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近'''가까울 근
'''부수
나머지 획수'''

, 4획
'''총 획수'''
8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ン, ''コン''
'''일본어 훈독'''
ちか-い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jìn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clearfix]


1.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 가깝다
'''음''' : 근
'''일본어'''
'''음독''' : キン·こん
'''훈독''' : ちか-い
'''중국어'''
'''표준어''' : jìn
광동어 : kan5[1] / gan6[2]
객가어: khiun / khiûn
민동어: gê̤ṳng
민남어 : kūn[3], kīn[4]
오어 : jjin (T3)
'''베트남어'''
cận
유니코드에는 U+8FD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HML(卜竹一中)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6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뜻을 나타내는 (쉬엄쉬엄갈 착)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도끼 근)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2. 용례



2.1. 단어


  • 근간(近間)
  • 근거리(近距離)
  • 근경(近景)
  • 근교(近郊)
  • 근년(近年)
  • 근대(近代)
    • 근대국가(近代國家), 근대문학(近代文學), 근대사(近代史), 근대사회(近代社會), 근대소설(近代小說), 근대화(近代化), 전근대(前近代)
  • 근동(近東)
  • 근래(近來)
  • 근린(近隣)
    • 근린공원(近隣公園)
  • 근세(近世)
  • 근시(近視)
  • 근인(近因)
  • 근일점(近日點)
  • 근접(近接)
  • 근지점(近地點)
  • 근처(近處)
  • 근체시(近體詩)
  • 근친(近親)
  • 근칭(近稱)
  • 근해(近海)
  • 근황(近況)
  • 부근(附近)
  • 원근(遠近)
  • 인근(隣近)
  • 점근선(漸近線)
  • 접근(接近)
  • 지근(至近)
  • 최근(最近)
  • 측근(側近)
  • 친근(親近)
    • 친근감(親近感)

2.2. 고사성어/숙어



2.3. 인명



2.4. 지명



2.5. 창작물



3. 상대자




[1] 백독[2] 문독[3] 타이베이 등[4] 가오슝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