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
[clearfix]
1. 개요
읽기 7급, 쓰기 6급에 해당하는 한자로, 부수는 열 십(十)이다. 기본적으로는 일천(1000, 103)이라는 뜻이 있다. 그 외에도 밭두둑, 밭두렁, 그네(=韆)라는 뜻이 있다. 형성자로, 韆(천)의 간체자이다. 뜻을 나타내는 한 일(一)과 음을 나타내는 人(인)[1] 의 뜻을 합하여 천을 뜻하게 되었다.
2. 용례
2.1. 단어
- 당천(當千)
- 도천수대비가(禱千手大悲歌)
- 만천(萬千)
- 백천(百千)
- 삼천(三千)
- 수천(數千)
- 일만이천봉(一萬二千峯)
- 천객(千客)
- 천고(千古)
- 천관(千官)
- 천군(千軍)
- 천근(千斤)
- 천금(千金)
- 천년(千年)
- 천년왕국(千年王國)
- 천려(千慮)
- 천리(千里)
- 천리마(千里馬), 천리수(千里水), 천리포(千里脯)
- 천만(千萬)
- 천병(千兵)
- 천보총(千步銃)
- 천부당(千不當)
- 천분율(千分率)
- 천불(千佛)
- 천세(千歲)
- 천수경(千壽慶/千手經)
- 천수관음(千手觀音)
- 천승(千乘)
- 천억(千億)
- 천엽(千葉)
- 천인(千仞)
- 천자(千字)
- 천자문(千字文)
- 천재(千載)
- 천추(千秋)
2.2. 인명
천(성씨) 참조.
- 모리타카 치사토(森高 千里)
- 모리나가 치토세(森永 千才)
- 사이토 치와(斎藤 千和)
- 센본기 사야카(千本木 彩花)
- 스가누마 치사(菅沼 千紗)
- 잇키 치히로(一木 千洋)
- 치스가 하루카(千菅 春香)
2.3. 지명
2.4. 고사성어/숙어
- 일기당천(一騎當千)
- 일사천리(一瀉千里)
- 천객만래(千客萬來)
- 천군만마(千軍萬馬)
- 천려일실(千慮一失)
- 천만다행(千萬多幸)
- 천산만수(千山萬水)
- 천신만고(千辛萬苦)
- 천차만별(千差萬別)
- 천촌만락(千村萬落)
- 천편일률(千篇一律)
2.5. 그 밖에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 千客万来☆無問題!
- 千年の独奏歌
- 千年ノ理
- 千年戦争アイギス
- 천리마(千里馬): 기타 천리마 운동 등 제목에 '천리마'가 포함된 항목은 모두 이 항목 참조.
- 천리장성(千里長城)
- 천본앵(千本桜)
- 천본앵(VOCALOID 오리지널 곡)
- 천불산역(千佛山驛)
- 천불천탑(千佛千塔)
- 천수관음(千手觀音)
- 천호대교(千戶大橋)
- 천호대로(千戶大路)
- 천호역(千戶驛)
- 천호제(千戶制)
3.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干(방패 간)
[1] 원래 人은 亻 모양이었다. 현재도 부수로써 쓰일 땐 이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