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間'''사이 간
'''부수
나머지 획수'''

, 4획
'''총 획수'''
12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ケン
'''일본어 훈독'''
あいだ, ま
'''간체자'''

'''표준 중국어 독음'''
jiān, jiàn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사이 간(間).''' 사이, ,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선 U+9593, 한자검정시험에선 준7급에 배정되어있다. 창힐수입법에서는 ANA(日弓日)로 입력한다.

間, 閒, 閑의 관계에 대한 설명(중국어)
회의자로, 원래 이 글자는 (한가할 한) 자의 속자였다. 閒 자는 (문 문)과 (달 월) 자가 합쳐진 글자로, '문(門) 사이로 들어오는 달빛(月)'에서 '틈', '사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여기서 月 자가 (날 일) 자로 대체된 것이 間 자이다. 그래서 의외로 강희자전을 포함하여 전근대의 한자사전에서는 間 자를 閒 자의 속자로 취급하여 설명이 없거나 아예 등재되지 않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취급과는 별개로, 間 자는 일찍이 閒 자에 비해 훨씬 널리 쓰이고 있었는데, 결국 현대에 와서는 間 역시 표준자형으로 인정되면서 間 자가 閒 자의 자리를 완전히 차지하게 되었다. 한편 閒 자가 '틈', '한가하다'라는 의미로 쓰일 때는 자를 가차하여 사용하기도 했는데, 현대에는 오히려 閒 자가 閑 자의 이체자로 취급되는 판이다.
단어 뒤에 붙거나 단독적으로 쓰여서 '~하는 동안', '~기간 동안'의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는 다음자로, '사이', '중간', '방' 등의 뜻을 나타낼 때는 평성으로, '틈', '사이를 두다', '이간질하다', '틈을 보다', '간간히', '번갈다' 등의 뜻을 나타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3. 용례



3.1. 단어


  • (間)
  • 간격 (間隔)
  • 간도 (間島)
  • 간식 (間食)
  • 간접 (間接)
  • 간첩 (間諜)
  • 간헐천 (間歇泉)
  • 고간 (股間)
  • 곳간 (庫間)[1][예외]
  • 공간 (空間)
  • 구간 (區間)
  • 기간 (期間)
  • 민간 (民間)
  • 성간물질 (星間物質)
  • 순간 (瞬間)
  • 시간 (時間)
  • 야간 (夜間)
  • 인간 (人間)
  • 정간보 (井間譜)
  • 주간 (晝間/週間)
  • 중간 (中間)
  • 찻간 (車間)[2][예외]
  • 툇간 (退間)[3][예외]

3.2. 고사성어/숙어


  • 견원지간 (犬猿之間)
  • 백중지간 (伯仲之間)
  • 빙탄지간 (氷炭之間)
  • 간어제초 (間於齊楚)
  • 초가삼간 (草家三間)
  • 홍익인간 (弘益人間)
  • 지호지간 (指呼之間)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집 각)
  • (대쪽 간)
  • (열 개)
  • (마을 려)
  • (들을 문)
  • (물을 문)
  • (답답할 민)
  • (위문할 민)
  • (문벌 벌)
  • (열 벽)
  • (빛날 섬, 번쩍일 섬)
  • (가로막을 알)
  • (어두울 암)
  • (볼 열, 검열할 열)
  • (마을 염)
  • (열 천)
  • (닫을 폐)
  • (한가할 한)
  • (쪽문 합)
  • (문짝 합)
  • (넓을 활)

[1] 한자를 그대로 읽으면 '고간'[예외] A B C 횟수, 숫자 등과 더불어 사이시옷이 붙는 6개의 한자어이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시옷 문서 참조[2] 한자를 그대로 읽으면 '차간'[3] 한자를 그대로 읽으면 '퇴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