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역

 


'''경전선'''
'''순천''' - - 원창
'''전라선'''
동운 - - '''순천'''
'''순천역'''
고속, 일반열차 노선 보기


'''다국어 표기'''
영어
Suncheon
한자
順天
중국어
顺天
일본어
順天(スンチョン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팔마로 135 (덕암동)
'''관리역 등급'''
관리역 (1급)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역 운영기관'''
전라선

경전선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경전선 1930년 10월 25일 전라선 1936년 12월 26일 2011년 10월 5일 2014년 5월 12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S-train
2013년 9월 27일
}}}
'''열차거리표'''
'''경전선'''
순 천
'''전라선'''
순 천
順天驛 / Suncheon Station
'''순천역 전경'''
'''(1960 ~ 2009) 순천역 전경'''
'''순천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1. 개요
2. 승강장
3. 열차 운행 현황
4. 이용객 현황
5. 일평균 이용객
6. 연계 교통
6.1. 순천역 앞 정류장
6.2. 순천역 서편 정류장
7. 주변 정보
8. 기타
8.1. 역사적 중요지역. 여순사건이 확산된 장소.
8.2. 역의 이용현황이나 중요성 치고는 의외로 안습한 대접
8.3. 경전선 복선화 완공 이후 진주 - 순천 - 용산 노선의 부활 가능성은?
8.3.1. 과거에 존재했던 진주-순천-용산 노선
8.3.2. 순천역 경유로 변경한다면?
8.3.3. 서부경전선 개량
9. 순천시의 교통


1. 개요


경전선전라선철도역. 전라남도 순천시 팔마로 135 (덕암동)[1]에 위치해 있다.
원래는 안동역하고 비슷하게 생긴 역사가 역 앞 회전교차로에 바로 면해서 있었는데 2009년 12월 17일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신 역사가 문을 열면서 조곡동에서 덕암동으로 이전했다. 이렇게만 보면 동까지 달라지는 대대적인 역 이전을 한 것 같지만 사실 말이 이전이지 옛 역사 자리 바로 옆자리에 확장 증축을 한 것이고, 그 영향으로 현재의 역사는 로터리에서 동쪽으로 치우쳐 있다. 신 역사 서쪽의 주차장이 구 역사 자리다.
한국철도공사 전남본부가 여기에 위치해 있다. 과거에 대한민국 철도청 시절 때는 이 순천역이 전북까지 호남 전체 지방을 관할하는 순천지방철도청이었다. 현재 전남본부의 관할 구역은 순천시, 여수시, 광양시, 곡성군, 보성군[2]. 전남본부이긴 한데 지리적으로는 전남'''동부'''본부인 개념이다.[3] 목포역을 포함한 호남선경전선에서 화순군이양역부터 종점인 광주송정역까지는 한국철도공사 광주본부가 관할하는 구조였는데 2020년 9월부로 광주본부가 전남본부에 통폐합되면서 코레일 전남본부가 전라남도 지역의 철도를 총괄하게 된다.
그리고 국가철도공단 호남본부 순천사옥이 여기에 같이 있다. 정확히 말하면 순천역 옛 역사 자리인 주차장에서 보면 한국철도공사와 국가철도공단 간판이 같이 있고, 주차장에서 서쪽으로 들어가면 국가철도공단 건물이 위치해 있다. 구 철도청 남부건설사업소 건물을 그대로 국가철도공단에서 인수한 것으로 호남본부로 사용하다가 2019년에 호남본부가 광주광역시(효천역 인근)로 이전하면서 지금은 순천사옥으로 쓰고 있다.
순천시, 광양시, 보성군(벌교읍 일대 지역), 고흥군 일대에서 이 역을 이용하고 있다.

2. 승강장


여객으로는 3면 6선의 구조를 갖췄다. 위성지도를 보면 타는 곳 옆에 존재하는 매우 크고 아름다운 화물선로를 볼 수 있다. 눈대중으로만 봐도 여객 승강장에서 전차대 방향으로 최소한 7선이 보인다. 해당 선로는 철로를 가로지르는 육교에서 구경할 수도 있다. 전라선경전선 계통의 모든 열차가 정차하기에 통과선로는 따로 없다.
순천역 정문에서 전차대가 위치한 방향으로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타는 곳 1번은 없고 타는 곳 2번 옆에 선로가 하나 있으나 화물 정차나 미사용 선로로 되어 있다. 아래의 타는 곳 묘사는 여객선로만 표시.
벌교
구례구


2
3


4
5
|

6
7

광양
여천
2
호남선·경전선
무궁화호·S-train
보성·광주송정·나주·목포 방면
당역종착
3
동해선·경전선
무궁화호·S-train
하동·진주·마산·부전·포항 방면
당역종착
4·5
전라선
KTX
ITX-새마을·무궁화호
남원·전주·익산·서대전·용산·서울 방면
6·7
전라선
KTX
ITX-새마을·무궁화호
여천·여수엑스포 방면

3. 열차 운행 현황


익산역 기점 145.4㎞, 삼랑진역 기점 156.5㎞. 전라선의 모든 여객열차(KTX, KTX-산천, 새마을호, 무궁화호)가 필수 정차하는 역이며, 경전선의 모든 무궁화호[4] 역시 필수 정차하는 역이다. 당연히 남도해양관광열차도 정차한다. 처음 개통했던 당시에는 KTX-1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투입되지 않았으나 2015년 4월 2일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부터 KTX-1이 들어오고 있다.
용산-서광주 경유-순천 왕복편과 순천 종착 KTX 임시열차까지 포함하면 전라남도 '''동부권''' 내에서 서울행(용산역 방면) 열차가 가장 많은 곳이다. 2016년 12월 9일 개정 이후로 용산-여수엑스포 간 전라선 정차에서 KTX 14왕복, ITX-새마을 2왕복, 용산-여수까지의 무궁화호 7왕복 들어온다. 맨 처음에 언급된 용산-서광주-순천 종점인 근성열차까지 1왕복을 추가하면 순천에서 서울로 갈 수 있는 열차편은 총 25+1왕복이다. 서울역-여수엑스포역 간 S-train 1왕복은 별개로 구분. 여기에 익산역-여수엑스포 간의 열차는 무궁화호로 3편성이 있다.
호남고속선 개통 이전까지는 순천역이 지역의 중추역임에도, 전라남도 전체로 따지면 광주역 시종착 편성과 목포역 시종착 호남선 노선이 모두 합류하는 장성역보다 순천역의 편성이 조금 더 적었다.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로는 목포역 바로 다음 수준으로 올라갔으나, SRT가 개통되면서 호남고속철도 본선 지역인 목포역나주역 다음으로 서울 가는 열차 편성량이 밀려났다.[5]
한때는 임시열차를 제외하고 호남에서 서울역을 직통으로 갈 수 있는 유일한 시종착역인 적이 있었다. 2013년 4월 20일부터 서울역에서 직접 내릴 수 있는 행신-서울-순천 시종착 KTX 임시열차도 있었지만 2014년 6월 30일에 정규열차로 편입되면서 행신-용산-여수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순천-동대구-서울 노선의 '''초'''근성열차도 있었으나 2013년 12월 개편으로 폐지됐다. 그렇지만 2014년 10월 1일부터 관광열차 한정이지만 남도해양관광열차 시종점이 서울역으로 변경되어 순천역만이 아니라 전라선 정차역에서 서울역 정차가 부활한다. 대신 이 열차로는 용산역에서 못 내리는 게 함정. 그리고 순천역은 남도해양관광열차 정차역 중에서 유일하게 양대 계통이 모두 정차하는 곳이다. SRT가 개통된 같은 날인 2016년 12월 9일에 호남선/전라선 KTX도 일부 열차가 서울역에 정식 정차를 하게 되면서 이 기록은 옛말이 되었다.
부전역보다는 편성이 적지만 정말 무지막지한 근성열차의 멀티기지이기도 했다. 몇 노선의 경우 과거형이지만[6] 여전히 근성 넘치는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7]
일부 전라선 KTX 열차가 임시열차로 투입될 때 순천역에서 시종착하기도 했다.[8] 지금은 순천 시종착 임시 KTX 없이 모두 여수엑스포 시종착이고 순천역에서 필수정차이지만 당시 임시열차를 굴렸던 흔적이 2015년 4월 1일까지의 전라선 열차번호로 남아 있었다. 상행 열차번호는#702-#714-#704-#716-#708-#710-#718-#712 순서로 배치되어 있었다. 뜬금없이 맨 뒤로 가야 할 숫자들이 중간에 끼어들어가 있는데 여기서 #716이 개편 전 임시열차 #4004였다. 2014년 6월 30일 부로 실시한 다이얼 개정에서 용산역-여수엑스포역을 운행하는 정규 열차로 편성되었기에 순천역의 KTX 정차가 정규 9회로 변경되었다. 이후 2015년 4월 2일의 대개편을 통해 전라선 KTX 열차번호는 순서대로 재배치되었고, 하루 9왕복에서 10왕복으로 증편되었으며, 그 중 KTX-1이 3왕복으로 투입되고 있다. 이후 한차례 더 증편되어서 현재는 KTX가 하루에 상행/하행 14회씩 들어오고 있다.
경전선 중간에 위치하지만 대부분 동부 구간은 그냥 경부선 계통 경전선으로, 서부경전선은 서부경전선끼리 놀면서 이곳에서 운행계통이 거의 분리된다. 또한 전남의 핵심 산업단지인 여수국가산업단지광양항/광양제철소를 철도로 연결하는 분기점이기도 하다. 경전선과 전라선을 직결하는 전경삼각선 개통 전에는 두 곳 사이를 운행하는 화물열차는 반드시 순천역의 전차대를 이용해 방향을 바꾼 뒤 가야만 했다.
여담으로 순천역~벌교역 사이의 철도 거리가 46.1㎞(…)로 되어 있었는데 그에 대해서는 철도 노선 정보/대한민국 문서에 있는 철도 노선도의 계산을 잘못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노선도 사진을 확대하면 순천역의 거리는 전라선 기점에서의 거리가 큰 글씨로, 경전선 기점에서의 거리는 아래쪽에 괄호 처리로 작게 적혀있는데 확대하지 않으면 인식되지 않아서 벌어진 오류로 보인다. 실제 순천역은 위에 서술된대로 삼랑진역에서 168.3㎞, 벌교역은 191.7㎞ 거리이고, 진주 - 광양 구간의 복선 개량 이후 순천역은 156.5㎞, 벌교역은 179.9㎞로 이 차이를 계산하면 23.4㎞가 맞다.[9]

4. 이용객 현황


순천역의 이용객이 예상외로 엄청나게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추측되는 점은 내일로 버프와 전남 동부권 일대의 교통요지라는 점.[10] 전라선에서는 호남선과 접속하는 익산역을 제외하고서 KTX 이용량에서 도시 인구 차이가 2배 이상이 남에도 전주역 바로 다음 가는 수요를 내고 있는 역이라는 것, 2013년과 광주역광주송정역 이원화 시절 때 광주+전남본부 양대지역 통틀어 전체 최다 이용역이었고, 2014년에는 호남 전체 최다 이용역 3위, 2015년-2016년 연속으로 광주송정역 다음가는 이용객 2위 역임을 유지하고 있다. 즉, 생각보다 호남의 대표 최다 수요역 4위 안에 항상 랭크인되고 있다.
단적으로 2016년 기록에 따르면 광주송정역(한국철도공사 5,120,695명 + SRT 115,617명) - 익산역(한국철도공사 4,855,852명 + SRT 42,503 명) - 전주역(한국철도공사 2,676,783명 / SRT 없음) - 순천역(한국철도공사 2,151,688명 / SRT 없음) - 목포역(한국철도공사 1,910,054명 + SRT 29,408명)로, 광주본부+전남본부+전북본부 모두 합쳐서 순천역이 최다 이용객 4위를 유지 중이다. 게다가, 순천역은 전주역과 함께 SRT 없이 한국철도공사 소속 열차 수요만으로 이 정도이다.
전남 동부권 일대 교통의 중심지 역할과 함께 순천시에서 조성한 관광지가 전국적으로 유명해지면서 철도여행 명소로 계속 언급되는 것으로 보아, 순천역의 철도 여행객 현황은 상승세로 예상된다.
우선 전라선 KTX가 정차하는 역의 승하차 인원 통계를 보면 다음과 같다.
2017년 전라선 KTX 정차역별 승하차 인원 현황
출처 : 2017년 철도통계연보

승차
하차
승차+하차
역 목록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승차합계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하차합계
승하차 총합
익산역
1,234,010
272,034
918,312
2,424,356
1,191,413
285,632
892,319
2,369,364
4,793,720
전주역
814,413
106,511
578,866
1,499,790
784,190
110,607
584,254
1,479,051
2,978,841
남원역
165,736
34,720
157,568
358,024
160,184
32,793
167,048
360,025
718,049
곡성역
34,177
16,374
97,951
148,502
36,801
20,154
99,453
156,408
304,910
구례구역
32,118
9,447
52,098
93,663
33,210
8,253
68,002
109,465
203,128
순천역
'''648,710'''
72,678
474,787
1,196,175
'''645,733'''
66,086
478,841
1,190,660
'''2,386,835'''
여천역
195,979
16,397
116,721
329,097
186,571
11,231
114,278
312,080
641,177
여수엑스포역
451,428
46,739
261,683
759,850
464,617
38,242
269,458
772,317
1,532,167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2015년 철도통계연보에서부터 KTX 수요가 더욱 늘어나기 시작한 이래, 2016년 한해 동안에는 KTX 총 이용객 101만 명, 모든 열차 이용객 215만 명을 돌파하였다. 2017년에는 총 이용객 230만 명을 돌파하였고, 특히 KTX 이용객이 드디어 100만 명을 돌파하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 전주시가 순천시의 인구의 2배를 넘고 호남 지역에서 광주 다음가는 대도시, 그리고 거리상 순천시가 전주시와 광주광역시보다 한참 먼 거리임을 생각한다면 도시 규모 대비 매우 많은 수요가 몰렸다고 볼 수 있다.
2013년의 데이터 상으로는 호남선과 전라선이 접속하는 익산역이 압도적으로 많겠지만, 놀라운 점이 그 다음으로 KTX 승하차 인원이 많은 곳이 전주역이 아니라 순천역이었다(…)[11]. 2014년 정보에서는 익산역-전주역-순천역 순서로 이용객이 많음이 확인되었고 순천역에서의 무궁화호 이용객이 2013년 통계에 비해 많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거리가 훨씬 멀고 요금 또한 더 많이 나오는 것, 순천시의 인구가 전주시의 절반 미만인 것을 감안하면 여전히 통계상으로 KTX를 많이 이용하는 지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015년 4월 2일부터 운행하는 호남고속선 합류 계통의 순천역-용산역 요금과 소요시간이 최종 발표되었다. 이전보다 '''천 원 오른'''[12] 44,000원으로 확정되었다. 넉넉하게 시간을 잡았을 때 주로 10% 할인 적용가로는 39,600원, 15% 할인을 받을 경우 37,400원으로도 예매를 할 수 있다.[13] 현재도 천 원 상승이었는데 이것이 천안아산역 분기로 완공이 됐다고 생각해보면 요금이 동결되거나 도리어 천 원 떨어질 수도 있었다. 이를 생각하면 오송역이 만악의 근원이다. 정차역이 늘어난 점 때문에 홍보문구의 2시간 20분 멘트는 막차 1편성을 제외하고 지켜지지 않지만 한국철도공사가 공식 발표한 운행다이어 상으로 아무리 느려도 2시간 40분 내외로 도착하는 소요시간을 보이고 있다. 이 정도로도 순천종합버스터미널-서울호남 버스 노선보다 1시간 더 빠르게 서울 중심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일단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1,000원 증액으로 경쟁상대인 버스가 막힘이 없을 경우 30분 시간 감소를 이룩했으니 확실히 이득이라 할 수 있겠다.
여담으로 호남고속선 개통 이전에는 순천역 KTX의 평균 소요시간이 3시간 12분이어서 똑같이 도심 중심지에 위치한 마산역 KTX보다 10분 가량 느렸으나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엔 2시간 40분으로 대폭 줄어들면서 용산-순천 구간이 서울-마산 KTX보다 20분 더 빨라졌다.
4월 KTX 통계에 의하면 순천역의 4월 한 달간 평균 수요는 상하행 각각 천 명 초반대를 보였다. 호남고속선 합류 이후 상하행을 모두 합친 이용객 평균이 2,100명대로 2014년 연간 평균보다 500명 가량 증가하였다.
상위 항목인 전라선 문서에 소개된 코레일의 기사에 의하면 호남고속철도 합류 이후로 순천에서의 고속버스 이용객을 20~30% 줄이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한다. 그와 함께 상위 항목에서 소개된 연합뉴스의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래 2015년 4월부터 2016년 3월까지 1년간의 이용량 분석 기사에 따르면 승하차를 합친 KTX 총 이용객이 89만 명을 돌파하였다고 한다. 승하차 비율을 절반으로 가정하면 순천역의 KTX 탑승/하차 이용이 각각 44만 명 선이라는 말이기도 하다.
참고로 2014년 철도통계연표에서 역별 여객발착 통계를 뒤져보면 전국에서 순천역과 그 옆의 벌교역 딱 두 곳만 남은 승객 수가 음수로 표시되는 기현상이 발생한다.[14]
2015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호남지역 전체 열차 승하차 합계에서 익산역 (4,477,499명) - 광주송정역 (3,997,775명) - 전주역 (2,558,479명) - 순천역 (2,070,527명)으로 호남 전체 4위, 그리고 전라남도의 모든 철도역 중에서 '''유일하게 전체 승하차 이용객 200만 명''' 이라는 통계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이 기록은 위에서 설명한 대로 2016년에도 전라남도 행정구역 내 모든 철도역 중에서 유일하게 200만 명 이상이라는 기록을 유지하게 되었다. 2017년의 순천역 이용객은 더욱 늘어나서 1년간 총 이용객이 230만 명대를 돌파하였다.

5. 일평균 이용객


순천역을 이용하는 일반·고속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하차객의 총합이다.
무궁화호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711명
2,905명
2,855명
2,900명
2,983명
2,913명
3,085명
3,009명
3,611명
3,463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3,041명
2,879명
2,736명
2,613명
2,527명
'''2,643명'''
S-train
새마을호
ITX-새마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397명
539명
508명
536명
551명
570명
634명
596명
343명
275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341명
377명
372명
379명
377명
'''382명'''


2011년
2012년
2013년
924명
1,054명
1,543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582명
2,217명
2,770명
3,546명
3,791명
'''3,966명'''
  • KTX의 2011년 자료는 개통일인 10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8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철도통계연보 #

6. 연계 교통



6.1. 순천역 앞 정류장


  • 순천역을 나오면 바로 앞에 위치한 정류장이다.
  • 여수 330번은 이 정류장 근처에서 대기 후, 회차하여 운행한다.
  • 제일고 종착 노선 중 20번대는 순천시청, 환선로를 경유하여, 52번은 서면공단을 경유하여, 66번은 용당지구를 경유하여, 96, 97, 98번은 참샘마을을 경유하여 제일고로 향한다.
<^|1><height=32>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팔마로(서남)/아랫장 방면'''
제일고 종착
기타 행선지
'''역전길(서)/청춘창고 방면'''
시내일반
'''종착'''
여수시내
[1] 덕암동 188-100번지[2] 참고로 고흥군은 철도가 없기 때문에 관할할 수 없으며, 구례군에도 없다. 구례구역구례군에 없으며, 순천시에 있다.[3] 지역본부의 명칭과 지리적 관할구역이 다른 사례는 이외에도 경북본부(지리적으로는 경북'''북부'''본부, 강원본부(지리적으로는'''영동'''본부) 등이 있다.[4] 경전선이 개량되기 전까지는 경전선에서 정규 새마을호 열차는 운행되기 어렵다.[5] 목포역 KTX의 개통이 훨씬 빠르기도 했으며, 순천역보다 더 많이 투입되었고, 2016년 12월 9일에 SRT가 개통되면서 목포역의 서울행 고속철도 배차가 굉장히 많이 늘어났다. 2016년 12월 9일부터 목포역은 KTX 18왕복 + SRT 9왕복 / ITX-새마을 2왕복 / 무궁화호 5왕복 + 누리로 1왕복이다. 나주역은 KTX 15왕복 + SRT 9왕복 / ITX-새마을 2왕복 / 무궁화호 5왕복 + 누리로 1왕복이다. 순천역은 위에 설명한 대로 KTX 14왕복 / ITX-새마을 2왕복 / 무궁화호 7왕복 + 누리로 2왕복.[6] 2013년까지 순천역-동대구역-서울역이라는 희대의 근성열차가 있었다. 이 노선은 원래 진주역 종착이던 편성을 억지로 순천까지 늘려 운영한 탓에 엄청난 운행거리를 자랑했다. 하지만 근성열차 항목에도 서술되었다시피 심각하게 불량한 순천 방향 경전선 선로 문제에 어정쩡하게 배치된 출발 시간표도 문제였고, 도저히 경쟁력이 나오지 않아서 진주-순천 간 수요가 폭망이었던 점 등의 영향으로 1,800원 더 비싸더라도 버스 타고 진주로 가는 것이 나았다. 이런 이유로 결국 개편 과정에서 진주역의 종착역 기능이 부활하면서 원래대로 되돌아갔다.[7] #1441~#1442(용산 - 익산 - 호남선 - 장성 - 서부경전선 - 순천)구간 운행이 대표적. 심지어 이 편성은 2007~2010년에 2006년 10월에 없어진 목포 - 광주송정 - 서부경전선 - 순천 - 여수 통근열차 대체라는 명목으로, 순천에서 방향을 돌려서 여수까지 내려가는 기행을 보이기도 했다.[8] 전라선 KTX 개통 이후 망할 것이라는 당초의 예상과 달리 심지어 경부선 계열 KTX보다도 더 심각한 수요초과로 몸살을 앓았던 것도 영향을 끼쳤다. 지역 주민들의 불만을 달램과 함께 201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를 지원하는 목적도 함께 해서 순천역 시종착 KTX를 2왕복 임시 투입했었다. 이 중 상하행 1편성을 서울역 정차 편성으로 운영했다. 그런데 수요가 넘쳐났던 것인지 당초 계획과 달리 정원박람회가 끝나고도 열차를 회수하지 않고 2014년 7월부터 정규편성으로 전환되었다.[9] 도로 거리로도 순천~벌교는 23㎞ 남짓이다.[10] 여기에 인접한 광양시의 철도 수요도 일부 포함한다. 광양시를 통과하는 경전선의 선로 상태가 매우 좋지 않고 광양역에서 서울특별시로 바로 가는 열차가 없어서 광양시에서 대중교통을 통해 외지로 나가려면 순천역까지 와서 전라선 열차를 타거나 광양터미널/중마터미널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특히 광양읍내에서는 순천역으로 곧바로 가는 버스 노선이 가장 많은 배차량의 노선이라 접근성이 압도적으로 편리함이 있다. 광양읍내에선 광양터미널에서 서울행 대중교통을 끊는 것이 가장 편하지만 전주행 같이 버스의 배차와 요금, 소요시간이 순천에서 무궁화호로 환승하는 것만도 못한 경우에는 순천역까지 직통으로 접근할 수 있는 인프라가 이뤄져 있다.[11] 이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 첫째는 전주시 시민으로써 익산역을 이용하는게 배차에 훨씬 유리하다는 것, 그리고 전주역이 전주시 동쪽 끝에 치우쳐 있어 현 전주시 중심인 서부 주민이 이용하는게 익산역에 비해 효용성이 오히려 떨어지는 등 때문이다[12] 이는 전라선 KTX 정차역의 요금변동폭 중에서 '''가장 적게 오른''' 가격이다.[13] 순천~센트럴 고속버스 노선은 금호/천일이 공동배차를 한다.[14] 저 통계에서 남은 1년간 열차를 이용한 모든 사람이 전부 같은 날 한 열차를 이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역별 남은 승객 수가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음수가 될 수 없다.
}}}
  • 순천역 건너편에 위치한 정류장이다.
  • 팔마경기장 경유 검단산성 종착 노선 중 32, 69번은 소안, 농산물시장을 경유하여, 68번은 금당대주아파트를 경유하여, 나머지 노선은 전남동부지역본부를 경유하여 신대지구로 향한다.
<^|1><height=32>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팔마로(남)/이마트 순천점 방면'''
팔마경기장 경유 검단산성 종착
대안마을 종착
기타 행선지
여수시내
}}}

6.2. 순천역 서편 정류장


  • 순천역을 나오면 우측에 위치한 역전거리교차로 내에 위치한 정류장이다.
  • 200번은 이곳에서 대기 후 회차하여 운행한다.
'''팔마로(서남)/아랫장 방면'''
시내일반
  • 순천역을 나와 우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역전파출소를 지나면 나오는 정류장이다.
<^|1><height=32>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역전길(서)/청춘창고 방면'''
순천시청 경유 제일고 종착
기타 행선지
'''종착'''
시내일반
}}}

7. 주변 정보


위의 통계에 의하면 원래 이용량이 많기도 하지만 내일로 기간에 평소보다 이용객이 더 늘어나는 역 중 하나이다. 전라도를 여행하는 내일로라면 어떻게 일정을 짜더라도 익산역이나 순천역에서 한 번은 하차해야 하는 노선 구조상의 문제도 있지만, 내일러의 거의 대부분이 볼 게 없어서 차만 갈아타는 제천역과 달리 순천은 낙안읍성이나 순천만 관광 때문에 하루 정도는 머무르면서 둘러보는 곳이니, 승강장의 번잡함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당장 내일로 시즌만 되면 순천역 광장에 내일러들이 매우 많음을 볼 수 있고 덕분에 순천역 인근에 있는 지XX파 찜질방은 내일로 시즌에는 시장바닥을 연상케 한다 카더라.
이 역을 방문하는데 접근성이 굉장히 편리하다. 웬만한 순천시 시내버스들은 대부분 순천역을 경유하며, 오히려 경유하지 않는 노선이 손에 꼽을 정도이다.[15] 하지만 수요가 많은 만큼 혼잡하기도 하다. 내일로 시즌이 되면 순천만을 찾는 관광객이 증가해서 가축수송을 해버리는 버스 노선이 생긴다. 게다가 전통장인 순천 아랫장이 열리는 날[16]이면 답이 안 나온다. 게다가, 2018년 1월 1일부터는 순천시 - 여수시 간 광역시내버스인 순천 버스 960여수 버스 330이 순천역을 경유한다.[17]
순천역 인근의 버스 정류장은 71번, 88번 등이 경유하는 순천역 바로 앞의 정류장과, 77번, 59번 등이 경유하는 한국철도공사 전남본부 쪽의 '순천역서측' 정류장으로 나뉘어있다.
새벽에 이곳에서 자다가 계단쪽에서 나오면 열차조성작업 등을 구경할 수 있다. 다만 작업 소음이 벽을 타고 전해져서 창문이 없는 쪽도 조금 시끄럽기는 하다. 다행히도 신 역사의 맞이방은 크고 아름답다.
팁으로 순천역에서 팔마로를 따라 동쪽으로 10분만 걸어가면 이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 쇼핑몰이 있다. 여행 중 유용하게 이용하자. 그 밖에 적절한 가격대의 식당이나 게스트하우스, 모텔 등도 있어서 여행 중에 쉬었다 가기 좋다. 여수에 숙박시설이나 찜질방 등이 별로 없어서[18] 순천까지 나와서 자다가 새벽 3시 반경에 나와서 무궁화호 #1517호 타고 여수로 가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6시 경에 부전쪽으로 가기 위해서 무궁화호 #1944호를 타거나 보성쪽으로 가려고 무궁화호 #1971호 타려는 젊은이들로 새벽부터 북적인다. 그리고 대부분 전날 오후에 일몰 보러 순천만에 갔다가 새벽에 나가려고 일찍 자는 사람들(…). 새벽에 나가려다 보니 대충 싸게 자려고 앞에서 언급된 모 찜질방에 많이들 가게 된다.
순천종합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거나 경유하여 여수종합버스터미널 방면으로 가는 시외버스들 중 일부가 순천역 앞에 중간정차한다. 게다가 위에 서술해놨듯이 순천역은 이전부터 입지에서 유리한 데다가 버스터미널과 엇비슷하게 안 들르는 시내버스 번호를 꼽는 게 더 빠를 정도.
덧붙여 고속버스와의 차이를 설명하자면 순천종합버스터미널-서울호남고속버스는 안 막혔을 때 순천완주고속도로를 경유하여 3시간 40분에 일반 19,300원/우등 28,600원/심야 31,400원이다. 그러나 정안 휴게소까지는 막힐 일 없이 잘 밟다가 차령터널부터 지독한 교통체증 덕분에 실제 소요시간이 4시간 이상일 때가 부지기수이다. 반면 순천역-용산역을 KTX로 가면 4만 4천 원에 아무리 늦어도 막히는 일 없이 2시간 45분이 소요된다. 내일러들은 ITX-새마을의 시간표가 자신의 여행 일정에 맞기를 빌자. 용산역~순천역이면 무궁화호 기준 최소 4시간 30분이다. 그리고 그때 여행하는 건 당신만이 아니라는 걸 명심하자.

8. 기타


지역의 중심지 역할과 함께 역사적으로도 중요하고, 운행계통 상으로도 이전에 떡밥이 있었던 덕분에 서술할 내용이 좀 있다.

8.1. 역사적 중요지역. 여순사건이 확산된 장소.


사실 현대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장소중의 하나로 바로 여순사건시 반란군인 14연대가 처음 점령한 외부 점령지였다. 이곳을 점령함으로써 인근 교통망을 반란 초기에 확보할 수 있었고, 옆 지역인 벌교, 구례, 광양, 더 나아가선 지리산 일대로의 반란군 확산의 기폭제가 된 장소이다.[19] 실제로 순천역이 점령당한 이후 당시 반란군이 세력을 더 넓히게 되었고, 당시로는 승주군 일대를 넘어 구례, 벌교까지 반란군의 영향권에 들어가게 되었다. 물론 반란군과 진압군이 번갈아가면서 주민들을 집단으로 학살한 것은 다른 사건들처럼 똑같이 일어났다. 지역의 교통 요충지였다는 점이 광기의 시대에서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목숨을 빼앗긴 역사의 상흔을 안겨준 아이러니가 되었다.

8.2. 역의 이용현황이나 중요성 치고는 의외로 안습한 대접


철도통보연계가 쌓일수록 호남 전체 최다 수요 4위, 거기다가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로는 전라남도 행정구역 내 유일한 총 이용객 200만명을 돌파하고 있는 역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순천역 내부를 보면 다른 KTX 필수정차역에 비해서 역사규모가 작은 편이다. 역 자체는 확장 이후에 으리으리하게 크지만 실제로 들어가보면 외관에 비해 덜 차있다는 느낌이 강하다. 이런 와중에 입찰비리까지 나온 적이 있었다.해당기사
호남고속선 KTX 운행계통이 광주송정역으로 일원화되면서 기존에 두 역으로 쪼개졌던 광주 지역 KTX 이용객들이 한 역에 몰리게 되었다. 2016년 5월 말 즈음에 발표될 2015년 철도통계연보 부터는 광주-전남권 이용객 1위 역은 광주송정역이 워낙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순천역은 콩라인 가입. 전라선에서도 호남고속선 본선과 전라선이 동시 정차하는 익산역을 제외하더라도 전주역 다음으로 콩라인… 여러모로보나 씁쓸한 순천역이다. 경전선 개량화가 돼서 소요시간 감축과 편성 개선으로 최소한 부산·울산권-순천시 사이의 시외버스 수요를 철도가 대체하지 않는 한 콩라인 안습행보를 피할 수 없어 보인다. 순천역의 이용객이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 있는 계기는 아무래도 경전선 전구간인 부전역부터 광주송정역 사이의 전 구간 고속전철화 개량이 완료된 이후에나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 부전 - 마산 - 순천까지 직선 전철화가 이뤄지는 것도 2021~22년 즈음이다.

8.3. 경전선 복선화 완공 이후 진주 - 순천 - 용산 노선의 부활 가능성은?


이 순천역 계통의 떡밥으로 옛날에 꾸준히 야간열차로 운행한 노선 중에 하나였던 진주 - 순천 - 용산 노선의 부활도 있다. 2016년 7월 14일부터 정식 영업을 시작하는 경전선진주 - 광양 간 복선개량화 공사가 완료되면 2007년까지 존재했던 진주 출발 용산행 무궁화호 열차를 이전보다는 30분 가량 빠르고 안정적인 모습으로 운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진주와 하동에서 용산역 시종착 서울행 열차를 증편할 수도 있다. 현재는 비전철 복선직선화로 개통하였지만 2018년부터 2021년까지 해당 구간의 전철화가 시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 사업이 완료되는 2021년 이후에는 진주역을 시종점으로 하고 순천역에서 분기와 합류가 이뤄지는 경전선-전라선-호남고속선 3개 간선을 넘나드는(...) 계통의 신규 KTX 노선으로 진주-용산 간 KTX 증편도 해볼 수 있는 떡밥이다.

8.3.1. 과거에 존재했던 진주-순천-용산 노선


과거에는 진주역에서 순천역 방향으로 가서 전라선을 타고 서울역에 정차하는 야간/새벽 편성이 있었다. 그게 그 당시에는 전라선이고 경전선이고 모두 상태가 나빠서 근성열차여서 문제였을 뿐(…). 근성열차 항목에 소개된 옛 통일호 517, 518열차가 이에 해당되는 노선이었다. 이후 무궁화호 1485, 1486열차가 서울지역 착발만 용산역으로 바뀌고 계속 같은 노선으로 운행하였다. 총 소요시간은 6시간이 넘었다. 이후 개편을 통해 순천역을 경유하는 진주 - 순천 - 용산 노선은 폐지되었다.

8.3.2. 순천역 경유로 변경한다면?


남부내륙선이 완공되기 전까지는 현재의 루트보다는 순천역에서 전라선을 타는 것이 현행보다는 낫다고 하는 전망이 있다. 무궁화호를 기준으로 서울-동대구-진주 노선은 482.8㎞이고 소요시간은 평균 6시간 10분(…), 요금은 평일 29,500원이다. 반면 용산-순천의 거리는 391.9㎞이고 소요시간은 평균 4시간 45분[20], 요금은 24,300원이다. 서울에서 용산 사이가 3.2㎞ 차이가 난다. 그리고 진주와 순천 간 거리가 과거의 개량 전 단선의 노선으로도 거리 76.9㎞, 소요시간 1시간 30분, 요금은 4,900원이었다. 현재의 다이어 때문에 불가능해서 그렇지 용산-순천-진주로 갈아타는 것이 이론상 시간은 엇비슷하고 요금과 소요거리는 더 짧다(…). 진주-광양 간 복선 직선화가 개통하면서 진주역에서 순천역까지 선형개량으로 소요거리가 61.5㎞로 줄어들었고, 전철화 공사도 2018년부터 착공 중이라 향후 증편을 위한 다이어 문제도 다소 해결될 수 있다. 본격적으로 복선화 경전선으로 영업하면 비전철로 개량된 구간이라 투입되는 기관차 차량에 제한은 있겠지만 현재의 진주→동대구 방향으로 가는 현행 서울행보다는 진주→하동→순천역으로 향해서 전라선을 타는 용산행이 더 짧고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만약 진주역에서 동대구 경유 경부고속선 KTX와 순천역 경유 전라선 KTX 노선의 두가지 방식이 탄생한다면, 구간수요와 요금, 시간 모두에서 각자의 요구에 따라 수요처가 다른 KTX 노선이 탄생할 수 있다. 전라선 경유 KTX는 저렴하게 산정되지만 대수요처의 구간수요를 포기하고 곧바로 용산역으로 가는 특징이 있고, 기존의 동대구 경유는 서울까지의 요금이 크지만 중간의 대수요처와 환승편성이 국내 최다로 공급되는 역인 동대구역과 대전역 필수정차가 있기에 각자의 수요를 맞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호남고속철도 세종역 신설이 확정될 경우에는 진주에서 세종청사 출장을 위한 선택도 나올 수 있다.
그리고 경전선 진주-광양 구간의 개통이 긍정적으로 증명된 이후 전철화할 때 요금산정이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과거의 상황으로도 순천-진주 간 무궁화호 운임이 막장 노선에도 1시간 30분에 4,900원이었던 것을 감안할 때 호남고속선 경유 개통 이후 실질적인 용산-순천 간 소요시간이 평균 2시간 40분인 점을 감안하면, 전철화를 통해 진주-순천-용산 KTX가 정규편성은 무리더라도 진주행 수요가 폭발하는 유등축제 등의 임시 편성에서 무리는 아닐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개량 이후 진주~순천 간 거리는 현재 남원~순천 간 거리인 66.1㎞과 엇비슷한 61.5㎞로 15㎞ 가량 줄어들었다. 이와 함께 무궁화호 진주 - 순천 요금이 4200원으로 내려갔다. 어처구니없는 가격만 받지 않는다면 거리 단축과 속도 상승, 전철화시 KTX 투입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여기에 남부내륙선 예정 노선이 현재 진주-김천에서 진주-대전 구간으로 바뀌지 않는 이상 진주역에서 철도로 서울갈 때 싸고 최단 거리는 여전히 순천역 방향으로 언급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남부내륙선의 행방이 험난해진 탓에 대안으로 순천역 경유 노선을 대안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진주~광양 간의 복선 개량화 이후 전철화까지 빠르게 진행된다는 점을 전제로 하는 예측으로, 만일 진주-순천-용산 KTX가 생길 경우 기존선을 많이 탄다는 점은 있지만 이는 전라선 고속화 사업이 얼마나 더욱 개선되느냐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현재는 이런저런 이유로 전라선 KTX가 익산역까지의 기존선 구간에서 이론상 최고속력인 230㎞/h로 운행하지 못하고 150~180㎞/h 정도로 운행하지만 익산~순천 구간 추가 개량을 통해 평균 200㎞/h 이상의 속력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다면 어느정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현재 전라선 KTX의 메리트 중 하나인 기존선 운임으로 적용되는 낮은 운임계산 또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위에 서술한 대로, 순천역을 포함하여 전라선 KTX가 호남고속선 합류를 하는 것으로 발표되어서 진주행 전라선 KTX 떡밥에 한발짝 다가갔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이게 현실화 될 경우에 새로운 문제가 등장한다. 순수 증편없이 이 계통을 운행하려면 현재 여수엑스포역으로 가는 전라선 KTX 노선 and/or 마산역을 거쳐가는 경전선 KTX 노선의 감편이 불가피하며, 감편없이 순수 증편된다 해도(근데 증편할 여력이 있을지…)[21] 당초 수서평택고속선 개통을 앞두고 전라선 연선 지역에서 편성을 해달라고 요청하였으나, 이는 불가능했고 그 대신 SRT로 빠진 만큼 선로용량에 여유가 생겨 전라선, 경전선 KTX가 늘어났다. 하지만 여기서 추가증편을 할 때 그 논의가 순천 경유 진주행 KTX가 언급되면 순천/진주, 여수/창원(+대구) 등 순수증편이 없다면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지역들 사이에 호남고속선 개통 때처럼 심각한 갈등이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전라선 항목에 나와있듯이 전라선 구간에서는 KTX가 해당 구간의 시외버스보다 더욱 저렴하고 빠른 특성으로 단거리 수요가 존재하는 점이 있어서 전라선 순천역과 그 이북 지역에서는 공급량 증대 효과를 얻고, 경전선에서 순천-진주 사이의 구간으로는 용산-순천경유-진주행으로의 KTX 열차증편과 신규루트 생성이란 점에서 메리트를 느낄 수 있지만 여수에서는 들어오던 열차가 갑자기 다른 곳으로 가면서 줄어버리는 상황이니 실제 논의가 들어가면 상당히 시끄러워질 것으로 보인다.[22]
차후 동서 방면으로도 KTX가 운행될 예정이다. 진주 - 순천 간 전철화가 완공될 2022~23년 즈음 경전선 KTX-이음 운행할 듯. 이 경우에는 포항역/태화강역(울산)/부전역 ~ 순천역 계통을 새로이 편성하거나 현 포항역 - 순천역 간 무궁화호(#1943, 1944)가 준고속열차로 승격 운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부전 - 광주송정 간 전구간 전철개량이 끝나기 전까지는 임시로 익산역 출발 - 전주역 - 남원역 - 순천역 - 하동역 - 진주역 - 마산역 - 창원중앙역 - 사상역 - 부전역 (- 신해운대역 - 태화강역) 간을 운행하는 전라선-경전선(-동해선) 노선이 탄생할 가능성도 있다.

8.3.3. 서부경전선 개량


2016년 발표된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서 경전선 진주~광양 구간의 전철화와 일명 서부경전선 구간인 광주송정역~보성역~순천역의 전철화 계획이 등장하였다. 보도자료에 의하면 이론상 광주송정에서 순천까지의 설계속도를 무려 230㎞/h로 하겠다고는 하지만 단순 개량의 경우에도 순천시 시내구간이 매우 큰 문제가 된다.
서부경전선의 선로는 순천역에서 출발하여 동천철교를 건너 순천종합버스터미널 근처의 지하차도 위를 통과하고, 농협하나로마트 남정점과 오천동의 아파트 단지(오천지구) 옆을 지나간다. [23] 이후 청암대학교 뒤편을 지나서 별량면과 벌교역으로 향한다. 이전에 이 일대가 개발되지 않았다면 모를까, 현재는 도심이 들어찰만큼 다 들어차서 현재의 노선에서 지상으로 복선노반 전철화로의 확장은 매우 어렵게 되었다. 현재 상황에서는 거의 물건너갔다고 봐도 무방.
어쨌든 국가철도망 계획 사업에 공식 지정되기도 했고, 그리고 영호남 인프라 개선과 화합이라는 대의명분상 추진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 경우 순천시 시내구간을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큰 문제일 것으로 보인다. 광주송정~순천역 사이 116.5㎞, 2조 304억원으로 예고한 예산이 어떻게 투입되는지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9. 순천시의 교통




[15] 시내지역을 운행하는 버스 중에서 순천역을 거치지 않는 버스는 20번, 22번, 100번, 101번, 555번, 777번 뿐이다. 19번, 36번, 37번의 경우 주암면과 황전면의 오지순환 노선이라서 오지 않는 것이다.[16] 매월 2, 7로 끝나는 날[17] 참고로 330번은 시내버스 정류장이 아닌 시외버스 정차구역에 정차한다.[18] 특히 여수엑스포역 인근[19] 순천역 부지 내에 안내판이 있었으나 보수단체의 항의로 2009년 철거되었다. 안내판을 설치한 시민단체 쪽에서도 문제가 없는게 아닌게, 반란군을 봉기군으로 무단점령을 진출로 표현하는 중대한 오류가 있었다.[20] 예외로 서부경전선을 타는 서광주 우회 근성열차는 6시간 38분이다.[21] 수서평택고속선이 완공되고 나서 가장 수요가 많을 양대 간선 고속철도 운행량과 전라선 일부 편성이 천안아산역에서 수서역 방향으로 분산되기를 기대해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22] 방법이 있다면 전라선에 들어가는 KTX-산천 단독편성 일부를 순천역에서 분리 결합하는 복합편성이 예로 들수 있다. #707, #719, #723 같은 여수엑스포행 단독 열차와 결합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렇게 될 경우 전체적인 시간표를 뒤집어 엎어야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정 안된다면 KTX-1 들어가는 시간대를 감편하고 산천으로 대체하는 방법도 있다.[23] 운이 좋으면 조곡삼거리 쪽의 철도건널목이 내려가서 무궁화호가 지나가는걸 볼 수는 있다