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선
東西線 / East-West Line / 东西线 / とうざいせん
한 도시의 동쪽과 서쪽을 잇는 노선에 붙는 이름이다. 남북을 잇는 노선은 남북선 항목 참조.
일본어로는 "도자이선"(도자이센), 중국어로는 "둥시선"이라고 부르면 이 이름을 갖고 있다 보면 된다.
1. 개요
한 도시의 동쪽과 서쪽을 잇는 노선에 붙는 이름이다. 남북을 잇는 노선은 남북선 항목 참조.
일본어로는 "도자이선"(도자이센), 중국어로는 "둥시선"이라고 부르면 이 이름을 갖고 있다 보면 된다.
2. 사용중인 곳
- 싱가포르 MRT 동서선, 싱가포르 MRT의 노선.
- 과거에 쓰였던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병기 노선명. 부산교통공사 내부적으로 동서선이라는 노선명이 2호선과 함께 병기되었었다. 1호선은 중앙선, 3호선은 아시아드선, 4호선은 동래선이라는 이름이 병기되었다. 그러나 일본 지하철에 숫자 노선명이 배정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거의 쓰이지 않듯이 대외적, 실질적으로는 다른 병기 노선명 보다는 더 많이 알려져 있었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은건 마찬가지 였다. 부산광역시 도시철도 건설 조례의 폐지에 따라 조용히 삭제되었다. 오히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동서선에 가깝다.
- 일본 각지에 존재하는 도자이선(東西線)들의 경우 해당 항목 참조.
3. 사용할 수 있는 곳
- 한국에서 동서라고 하면 으레 경상도와 전라도를 일컬으므로 두 지역을 잇고 실제로 두 지역의 이름을 딴 경전선은 동서선으로 불리기에 충분하다. 다만 순천역을 기준으로 동부와 서부의 노선상태가 너무 달라서 사실상 서로 다른 노선으로 봐도 무방한 수준이라 제대로 된 동서선으로는 보긴 힘들다.
- 만약 수도권 전철의 n호선 노선들이 별도의 노선명을 추가로 명명하게 된다면, 수도권 전철 5호선과 서울 지하철 9호선이 동서선이라는 이름을 가질 가장 유력한 후보이다. 5호선은 동서1선, 9호선은 동서2선 이런 식으로 붙일 수도 있으나, 5호선을 동서선으로 붙이고, 9호선은 부도심선, 신강남선, 공항선 식으로 붙이는 방법도 있긴 하다.[1]
- 다만 경의중앙선의 경우 서울특별시의 동서를 가르기는 하나 서울특별시 뿐만 아닌 경기도까지 달리기 때문에 동서선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게다가 일산신도시 이북에서는 거의 남북으로 달린다.
- 부산 지하철 2호선의 과거 별칭이 "부산 지하철 동서선"이었는데, 실질적으로는 3호선이 동서선이라 붙이는 게 더 가깝다.
- 대구 지하철 2호선은 대구시의 중심축인 달구벌대로를 동서로 관통하는 노선이다.
- 광주 지하철 1호선은 수요가 너무 완벽하게 빗나가서 공기수송의 오명을 쓰고 있긴 하나, 최소한 1호선 계획이 처음 나왔을 때의 기준으로 봤을 때는 도시의 중심축을 가로지르는게 맞다. 2호선은 순환선, 3호선이 남북선에 가깝다.
- 현재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경춘선의 연장사업인 춘천역~속초역간 노선계획의 명칭과 관련해서 국가철도공단에서는 공식적으로 춘천속초선이라고 부르긴 하지만, 대부분 동서고속화철도라고 부르는게 사실 일반적이다. 춘천시는 강원도의 서쪽에 위치해있고 속초시는 동쪽의 동해바다와 붙어있는 도시이기 때문에 강원도의 동서를 잇는다고 붙여진 명칭으로 추정된다. 다만 일종의 가칭이고 한 노선의 이름으로 쓰기엔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실제 개통시에는 경속선으로 명명될 확률이 높다.
[1] 어떻게 보면 9호선은 부도심선이라는 이름이 상당히 부합하는 노선이다. 공항과 여의도, 강남, 잠실 등 서울 주요 부도심들을 잇는 노선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