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如'''같을 여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6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ジョ, ニョ
'''일본어 훈독'''
''ごと-し, し-く''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image]
如의 필순

[clearfix]

1. 개요


'''같을 여'''
뜻을 나타내는 (입 구)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계집 녀)로 구성된 형성자이다.
"~과 같다(~과 유사함)"라는 뜻을 나타내며 '동등', '평등'이란 단어에서 쓰는 '같다'라는 의미는 아니다. 영어로 뜻을 설명하자면 same, equal이 아닌 like.
때문에 여성가족부의 여가 같을 여라면서 평등을 나타낸다는 소리는 개소리가 맞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 같다
'''음''' : 여
'''일본어'''
'''음독''' : ニョ·ジョ
'''훈독''' : ごとく·しく·ゆく
'''중국어'''
'''표준어''' : rú
광동어 : jyu4
객가어 : yì
민동어 : ṳ̀
민남어 : jû[1] / lû[2]
ㅇㅎ어 : zr (T3)
'''베트남어'''
như
유니코드에는 U+5982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ㄖㄨˊ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女口(VR)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4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恩高'''如'''天 德厚似地

은혜가 높기는 하늘과 '''같고''', 덕이 두텁기는 땅과 같도다. - 사자소학(四字小學)

일본어로는 '-처럼'이라는 표현을 문어적으로 如く(ごとく)이라고 쓴다. 한국어에서 '-처럼'보다 '-와 같이'가 조금 더 문어적인 것과 약간 비슷하다면 비슷할 듯? 한국어에서는 더욱 문어적 표현으로 '-와 여하다'를 쓰기도 하였다. 하야테처럼!(ハヤテのごとく!)이 이 단어를 쓴 제목의 예. 한편 しく라고 읽으면 '-에 필적하다'의 뜻이 되는데, 주로 부정형으로 쓰이는 듯하다. '백문이 불여(如)일견'도 일본어로는 '百聞は一見に如(し)かず'라고 읽는다.

3. 용례



3.1. 단어


  • 결여(缺如)
  • 여간(如干) - 여간해서는
  • 여반장(如反掌): 손바닥을 뒤집는 것처럼 매우 쉽다
  • 여전(如前) - 여전히
  • 여차(如此) - 여차하면
  • 하여가(何如歌)
  • 혹여(或如) - 혹여나
'행여나', '행여라도'와 같이 쓰이는 '행여'는 如를 쓰는 게 아니라 (다행 행)을 써서 '幸여'로 쓴다.

3.2. 고사성어/숙어


  • 견금여석(見金如石) - 황금을 보기를 돌 '같이' 하라는 뜻이다. 최영 장군의 말로 유명하고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의 가사에도 등장하는 말이다.
  • 여리박빙(如履薄氷) - 박빙이란 단어의 유래가 되는 말이다.
  •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 - 하루가 마치 세 번의 가을, 즉 3년과 '같이' 느껴진다는 뜻이다.
  • 지지자 불여호지자 호지자 불여락지자(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

3.3. 인명


如는 문법적인 기능을 하는 한자이다 보니 인명이나 지명 같은 고유명사에는 잘 쓰이지 않는 편이나 그래도 굳이 찾아보자면 사례가 꽤 나온다. 대부분 如 다음에 좋은 의미를 가진 한자를 쓰는 식으로 '~같은 자'라는 풀이를 갖게 한다.

3.4. 지명


  • 루가오 시(如皋市) - 중국의 행정구역.
  • 반여동(盤如洞)
  • 여운리(如雲里)

[1] 가오슝 등[2] 타이베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