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안천

 

[image]
1. 개요
2. 상세
3. 교량 및 지류하천 목록
4. 관련 문서


1. 개요


Gyeongancheon / 慶安川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수도권의 물 공급을 담당하는 하천이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호동에서 발원하여 경기도 광주시를 거쳐 팔당호로 유입되는 국가하천이다. 유로연장은 49.3㎞이고, 유역면적은 575.32㎢이다.

2. 상세


북한강, 남한강이 합쳐지는 곳이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이고 그 바로 밑 에서 합류되어 '팔당호'를 이룬다. '소내섬'이 있다. 북한강, 남한강에 비해 네임드도 떨어지고 팔당호로 유입되는 수량도 이 두 거대 하천에 비해 턱도 없이 부족하지만 수도권 상수원 팔당호로 유입되는 하천이라 상당한 중요도를 가진 하천이다. 덕분에 경안천 근처는 상수원보호구역이라 개발제한이 걸려있다. 물론 용인시 처인구광주시의 택지개발로 많이 풀어지긴 했지만 말이다.
용인, 광주의 택지개발이 이뤄지기 훨씬 전부터 경안천의 오염문제는 심각했었다. 경안천의 광주 구간은 경안동, 광남동, 송정동, 오포읍, 초월읍, 곤지암읍에 발달한 공장과 주택 난개발로 인한 생활하수와 공장폐수로 몸살을 앓기도 했다. 현재는 경안천 중간중간에 인공늪지를 조성하는 등 수질개선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지만, 오염은 여전하다...
그리고 용인에 경안천 옆에 있는 자전거, 보행자 산책로는 장마나 많은 가 오면 물이 불어나서 산책로가 잠긴다. 경안천 물이 산책로를 한번 휩쓸고 가면 산책로에는 물고기 시체와 쓰레기들로 가득해진다. 원인은 산책로의 높이가 너무 낮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경안은 광주시 시가지의 원래 이름이다. 광주읍의 옛 이름이 경안면이었다.[1] 지금도 경안동이 있으며 광주시내를 경안으로 부르기도 하며, 도로 표지판에도 병기하는 등 자주 사용하는 명칭이다. 광주광역시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부른다고도 한다.

3. 교량 및 지류하천 목록


경안천의 합류부인 팔당호 남부부터 작성됐다. 북측 방향 기준 좌측 및 우측으로 구분하였다.
'''한강 합류'''
도마리
방면

'''광동교'''
(천진암로)

광동리
방면
'''번천'''[2] 남한산성면
방면

'''하번천리 3-2 남동측'''
(하천지류)
서하리
방면

'''서하교'''(가칭)
(도로명 없음)

정지리
방면
서하리
방면

'''서하교'''
(해공로)

무갑리
방면
산곡JC
방면

'''경안천교'''
(제2중부고속도로)

무갑리
방면
'''서하교 동측'''
(하천지류)

'''무갑천''' 무갑리
방면
산곡JC·광주IC
방면

'''서하교'''
(중부고속도로)

경기광주IC
방면
'''서하리 1035 남측'''
(하천지류)

'''신월천''' 신월리
방면
설월리
방면

'''지월교'''
(경안천로)

지월리
방면
'''SRC재활병원 서측'''
(하천지류)

'''곤지암천'''[3] 도자공원
방면
송정동
방면

'''지월새마을교'''
(현산로)

지월리
방면
송정동
방면

'''쌍령교'''
(청석로)

영은미술관
방면
'''목현천'''[4] 남한산성면
방면

'''하번천리 3-2 남동측'''
(하천지류)
'''경안제1교 북측'''
(하천지류)

'''쌍령천'''(가칭)[5] 쌍령마을
방면
역동
방면

'''경안제1교'''
(중앙로)

쌍령동
방면
역동IC·경기광주역
방면

'''경안교'''
(경충대로)

쌍령동
방면
경기광주역
방면

'''경안철교'''(가칭)
(수도권 전철 경강선)

초월역
방면
역동IC·경기광주역
방면

'''경안교'''
(양벌로)

양벌리
방면
'''직리천'''[6] 태전동
방면

'''양벌리 1048-47 서측'''
(하천지류)
'''리버휠골프랜드 동측'''
(하천지류)

'''양벌천'''(가칭)[7] 양벌리
방면
태전동
방면

'''양벌대교'''
(회안대로)

양벌리
방면
오포교차로
방면

'''오포대교'''
(양촌길)

양벌리
방면
'''고산천'''[8] 태전동
방면

'''오포대교 남측'''
(하천지류)
'''매산리 645 남측'''
(하천지류)

'''강지말천'''[9] 매산리
방면
'''매산리 762-1 남측'''
(하천지류)

'''매산리천'''[10] 매산리
방면
일산리
방면

'''왕산교'''
(문현로)

왕산리
방면
일산리
방면

'''왕산교'''
(보행로)

왕산리
방면
'''오산천'''[11] 매산리
방면

'''효천마을아파트 남측'''
(하천지류)
매산리
방면

'''월촌교'''
(월촌로)

모현읍사무소
방면
매산1리
방면

'''독점교'''
(독점로)

갈담리
방면
초부리
방면

'''초부교'''
(백옥대로2101번길)

초부1리
방면
'''신원천'''[12] 신원1리
방면

'''일광콘크리트공업사 남측'''
(하천지류)
유운리
방면

'''유운교'''
(옥현로)

삼계리
방면
유운리
방면

'''옥현교'''(가칭)
(도로명 없음)

도사마을
방면
'''전대천'''[13] 에버랜드
방면

'''삼계리 445-6 남측'''
(하천지류)
전대리·에버랜드
방면

'''삼계교'''
(에버랜드로)

둔전리
방면
전대에버랜드역
방면

'''철교'''
(에버라인)

둔전역
방면
'''영문천'''[14] 마성리
방면

'''영문리 511 남측'''
(하천지류)
유방동
방면

'''수포교'''(수포인도교)
(포곡로)

둔전역
방면
용인IC
방면

'''경안천교'''
(백옥대로)

둔전역
방면
'''둔전체육공원 남측'''
(하천지류)

'''금어천'''[15] 금평마을
방면
'''유방천'''[16] 유방동
방면

'''보평역 서측'''
(하천지류)
'''고림동 820-148 남측'''
(하천지류)

'''대대천'''[17] 주북리
방면
용인IC
방면

'''경안천교'''
(영동고속도로)

양지IC
방면
버드실사거리
방면

'''유림교'''
(한터로)

고림동
방면
무수막
방면

'''무수교'''
(도로명 없음)

고진역
방면
'''고진교'''
(하천지류)

'''양지천'''[18] 주북리
방면
운동장송담대역
방면

'''철교'''
(에버라인)

고진역
방면
김량장동
방면

'''김량대교'''
(금학로)

용인종합운동장
방면
'''금학천'''[19] 용인시청
방면

'''김량대교 남측'''
(하천지류)
처인구청
방면

'''마평교'''
(금령로)

마평삼거리
방면
처인구청
방면

'''용인교'''
(중부대로)

마평1동
방면
'''동진천'''(가칭)[20] 용인시청
방면

'''남리대교 북측'''
(하천지류)
명지대학교
방면

'''남리대교'''
(명지로)

용인송담대학교
방면
'''신기천'''(가칭)[21] 용인시청
방면

'''남리대교 남측'''
(하천지류)
신기마을
방면

'''기선교'''
(남북대로)

중부대로
방면
기후변화체험교육센터
방면

'''기선교'''
(동부로162번길)

운학동
방면
호동
방면

'''삼산교'''
(동부로192번길)

운학동
방면
호동
방면

'''묵동교'''
(동부로244번길)

운학동
방면
호동
방면

'''대곡교'''
(도로명 없음)

운학동
방면
범만골
방면

'''범암교'''
(동부로338번길)

운학동
방면
호동마을
방면

'''호리교'''
(호동로)

운학동
방면
호동마을
방면

'''호동1교'''
(동부로424번길)

장재미
방면
길업
방면

'''길업교'''
(동부로464번길)

운학초등학교
방면
'''예직교회 동측'''
(하천지류)

'''어둔천'''(가칭)[22] 보문정사
방면
방아산 모퉁이골
방면

'''국사봉교'''
(도로명 없음)

동부로
방면
'''사그막천'''(가칭) 너구리골
방면

'''처인구 호동 322-1 남측'''
(하천지류)
사그막골
방면

'''석산교'''(가칭)
(도로명 없음)

동부로
방면
예직
방면

'''예직교'''
(예직로)

동부로
방면
호동 352
방면

'''호동교'''
(동부로 지선)

동부로
방면
산밑애들
방면

'''해곡교'''(가칭)
(자전거도로·보행로)

별미
방면
'''석유공사입구삼거리 남측'''
(하천지류)

'''동부천'''(가칭) 보리원
방면
대광사
방면

'''동부1교'''(가칭)
(해실로46번길)

해실로
방면
해실리
방면

'''동부2교'''(가칭)
(해실로46번길)

해실로
방면
한국석유공사용인지사
방면

'''해실교'''
(해실로)

동부로
방면
''' 발원지 '''

4. 관련 문서



[1] 이는 조선시대 광주부의 치소가 되는 곳이 남한산성과 지금의 하남(하남에 광주 향교가 존재)에 있었기 때문이다.[2] 검복리에서 발원[3] 건업리에서 발원[4] 탄벌동에서 발원[5] 마름산에서 발원 추정[6] 직동에서 발원[7] 백마산에서 발원 추정[8] 고산리에서 발원[9] 백마산에서 발원. 일부는 복개되었다.[10] 백마산에서 발원.[11] 오산리에서 발원.[12] 신원리에서 발원.[13] 향수산에서 발원추정.[14] 석성산에서 발원추정.[15] 태화산 금어리에서 발원.[16] 석성산에서 발원.[17] 대대리에서 발원.[18] 남곡리 어두니고개에서 발원.[19] 삼가동 부아산에서 발원.[20] 삼가동 부아산에서 발원.[21] 함박산에서 발원.[22] 용인 보문정사 인근에서 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