開
[clearfix]
1. 개요
'''열 개(開).''' 열다, 시작하다, 피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선 U+958B, 한자검정시험에선 6급에 배정되어있다.
문의 모양을 본뜬 門(문 문), 빗장을 나타내는 一, 두 손을 나타내는 廾(받들 공)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즉 문에 있는 빗장을 여는 모습에서 '열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중국의 간체자에서는 門 자가 들어간 한자는 대체로 閉(닫을 폐) → 闭, 間(사이 간) → 间처럼 門이 门으로 바뀐다. 그러나 開 자는 예외적으로 门+开의 형태 대신 开 자체만을 간체자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한자로는 關(빗장 관)→关이 있는데(신자체의 関 참고), 두 글자 모두 門 자 안에 있는 글자가 그 자체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2.1. 유의자
2.2. 반대자
2.3. 모양이 비슷한 한자
- 閣(집 각)
 - 間(사이 간)
 - 闕(대궐 궐)
 - 閭(마을 려)
 - 聞(들을 문)
 - 問(물을 문)
 - 悶(답답할 민)
 - 閔(위문할 민)
 - 閥(문벌 벌)
 - 闢(열 벽)
 - 閃(빛날 섬, 번쩍일 섬)
 - 閼(가로막을 알)
 - 闇(어두울 암)
 - 閱(볼 열)
 - 閻(마을 염)
 - 闡(열 천)
 - 閉(닫을 폐)
 - 閑(한가할 한)
 - 閤(쪽문 합)
 - 闔(문짝 합)
 - 闊(넓을 활)
 
3. 용례
3.1. 단어
- 개간 (開刊/開墾)
 - 개강 (開講)
 - 개관 (開館)
 -  개교 (開校)
- 개교기념일 (開校記念日)
 
 -  개국 (開國)
- 개국공신 (開國功臣)
 
 -  개막 (開幕)
- 개막식 (開幕式)
 
 - 개발 (開發)
 - 개방 (開放)
 -  개벽 (開闢)
- 천지개벽 (天地開闢)
 
 - 개봉 (開封)
 - 개설 (開設)
 - 개성 (開城)
 - 개시 (開始)
 - 개안 (開眼)
 - 개업 (開業)
 - 개장 (開場)
 - 개척 (開拓)
 - 개천절 (開天節)
 -  개최 (開催)
- 개최국 (開催國), 개최권 (開催權), 개최지 (開催地)
 
 - 개폐 (開閉)
 -  개표 (開票)
- 개표방송 (開票放送)
 
 - 개학 (開學)
 - 개항 (開港)
 - 개화 (開化/開花)
 -  개회 (開會)
- 개회식 (開會式)
 
 - 경제협력개발기구 (經濟協力開發機構)
 -  공개 (公開)
- 공개처형 (公開處刑)
 
 - 미개 (未開)
 - 비공개 (非公開)
 - 재개 (再開)
 -  전개 (展開)
- 전개도 (展開圖)
 
 -  절개 (切開)
- 제왕절개 (帝王切開)
 
 - 타개 (打開)
 
3.2. 고사성어/숙어
- 개권유익 (開卷有益)
 - 개문납적 (開門納賊)
 
3.3. 인명/지명/창작물
인명
'''지명'''
'''창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