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버스 7300
1. 노선 정보
2. 개요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공항버스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997년 7월 3일에 '의정부 - 원당 - 일산 - 김포공항' 구간을 운행하는 무번호 공항버스 노선으로 신설되었다. 당시 노선
- 인천공항이 개항하면서, 2001년 3월 29일에 인천공항까지 연장되었다.
- 2007년 3월 27일에 '(동두천) - 의정부 - 송추 - 원당 - 일산 - 킨텍스 - 김포공항 - 인천공항' 노선을 '(동두천) - 의정부 - 인천공항', '원당 - 일산 - 인천공항', '의정부 - 원당 - 일산 - 김포공항'으로 분리했다.
- 2009년에 7300번이 부여되었다.
- 2013년 6월 27일부터 엠블호텔에 정차한다.
- 2017년 6월 1일부터 39번 국도를 이용하여 고양동, 원당(동양쇼핑), 풍3동, 강촌마을8단지를 경유하지 않고, 송추에서 바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하여 백석역과 마두역을 경유한다. 관련 게시물 '의정부~고양(원당)~김포공항' 구간은 3700번으로 대체 가능하다. 단, 3700번은 의정부 경유구간이 다르니 주의.
-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2020년 3월 9일부로 1일 6회로 감회되었다.
- 2020년 5월 15일부터 1일 9회로 증회되었다. 다른 공항버스는 감차추세이나 이 노선이 증회된 이유는 ‘의정부~고양’ 구간의 승객이 많기 때문이다.
- 수요가 더 많아졌는지 2020년 11월 6일부터는 1일 15회로 증회되었다.
- 그러다 2021년 1월 14일부터 1일 6회로 감회되었다. 또한 6014,6169호가 고정적으로 투입된다.
4. 특징
- 의정부와 김포공항을 잇는 노선이면서도, 일산신도시와 의정부를 잇는 유일한 노선이다. 이 때문에 김포공항 승객보다 '일산~의정부' 수요가 훨씬 높다.[3] 일산~의정부 요금은 약 3,500원 정도.
- 이름만 공항버스지, 입석이 허용되던 과거에는 입석까지 발생할 정도였다. 현재는 입석이 불가능해, 주말같은 경우는 30분 기다리고 못타는 경우가 많다. 흔히 말해 수도권 통합 요금에 따른 환승혜택을 받을 수 없는 점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광역버스와 다를 게 없다. 게다가 우등석이니 3700번보다 가성비까지 좋다. 다만 절대적인 가격으로만 놓고 보면 일반적인 광역버스보다는 조금 비싼 편. 주말이나 휴일 연휴엔 김포공항, 일산 방면은 7200번과 마찬가지로 의정부역에서 자리가 없는 경우가 속출하므로 김포공항을 갈 경우 미리 예매해야 하지만 일산이라면 답이 없다.
- 만약에 자기가 일산에서 의정부를 갈 일이 있는데 시간이 넉넉하고 이 버스의 요금이 비싸다 싶으면, 3호선을 타고 구파발역으로 가서 (아니면 773번을 타고 박석고개/신도고등학교로 가서) 34번, 360번으로 환승해서 가면 된다. 다만 경기순환버스 8109, 8906을 이용한 환승은 추천하지 않는다. 배차 간격도 길 뿐더러 2019년 9월 이후로 경기순환버스의 기본요금도 3,050원으로 인상됨에 따라 이 방법은 더 이상 장점이 거의 없다. 장점이라고 해 봐야 7300번 대비 교통비가 고작 몇 백원 정도만 저렴하고, 수도권 통합 요금에 따른 환승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점 뿐이다.
4.1. 2020년 코로나19 관련
- 코로나19로 공항 이용수요가 감소하자 운행횟수가 대폭 감회되었다. 다만 ‘의정부 - 일산’ 수요는 계속 유지되어 다른 공항버스 노선들은 지속적인 감차 추세가 나타난 반면 이 노선은 감차 와중에서도 1차례에 걸쳐 증회되었다.[5]
- 코로나19로 인해 운행 차량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차량이 휴차처리되었으며, 휴차된 차량들은 현재 의정부공영차고지에 주차되어 있다.
4.2. 시간표
버스 운행 시간표가 자주 바뀌는 편으로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길 바란다.
버스피아 공식 사이트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의정부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백석역, 마두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김포공항역
- [image] 서울 지하철 9호선: 김포공항역
- [image] 김포 도시철도: 김포공항역
- [image]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공항역
- [image] 의정부 경전철: 의정부시청역, 의정부중앙역, 동오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