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
[image]
一의 필순 [1]
[clearfix]
1과 그 서수를 나타내는 한자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한자 중 하나이다.
자형이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한자를 공부할 때 가장 먼저 배우는 글자 중 하나이며, 한자를 부수 순으로 배열한 한자 사전에서 맨 첫 번째로 나오는 글자이기도 하다. 아무리 한자를 모르는 사람이라도 모두들 알고 있으며, 심지어 한자와는 전혀 상관없는 삶을 사는 '''서양인들'''도 상식으로 은근히 알기도 한다. 그냥 글자 자체가 획수 하나로 선 하나를 찍 그은 거니까.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유니코드에는 U+4E00에 배당되어 있고,[7] 주음부호로는 ㄧ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一(M)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가장 낮은 단계인 8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위조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갖은자에서는 壹이라고 쓴다. 옛날 지폐나 수표, 어음 같은 증권 문서 등에서 이 한자를 볼 수 있다.
일본의 남성 인명에는 一(いち)로 끝나는 것이 많으며, 이럴 때는 보통 첫째 아들임을 의미한다. 인명에서는 いち, いつ, ひと 등뿐만 아니라 かず, はじめ, つい 등으로 읽히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방 번호 혹은 전화번호 등을 부를 때 야오(yāo)라고 부른다.
아래 외에도 굉장히 많다.
一의 필순 [1]
[clearfix]
1. 개요
1과 그 서수를 나타내는 한자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한자 중 하나이다.
자형이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한자를 공부할 때 가장 먼저 배우는 글자 중 하나이며, 한자를 부수 순으로 배열한 한자 사전에서 맨 첫 번째로 나오는 글자이기도 하다. 아무리 한자를 모르는 사람이라도 모두들 알고 있으며, 심지어 한자와는 전혀 상관없는 삶을 사는 '''서양인들'''도 상식으로 은근히 알기도 한다. 그냥 글자 자체가 획수 하나로 선 하나를 찍 그은 거니까.
1.1. 상세 정보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유니코드에는 U+4E00에 배당되어 있고,[7] 주음부호로는 ㄧ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一(M)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가장 낮은 단계인 8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위조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갖은자에서는 壹이라고 쓴다. 옛날 지폐나 수표, 어음 같은 증권 문서 등에서 이 한자를 볼 수 있다.
일본의 남성 인명에는 一(いち)로 끝나는 것이 많으며, 이럴 때는 보통 첫째 아들임을 의미한다. 인명에서는 いち, いつ, ひと 등뿐만 아니라 かず, はじめ, つい 등으로 읽히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방 번호 혹은 전화번호 등을 부를 때 야오(yāo)라고 부른다.
1.2. 이체자
- 壱(유니코드 58F1, 士부 4획, GBP(土月心))
- 壹(유니코드 58F9, 士부 9획, GBMT(土月一廿))
- 弌(유니코드 5F0C, 弋부 1획, IPM(戈心一))
2. 용례
- 균일(均一)
- 금일봉(金一封)
- 단일(單一)
- 동일(同一)
- 동일시(同一視), 동일체(同一體)
- 만일(萬一)
- 삼일절(三一節)
- 유일(唯一)
- 유일(惟一)
- 일가(一家)
- 일가족(一家族), 일가화목(一家和睦)
- 일각(一刻)
- 일각(一角)
- 일갈(一喝)
- 일개(一介)
- 일거(一擧)
- 일관성(一貫性)
- 일괄(一括)
- 일괄적(一括的)
- 일금(一金)
- 일년(一年)
- 일념(一念)
- 일단(一團 / 一旦 / 一端)
- 일단락(一段落)
- 일당백(一當百)
- 일대(一代 / 一帶)
- 일동(一同)
- 일련(一連)
- 일로(一路)
- 일률적(一律的)
- 일리(一理)
- 일말(一抹)
- 일명(一名)
- 일반(一般)
- 일방(一方)
- 일방적(一方的)
- 일변도(一邊倒)
- 일병(一兵)
- 일부(一部)
- 일색(一色)
- 일생(一生)
- 일소(一掃)
- 일순간(一瞬間)
- 일시불(一時拂)
- 일시적(一時的)
- 일심(一心)
- 일원(一員 / 一圓)
- 일일(一一)
- 일임(一任)
- 일절(一切)
- 일정(一定)
- 일제(一齊)
- 일종(一種)
- 일주(一週)
- 일주일(一週日)
- 일지춘(一枝春)
- 일차(一次)
- 일체(一切)
- 일축(一蹴)
- 일치(一致)
- 거국일치(擧國一致), 불일치(不一致)
- 일침(一鍼)
- 일환(一環)
- 일회성(一回性)
- 제일(第一)
- 진일보(進一步)
- 통일(統一)
- 획일(劃一)
- 획일적(劃一的)
2.1. 고사성어
- 구우일모(九牛一毛)
- 일거양득(一擧兩得)
- 일사천리(一瀉千里)
- 일석이조(一石二鳥)
- 일언반구(一言半句)
- 일장춘몽(一場春夢)
- 정문일침(頂門一針)
- 천재일우(千載一遇)
- 일망타진(一網打盡)
- 일이관지 (一以貫之)
2.2. 인명, 지명, 캐릭터명, 작품명 등
아래 외에도 굉장히 많다.
- 이치 계열 : 코이치, 신이치, 준이치, 류이치, 이치로, 이치류 등
- 하지메
- 쿠로사키 이치고 (黑崎一護) 얘는 이름부터가 숫자와 관련이 있다(一五, 15라던지...).
- 오다 에이이치로 (尾田栄一郎)
- 오리무라 이치카 (織斑一夏)
- 이치노세 시키(一ノ瀬 志希)
- 잇키 치히로(一木 千洋)
- 마츠노 이치마츠 (松野一松)
- 마쿠노우치 잇포 (幕之内一歩, 전일보)
- 코이즈미 이츠키 (古泉一樹)
- 고이즈미 준이치로 (小泉純一郎)
- 긴다이치 하지메 (金田一一, 김전일)
- 사이토 하지메 (斎藤一)
- 타네무라 코우이치 (種村孝一)
- 니시자와 카즈키 (西沢一樹)
- 히토츠이 하지메 (一一一) 한자가 강희자전 부수 순서로 배당되어 있는 유니코드 기준으로 정렬하면 한자로 된 인명 중 가장 앞에 온다.
- 모치즈키 신이치 (望月新一)
- 요시다 카즈미 (吉田一美)
- 오츠이치 (乙一)
- 나카노 이치카 (中野一花)
- 우타카네 요츠코 (一二三四五) : 1부터 5까지로 되어 있는 별난 이름 때문에 별난 의미로 화제가 되었다고 한다.
- 쿠로보시 하지메 (黑星一) 라이브 온 카드리버의 주인공인 은우랑의 친구. 국내명은 하성일.
- 카부라기 잇사 (鏑木 一差)
- (여자)아이들의 노래 한(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