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현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난공불락, 왜세의 도마 위에
섬섬옥수 열 손가락 얹어 놓고 하는 말
천지신명 듣거든 사람세상 발원이요
탄압의 말뚝에 국적 따로 있으리까
조선여자 무명지 단칼에 내리치니
피로 받아쓴 대한여자독립원
아직도 떠도는 아낙의 무명지
— 고정희.〈남자현의 무명지〉
독립운동 세력의 분열을 비판하고 독립을 위해 3번이나 단지(손가락 절단)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청산리 대첩의 부상자들을 치료한 것을 계기로 붙은 별명이 '만주 독립군의 어머니'이다.
2. 생애
1872년 12월 7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일직현 송리(현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에서 유학자인 아버지 남정한(南珽漢)과 어머니 진성 이씨 이원준(李元俊)의 딸 사이의 1남 3녀 중 막내 딸로 태어났다. 그녀는 송리리 입향조 남창년(南昌年)의 12대손이다.
일찍이 아버지의 제자였던 의성 김씨 김영주(金永周)[4] 와 결혼했으나 김영주는 그녀가 24살 되던 1895년에 을미의병에 가담했다가 전사하였다. 이후 평범한 전업 주부로 외아들 김선태(金善台)를 키우다가 1919년 3.1 운동 이후 할머니의 몸으로 아들 가족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였으며, 김동삼의 서로군정서에 참여하며 독립운동 세력의 지원 업무를 담당하였다.
1926년 사이토 마코토 총독의 암살을 위해 경성부에 잠입하였지만 거사 직전에 송학선 의사가 먼저 의거를 일으키는 바람에 경계가 강화되어 다시 만주로 돌아왔다. 1933년 주만주국 일본 대사 무토 노부요시의 암살을 기획하였다. 거사일이 되어 얼굴에 상처를 내고 거지로 분장하여 잠입하였으나 삼엄한 경계 속에 불심 검문에 걸려서 체포되었다. 일설에 의하면 체포되었을 당시 옷 속에 전사한 남편이 입었던 군복을 입고 있었다고 한다. 이후 옥중에서 단식 투쟁을 벌이다가 병보석으로 석방된 이후 5일만에 사망하였다.
남자현은 죽으면서 아들에게 중국 돈 248원[6] 80전을 주면서 200원은 독립을 하면 독립 정부에 축하금으로 전달하라[7] 고 유언을 남겼다. 1946년 첫 3.1운동 기념식에서 남자현이 남긴 돈 200원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에게 정식으로 전달되었다.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1967년 국립현충원에 묘가 조성되었으나 유해의 한국 송환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가묘를 만들었다. 1998년 후손들이 유해를 찾으려고 했으나 이때는 이미 남강 외국인 묘지 자체가 사라진 뒤였다. 이후 유해가 어디로 갔는지 행방이 묘연하다. 발굴 조사를 도와달라는 후손들의 요청이 기사화되었으나 후속 대책은 없었다.
3. 창작물에서
2015년 개봉한 영화 암살의 등장 인물 안옥윤의 모델이다. 덕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임에도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던 남자현 의사와 여성 독립운동가에 대한 관심이 다소 환기되었다. 이후 생가가 조성되고 남자현 의사 기적비가 건립되었다.
[image]
암살 개봉 이후 경상북도우정청이 호국 영웅 우표 도안으로 주시경과 함께 안동 출신의 남자현을 포함시켰다.
[1] 수의공파(修義公派)-안동 송동(松洞) 문중 22세 극(極) 항렬. 남자현의 오빠로 남극창(南極昌)이 있다. 아버지 남정한(南珽漢)은 21세 한(漢) 항렬.[2] 인근의 망호리와 함께 영양 남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남장도 이 마을 출신이다.[3] 2016년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지경리에 생가가 조성되었는데 후손들의 주장에 의하면 안동시 일직면 송리리가 출생지라고 한다. 관련기사[4] 족보명 김병주(金炳周).[5] 나라가 없는 상황에서 국외 독립운동 가운데 사망했기 때문에 유해는 하얼빈에 있는 남강 외국인 묘지에 매장되었다. 근조화환은 암살 개봉 이후에 이경근 당시 서울지방보훈청장이 보낸 것이다.[6] 249원 설이 있다.[7] 40원은 손자의 대학 진학금에 더하고 8원 80전은 본가에 전달하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