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광주 버스 720-2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경기고속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에 위치한 안녕동차고지와 성남시에 위치한 판교신도시 백현마을을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이후 고색동 경유에서 탑동 경유로 바꾸었다.
- 2004년에 우만4단지와 여권민원실을 미경유하고 권광 로(당시 밀레니엄길)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판교신도시에 입주가 시작되면서 2009년 11월에 서현역에서 백현마을로 노선이 연장되었다.
- 2013년 10월에 화성영업소가 완공됨과 동시에 화성영업소로 기점이 연장되었다. 그와 동시에 가스차가 투입되기 시작했다.
- 2017년 9월 4일에 '분당중앙공원 - 양지마을 - 서현역' 구간이 '푸른마을 - 현대시범아파트 - 서현고등학교 - 서현역'으로 변경되었다. 덕분에 푸른마을 정류장을 설 수 있게 되었다. 관련 게시물
- 운수종사자 휴게시간 보장을 이유로 2018년 4월 9일에 안녕동차고지 막차가 23시 10분에서 22시 55분으로 변경되었다. 백현마을 막차는 그대로 23시 30분으로 유지되었다. 관련 게시물
4. 특징
4.1. 수요 및 노선 특징
- 2010∼2018년 평일 경기도 시내버스 이용객 수 2위를 기록했다. 1위는 부천 버스 88.
- 이 노선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구간은 수원역-아주대 구간으로, 일단 성남이나 수지구간은 구간구간마다 내리고 타고 그러는데 수원구간인 광교테크노벨리부턴 뭔가 한두명씩 타기 시작하더니 갑자기 아주대로 오면 그 수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와르르타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이는 아주대에서의 720-1번도 마찬가지. 승객을 왕창 태운 상태로 중부대로와 매산로를 지나면서 한두명씩 쓸어담고, 수원역에 오면 승객들이 대거 하차한다.
- 수원역에서는 승차객과 하차객 모두 많으며, 수원역 승차객의 3분의1은 탑동 일대에서 내리고 절반 이상은 산업단지나 와우리 부근에서 내리고, 남산공단까지 향하는 외국인 노동자도 많다. 반대편으로도 마찬가진데 탑동 지나고 수원역에 들어와서 700-2번과 함께 승객을 엄청나게 모은다. 이는 반대방향도 마찬가지며, 특히 성빈센트~수원역 간에는 720-2번이 제일 많이 오다보니 수원역으로 가고자 하는 수원공고 학생들이 애용 중이다. 같이 수요 분담을 해주던 730번이 폐선되면서 현재 수원역~아주대 구간은 13-4번이 일부 분담 중이지만 배차간격이 제일 좋은 720-2번이 승객이 가장 많다.
- 아주대 일대에서 수지/분당으로 나가는 720-1번과 함께 단 둘 뿐인 노선이면서 죽전역이나 상현동을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기에 중거리를 이용하는 승객들 역시 매우 많은 편이다. 구간수요가 많기에 물갈이가 매우 잘되면서도 오래 타는 승객들이 많기 때문에 막상 차내에는 항상 승객이 많다.
- 상현동에서 수원역으로 갈 때 거리는 다른 노선들(60번,700-2번)에 비해 짧아 이 노선을 지도어플이 추천하나, 수원시의 대표 헬게이트인 매산로를 통과하고 굴곡마저 심하므로 그대로 믿으면 안 된다. 오히려 위 세 노선을 타고 가는 게 더 빠르다. 다만, KTX 막차를 타고왔을 경우 모두 끊겨있기 때문에 무조건 택시로만 이용해야 한다.
- 수원역에서 분당에 가려고 이 노선을 타면 720번 시리즈 특유의 심각한 굴곡으로, 강제로 수원과 수지구 지역 시티투어를 하게 된다. 백현마을이나 서현역, 분당구청 일대는 2007번/8409번-의왕청계 휴게소-3330번/3500번 환승을[4] , 미금역이나 오리역 일대는 수인분당선을 이용하는 것이 더 빠르다. 하지만 2007번과 수인분당선 왕십리행 모두 오후 11시에 막차가 끊기기 때문에, 오후 11시가 넘으면 720-2번을 타야 하고 이마저도 오후 11시 27분이면 끊긴다. 이렇게 될 경우 오후 11시 50분(평일)/24시 5분(주말, 공휴일)까지 다니는 수인분당선 죽전행 열차를 타고 종점에서 내려 택시를 타고 들어가야 하며 이 때에는 심야할증에 시계외요금까지 붙어 교통비가 폭증한다.
- 평시에도 혼잡하지만 통학 시간대에는 콩나물 시루가 된다. 수원대나 아주대같은 대학교 통학에에 고등학교만 해도 영신여고, 한봄고, 수원공고, 창현고, 유신고, 광교고, 서원고, 상현고, 풍덕고, 죽전고, 계원예고, 서현고 총 12개나 통과하며, 중학교까지 포함하면 수십개의 학교를 통과하기 때문에 등교시간인 오전 7시부터 9시, 하교시간인 오후 5시부터 7시, 야자 끝나는 시간인 10시~11시에는 항상 버스 안에는 교복입은 고등학생으로 가득차있다.
4.2. 기타
- KD 운송그룹답게 엄청난 정속주행을 한다. 수원여객에게 추월당하는 것은 물론, 용남고속이나 경남여객, 기타 마을버스에게도 가볍게 추월당한다. 더구나 수지구, 수원역, 아주대 부근 등 대표적인 교통 헬게이트를 여럿 거치기에 빨리 가는 것을 기대하기 힘들다.
- GBUS 가이드라인에 맞는 행선판만 붙이고 자체적으로 제작한 행선판을 거의 붙이지 않는 KD이지만 720-2번은 앞문 옆 창문 위에 수원역 ↔ 미금역이라고 크게 써붙여서 운행중인 차량이 일부 있다. 이는 730번도 해당되는 얘기였으며, (맨 위 사진 참조) 화살표 위아래로는 이춘택병원, 성빈센트병원, 동수원병원이 적혀있다. 경쟁의 일환인지 경쟁노선 13-4번은 수원역과 아주대를 빨간칠을 해서 강조하고 있다.
- 이 노선이 수원월드컵경기장을 지나가기 때문에, 가끔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경기를 안내하는 버스 외관 광고를 달고 운행하는 경우가 많다.
- 한때 56대로 다녔다가 폐선된 730번 출신 차량들을 끌고와서 61대로 운행한다. 이렇게 되면서 현재 KD 운송그룹 노선 중 유일하게 인가 대수가 60대가 넘게 되었다. 그러나 2018년 10월 기준으로 다시 운행 대수가 57대로 줄어들었다. 2019년 6월 15번의 경기여객 이관으로 진짜로 3대가 감차되었다. 단, 차량번호는 그대로 넘어갔다. 휴차중인 차량들을 포함하면 58대.
- 밤 23:30분 이후에 백현마을8단지로 들어오는 차량은 수원대로 가지 않고 바로 운행을 종료하니 주의. 이 차량들은 운행 종료 후 바로 사송공영차고지로 공차회송 후 이곳에서 주박하여 다음날 성남 출발 차량이 된다. 주말에 사송동 공영차고지에 가보면 이 노선의 차량이 5대 정도 주박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5]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4.3.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원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서현역, 미금역, 오리역, 죽전역[6] , 수원역, 오목천역[7]
- [image]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미금역, 수지구청역, 성복역
- 일반 철도역: 수원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6. 둘러보기
[1] 실제 차량 대수는 58대이며, 휴차중인 일부 차량을 제외하면 실제 운행 대수는 52~55대로 유동적이다.[2] 코로나 19 감차로 인하여 평일 34~35대(화성 24~25, 사송동 10), 토요일 28~30대(화성 20~21, 사송동 8~9), 일요일 및 공휴일 24~25대(화성 17~18, 사송동 6~7) 운행[3] 예전에는 서현역에서 광주를 거쳐 곤지암까지 운행했다.[4] 단 이들 노선이 직행좌석이라 요금이 부담된다면 분당구청/서현역에서는 수인분당선을 타고 가거나 백현마을에서는 66번, 602-1A번을 타고 수인분당선으로 환승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5] 2020년 3월 기준 이 노선 소속 차량 57대 중 13대가 사송동에 주박한다.[6] 상행의 경우 포은아트홀 하차후 도보 5분.[7] '오목천주공아파트' 하차 후 도보 5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