]
2015 스프링 1차[W], 2018 스프링[E]

'''2회'''
1회
2016 스프링[9], 2020 스프링[10]
2015 서머 리그 1[11]

'''2회'''
1회
2019 스프링[12], 2019 서머
2020 스프링

1회
1회
2016 서머[K]
2017 서머[K]

1회
1회
2017 서머
2017 스프링

1회
1회
2015 서머 리그 2
2020 서머

1회
-
2015 스프링 1차[13]
-

1회
-
2015 서머 리그 1
-

1회
-
2018 스프링
-

1회
-
2018 서머
-

1회
-
2020 서머
-

-
1회
-
2015 스프링 2차[14]

-
1회
-
2015 서머 리그 2[15]

-
1회
-
2016 스프링

-
1회
-
2016 서머

-
1회
-
2018 서머[16]

-
1회
-
2019 스프링

-
1회
-
2019 서머[17]

9. 관련 문서



[1] 2021년 상위리그인 LCK 프랜차이즈 도입으로 폐지됨.[2] 2017년 시즌 이전에는 주관 방송까지 했었다.[3] 2017년 시즌부터.[4] LCS의 하부 리그인 챌린저 시리즈의 약칭이 CS인데, 이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5] 굳이 따지자면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하지 못한 팀들과 챔피언스 리그에서 탈락한 팀들이 합류하여 치르는 UEFA 유로파 리그를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것이다.[6] 당시에는 실력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무대 울렁증 핑계를 댄다며 비꼬는 반응이 많았지만 이후 챌린저스 리그 참가팀의 수준이 아마추어 집단에서 정식 스폰서의 후원을 받으며 코칭 스태프의 지도 하에 합숙 생활도 하는 준프로 수준으로 크게 상승했고 그 결과 중 하나가 2018 서머 승격 후 2018 서머, 2019 스프링, 2019 서머 준우승, 2019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빛나는 Griffin, 2019 스프링 승격 후 4시즌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 2019 월드 챔피언십 진출, '''2020 서머 우승''', '''2020 월드 챔피언십 우승'''에 빛나는 DAMWON Gaming의 등장이다. [7] 2018 스프링부터 결승전이 사라지고 정규시즌 1위팀이 승강전 직행, 2~5위팀 플레이오프로 추가 진출팀 결정.[8] 2021 LCK 프랜차이즈화로 인해 승강전이 폐지됨으로써 마지막 CK는 정규시즌 결과가 아니라, 포스트시즌을 통해 리그 우승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된다.[W] A B Winners 시절.[E] A B Ever8 Winners 시절.[9] ESC Ever 시절.[10] SEORABEOL Gaming 시절.[11] Ever 시절.[12] ES Sharks 시절.[K] A B KONGDOO MONSTER 시절.[13] Anarchy 시절.[14] Xenics Modslook 시절.[15] Longzhu IM 시절.[16] Team BattleComics 시절.[17] APK Prince 시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