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애국가
[clearfix]
1. 개요
대한제국의 국가다.
2. 역사
한국 역사 최초의 근대 국가(國歌)이다. 1898년의 가사가 기초가 되었는데 작사자는 미상이다. 민영환이 작사를 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기록은 없다. 자체 곡이 없을 당시에는 God Save the King에 맞춰 불렀다. 이후 프란츠 에케르트가 곡을 붙였다.
1902년 9월 9일 처음으로 연주되었고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공식적으로는 1907년 순종 황제 즉위식에서 마지막으로 연주되었다. 1909년에 이르러서는 일제의 애국 창가(唱歌)에 대한 단속으로 인해 금지곡이 되었으며, 1910년 국권을 빼앗긴 이후에는 기미가요로 대체되었다. 실질적으로는 정식 채택부터 마지막 공식 연주까지 5년 동안만 사용된 비운의 국가이다. 이렇게 작곡된 시기도 어두운 시기였던데다가 음도 착 가라앉은 듯한 느낌을 주는 처량한 분위기라 가만히 듣고 있으면 망국의 한이 느껴진다는 평도 있다. 최초의 애국가인만큼, 광복 이후에도 쓰일 수도 있었으나, 한반도에 다시 세워진 나라는 대한제국이 아닌 엄연히 공화국인 대한민국이었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은 거의 없었다고 봐야할 것이다.
작곡가 에케르트는 독일 제국 해군의 군악대에서 군무원으로 근무한 독일 제국의 신민(臣民)이자, 일본의 국가(國歌)인 기미가요에 화음을 붙여 최종 완성한 작곡가로서 한국에 건너와 대한제국의 군악단을 교육했다. 만약에 대한제국이 한일합병으로 멸망하지 않았다면, '동양 두 나라의 국가를 모두 지은 놀라운 이력의 서양인'이 되었을 것이다. 곡에서 느껴지듯이 당대에도 "외국인이 이런 국가를 지어주다니!" 할 정도로 높은 퀄리티의 곡이 나왔고, 스스로도 국악(전통 음악)의 음을 최대한 살리고자 최대한 노력했다. 공식 악보에 쓰인 독일어 해설에 따르면 '한국적 모티브를 본딴 대한제국 국가'(Kaisereich Koreanische Nationalhymne Nach Koreanischen Motiven)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해당 국가의 특성을 살린 음악은 기미가요에서도 드러난다. 에케르트는 경술국치 이후에도 손자 대까지 한국에서 살면서 한국의 음악계를 지원하며 생을 마쳤고, 서울 마포구 합정동의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에 안장되었다.
3. 가사
여러 버전의 가사가 있는데, 이는 국내에서 공공연하게 전해지지 못하고 해외에서 동포들의 구전으로 전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KBS 역사 스페셜에서 공식 악보(호러스 뉴턴 알렌이 뉴욕 시립 도서관에 기증한 판본)를 찾아 살펴본 바, 가사가 이 항목에 있는 첫 번째 가사와 같음을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판본 중, 아래에는 공식 가사를 포함한 세 가지 가사를 올려 두었다. 아래 가사를 정확하게 보려면 나눔바른고딕 옛한글, 나눔명조 옛한글(이 둘은 여기서 다운 가능), 함초롬체 LVT(아래아 한글 문서 참고), 본고딕(또는 Noto Sans CJK KR, 여기서 다운 가능) 중 하나를 설치할 것. 그러면 제대로 보인다. 혹은 아래아 한글 등에 Ctrl CV해도 제대로 보인다.
3.1. 첫 번째 가사
[A] 五가 아니라 於(탄식할 오)다. 절대로 '5천만세'가 아니다!
3.2. 두 번째 가사
첫 번째 가사와의 차이는 거의 없다.
3.3. 세 번째 가사
여기서는 황제를 나라로 바꾸고 배달민족이라는 가사를 강조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황권 강조에서 민족주의 색채로 넘어가는 특징을 보인다.
3.4. 1925년 한미클럽 가사
1925년, 하와이 호놀룰루의 한미클럽에서 이 곡의 악보를 만들면서 거기에 적은 가사이다. 2005년 이 노래의 존재가 알려지면서 재조명받았다.
3.5. 독일어 해석본
외국에 배포할 때 번역을 규격화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공식적인 독일어 해석본이 존재한다. 한국어 번역은 ≪음악저널≫ 2010년 8월호에 기고된 '대한제국 애국가와 프란츠 에케르트'를 참고하였음을 밝힌다.
3.6. 독립운동 가사
현대 한국어로 존재한다.
4. 영상
5. 여담
- 전체적으로 유서 깊은 영국의 국가 "God save the Queen"와 비슷하다는 주장이 있다. 우선 곡의 시작부 가사가 일치한다. (God save the king=하느님은 황제를 도우사) 그리고 곡의 끝에서 이 말을 반복하는 점도 닮았으며, 심지어 곡 자체의 느낌도 "God save the Queen" 을 길게 늘이고 조금 어둡게 바꾼 것 같은 느낌을 준다고. 비교하면서 들어 보자. 그러나 가사가 비슷하다는 주장의 경우 어느정도 감안해야 할 것이 있는데, 국가에 이런 가사가 들어가는건 매우 흔하다는 점이다. "하느님 우리 왕을 도와주세요"라는 가사는, 동시기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제국 등에도 똑같이 나온다. 즉 가사가 비슷하다는 말 자체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표절이니 뭐니 하는 이상한 문제제기는 자제할 것. 표절이라기 보다는 차라리 클리세에 더 가까울 것이다.[1] 애초에 대한민국 애국가에 나오는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라는 말도 넓게 보면 이런류의 가사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주장한 것과 달리, 곡조도 별로 비슷하지 않다. 장조와 단조의 차이를 떠나서라도 두곡을 들어보면 차이가 확연하게 나는 걸 알 수 있다.
- 일부에서는 에케르트가 민요 군밤타령 또는 매화타령의 곡조를 편곡한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했다.
- 세계적으로도 그리 흔치 않은 단조로 된 국가이다. 이 때문에 작곡된 시기 및 가사와 맞물려 더욱 처량하고 어두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이다. 현재 단조로 된 국가를 사용하는 나라들로는 이스라엘, 루마니아, 불가리아, 슬로바키아, 몬테네그로, 우크라이나, 터키, 아제르바이잔,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 등이 있다.
- 스펀지 2005년 2월 5일자 방송분인 66화에서 이 노래의 기록이 빈칸 문제로 나왔고, 실제로 연주하는 영상을 보여주었다. 다만 하와이 교민들이 붙인 곡조를 바탕으로 부르기 때문에 꽤나 느낌이 다르다.
- 2011년 9월 22일, KBS 역사스페셜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는 금지곡이었다'라는 제목으로 대한제국 애국가에 대해 방송하였다. 대한제국 애국가를 중심으로 에케르트와 대한제국 군악대 등에 대해 조명하니 관심 있는 사람은 찾아보도록 하자. 본 방송에서 공식 가사인 첫번째 가사를 기본 바탕으로 맞춤법만을 현대 한국어에 맞게 교정한 가사를 이용, 소실된 가락을 복원하여 실연하였다. 하지만 다시 보기에서는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2011년 10월 6일 vod와 같은 내용의 vod를 올려놓았다. 그래서 이 화가 무슨 내용인지 볼 수 없게 되었다. 유튜브에서만 현재 존재하는 상황.링크
- EBS 역사채널e에서도 '대한민국 애국가'라는 제목의 클립에 수록되었다. 제국 애국가의 제작부터 현재의 애국가가 어떤 역사를 이어왔는지 짧게 보여준다.
- 국가보훈처에서 광복 60주년을 기념해 만든 앨범에는 11번째 곡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용범 편곡, 팝페라 카스트라토 정세훈 노래.
[image]
[1] 다만 서양식 국가의 클리셰지 조선 문화에 해당하는 구절은 아니다. 유교에서 언급하는 '상제'나 '하늘'이란 건 세상의 이치같은 추상적 개념이였지 도와달라고 기도해야 하는 신이 아니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