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號'''이름 호
'''부수
나머지 획수'''

, 7획
'''총 획수'''
13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일본어 음독'''
ゴウ
'''일본어 훈독'''
-
'''간체자'''

'''표준 중국어 독음'''
háo, hào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뜻
4. 모양 및 기원
5. 용례

[clearfix]

1. 개요


부르짖을 호
부르다 등의 뜻을 가진 한자.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부르짖다
'''음''': 호
'''일본어'''
'''음독''': ゴウ
'''훈독''': さけぶ
'''중국어'''
'''표준어''': hào
광동어: hou6
객가어: ho
민동어: hô̤
민남어: hō / hō͘ / kō[남부방언] / ho7 / hao1[동부방언]
오어: hho (T3)
'''베트남어'''
hào, hiệu
유니코드는 U+865F에 배정되어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口尸卜心弓 (RSYPN) 또는 口尸卜心山 (RSYPU)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ㄏㄠˋ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선 6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3. 뜻


부르다, 호칭하다 등 신호 행위와 관련된 뜻을 갖고 있다.
수사 뒤에 접미사로 붙을 시 차례나 순번을 의미한다. (ex. 1號 차 버스)
배, 비행기, 기차 등의 탈것의 고유명칭 뒤에 붙이기도 한다. (ex. 새마을號 등)
단독으로 쓰이는 단어로 아호라는 뜻이 있다.

4. 모양 및 기원


형성자로 号 + (범 호)가 붙은 형상을 띠고 있다.
신자체와 간체자는 모두 号로 간략화시켰다. 号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한자가 아니고, 号를 구성자로 갖는 한자가 號 외에는 거의 없고 잘 사용되지 않는 한자라는 점에서[1] 號는 号에 대한 대표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5. 용례


단어

'''인명'''

'''지명'''

'''창작물'''

[남부방언] [동부방언] [1] 실제로 전 한자를 통틀어 號를 제외하고 号가 포함된 한자는 枵, 鴞, 饕, 飸, 䪽, 呺, 㙱, 㞻 이 8개가 전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